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선언-- 트럼프 ''내 친구 시진핑이 큰 도움 줘'' 그가 없었다면 더 힘들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4-28 23:27본문
내 친구 시진핑이 큰 도움 줘… 그가 없었다면 더 힘들었을 것"
아베 "앞으로 北동향 주시할 것", 中 "남북협력에 우리 역할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각) 남북 정상이 공동 발표한 판문점 선언과 관련해 트위터에 "한국전쟁이 끝날 것이다!"라며 "미국과 모든 위대한 미국인은 한국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매우 자랑스러워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의 격렬한 한 해가 지나고 남북 간 역사적 만남이 일어나고 있다"며 "좋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오직 시간이 말해줄 것"이라고 했다.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미·북 협상 결과는 지켜봐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내 좋은 친구인 시진핑 (중국) 주석이 특별히 북한과의 국경에서 미국에 큰 도움을 줬다는 것을 잊지 말아달라"며 "그가 없었다면 더 길고 힘든 과정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
평화의집 앞에서 환송공연 -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27일 밤 판문점 평화의집 앞에서 레이저 조명 등을 이용한 환송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평화의집 벽에 형상화된 철책에 무궁화 등 봄꽃이 피어났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27일 열린 남북 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에 대해 세계 각국 정부와 언론은 대체로 "역사적 회담" "큰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가장 관심이 쏠렸던 비핵화 합의에 대해선 구체적 실행 조치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CNN방송은 "평화를 위한 잠정적 발걸음을 처음 내디뎠다"고 했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남북 정상이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했지만, 북한 핵을 해체할 구체적 조치를 발표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남북이 종전 선언과 비핵화라는 대담한 목표를 세웠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은 북한이 과거에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핵 제거를 위한 신속한 일정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를 6개월~1년 안에 달성할 수 있도록 북한을 몰아붙일 것이란 뜻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비핵화가 서로에게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은 결여돼 있다"고 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대체로 냉정한 평가를 내놓았다. 비핀 나랑 MIT대학 정치학과 교수는 CNN에 "북한은 지금까지 '한반도 비핵화'를 오랜 기간 공언해 왔고, 이 말은 새로운 게 아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워싱턴의 싱크탱크 '독일 마셜펀드'의 라우라 로젠베르거 연구원은 WP 인터뷰에서 2012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 체결했던 미사일 실험 유예 합의가 6주 만에 깨졌던 사실을 언급하며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했다.
일본은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아베 신조 총리는 이날 회담에 대해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할 북한의 전향적 움직임을 환영한다"면서도 "앞으로 북한 동향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사이에 과거에도 성명은 있었다"며 "과거의 성명과 이번 성명을 비교·분석하면서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오코노기 마사오(小此木政夫·72) 게이오대 명예교수는 본지 통화에서 "북한도 이번엔 미·중에 비 핵화를 약속한 마당이라 과거처럼 섣불리 약속을 어기긴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중국 외교부는 루캉(陸慷)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중국은 남북이 성공적인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공동 인식을 실천하고 화해·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를 희망하고 또한 그러리라 믿는다"고 했다.그러면서 "중국은 이를 위해 계속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하기를 원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