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무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유엔 안보리 결정에 따른다.”
[2017 09-09]
中 상무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유엔 안보리 결정에 따를 것”…가오펑 대변인
중국 상무부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가능성에 대해 유엔 안보리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혀 그 진의가 무엇인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7일 중국 관영 환구망에 따르면 상무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이 대북 원유 수출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가’란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상무부 가오펑 대변인은 “외교부가 이미 관련 사안에 대한 중국의 원칙과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면서 “중국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안을 준수하며, 최선을 다해 국제적인 의무를 감당해 왔다”고 밝혔다.
가오 대변인은 또 “중국은 향후에도 한반도 비핵화,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원칙에 따라 경제 무역 사안을 처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상무부는 지난 8월 6일 통과된 2371호 결의안을 이행하는 차원에서 지난달 14일 해관총서와 함께 북한산 석탄·철광석·납·수산물 등 수입을 전면 금지시킨 바 있다.
잇달아 지난달 25일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2371호 결의안 이행을 위해 중국 내 북한과의 합작기업 설립과 기존에 북한과 협력했던 기업의 투자 확대를 금지한다고 발표, 북한 압박에 임했다.
중국 외교부 역시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포함한 추가 대북제재 조치와 연관, 유엔 안보리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북한 6차 핵실험 이후 중국 외교부는 “안보리가 어떤 조치를 내놓을지 등은 안보리 회원국의 논의 결과에 달려있다“면서 ”중국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한반도 비핵화와 대화 및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원칙에 따라 책임감 있고 건설적인 태도로 관련 토론에 참여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온 바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 러시아는 주요 사안에 대해 대북 제재에 마지 못해 최소한의 입장만 견지해 온 만큼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대북 원유 공급 중단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는 것이 외교전문가들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