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기업 M&A 급증.. 中 ‘기술확보’, 韓 ‘국내 규제 피해 중국 진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3-14 17:07본문
중국 기업의 한국 기업 인수합병(M&A)이 급증하고 있다. 인수 대상도 제조에서 문화콘텐츠를 주축으로 한 서비스업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중국 기업 입장에서는 M&A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국내 규제를 피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 중국 기업의 한국 기업 M&A 현황(단위:백만달러)/블룸버그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4일 '중국 M&A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의 한국 기업 M&A 증가 현황과 원인을 진단했다.
2015년 중국 기업의 한국 기업 M&A 거래건수는 2014년 대비 3배인 33건, 거래 규모는 128% 증가한 19억3000만달러에 달했다. 지난 10년간 중국 기업의 한국 기업 인수합병 건(64건) 중 70% 달한다.
인수 업종도 2006~2014년에는 제조 분야가 52%를 차지했으나 지난해에는 보험, 엔터테인먼트 등 서비스업이 73%를 차지했다.

▲ 중국 기업의 한국 기업 M&A 업종. 왼쪽은 2006~2014년, 오른쪽은 2015년./블룸버그국제무역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내 M&A 활성화가 필요하며 규제 철폐가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원은 “대기업의 공공정보화 사업 참여 제한은 소프트웨어 기업 간 인수합병 의지를 저해한다.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 내수 시장을 축소시켜 국내 게임업계의 중국 자본 의존성을 높이는 대표적인 규제”라고 지적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중국과의 M&A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 시장 진출 과정에 필요한 전략 중 하나로 인식하고 우리 기업의 경영 기반은 유지할 수 있는 실리 중심의 M&A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은미 수석연구원은 이어 "한국 본사 기업의 지분 매각보다는 중국 내 조인트벤처 등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연구원은 “대기업의 공공정보화 사업 참여 제한은 소프트웨어 기업 간 인수합병 의지를 저해한다.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 내수 시장을 축소시켜 국내 게임업계의 중국 자본 의존성을 높이는 대표적인 규제”라고 지적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중국과의 M&A는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 시장 진출 과정에 필요한 전략 중 하나로 인식하고 우리 기업의 경영 기반은 유지할 수 있는 실리 중심의 M&A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은미 수석연구원은 이어 "한국 본사 기업의 지분 매각보다는 중국 내 조인트벤처 등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