새해 글로벌 최대변수는 ‘중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1-01 16:19본문
세계 유력 언론들은 31일 새해 전망 기사를 내놓으면서 가장 큰 변수로 중국을 꼽았다. 중국의 군사·외교적 팽창은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고 경제의 불확실성은 세계를 뒤흔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새해 중국은 더 크고 대담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럽과 아시아를 묶는 거대한 무역 전략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남중국해 관리 강화는 군사적인 측면에서 미국과의 충돌을 부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WSJ는 특히 “내년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중국은 9월 항저우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미국 중심의 금융·안보 질서를 바꾸자고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초로 예상되는 미국 군함의 남중국해 순시, 대만 총통 선거에서의 야당 승리 가능성,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본격적이 대출 개시 등도 중·미 갈등을 부추기는 요소로 꼽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새해 중국 경제가 전년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면서 “세계의 성장 엔진이었던 중국이 가장 큰 리스크(위험)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SCMP는 “중국 정부가 여전히 시장에 적극 개입해야 할지 말지를 놓고 갈팡질팡하고 있다”면서 “중국의 구조 개혁이 어디로 가느냐에 세계 경제의 앞날이 달렸다”고 진단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새해 중국은 더 크고 대담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럽과 아시아를 묶는 거대한 무역 전략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남중국해 관리 강화는 군사적인 측면에서 미국과의 충돌을 부를 것이라는 설명이다. WSJ는 특히 “내년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중국은 9월 항저우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미국 중심의 금융·안보 질서를 바꾸자고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초로 예상되는 미국 군함의 남중국해 순시, 대만 총통 선거에서의 야당 승리 가능성,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본격적이 대출 개시 등도 중·미 갈등을 부추기는 요소로 꼽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새해 중국 경제가 전년보다 더 나빠질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면서 “세계의 성장 엔진이었던 중국이 가장 큰 리스크(위험)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SCMP는 “중국 정부가 여전히 시장에 적극 개입해야 할지 말지를 놓고 갈팡질팡하고 있다”면서 “중국의 구조 개혁이 어디로 가느냐에 세계 경제의 앞날이 달렸다”고 진단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