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 이후 30여 년 간 고도성장을 이어온 중국이 인구고령화, 생산요소가격 상승 등으로 기존 노동 및 자본 투입 방식의 고성장세 유지가 불가능해지면서 산업구조 전환과 더불어 도시화를 축으로 새로운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경제구조 개편 중심에는 ‘도시화’ 정책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시진핑 정부의 중점 추진 정책 가운데 하나로 도시화로 경제구조 개편을 이끌고, 새로운 사업수요를 지속 발생시키겠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글로벌 거시경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CEIC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도시화율은 57%로 선진국 평균치인 78%는 물론 브릭스 3개국 평균치 64%, 기타 소득국가 평균치인 62%의 아래에 있어 여전히 잠재력이 상당하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도시화율 1%의 상승이 서비스업의 GDP 비중을 0,1%p 상승시킬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런 중국의 ‘도시화 정책’의 중심 도시들이 한국과 일본을 찾고 있다.
그들이 관심을 두는 것은 더 이상 첨단산업단지나 공장이 아닌 도시화 인프라 시설인 중앙도서관과 현대화시설로 탈바꿈한 노량진수산시장 같은 시민의 삶의 질을 보여주는 도시시설이었다.
중국은 한국과 일본의 도시 콘텐츠의 운영방식 등을 살피고, 중국에 맞춘 현지화에 큰 고민을 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도서관을 살펴본 중국 영성시 유창송 시장은 “책과 각종 미디어, 디지털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는 모습과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까지 담당하고 있는 도서관의 모습이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울리는 도서관인 것 같다”고 관람소감을 전했다.
그는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 대해서는 영성시도 중국내에서 수산물 생산 1위 도시인만큼 이제 보다 더 규모화 되고 현대화된 수산시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예전 같으면 국내 첨단 산업단지, 대기업 등의 기술견학을 위해 한국•일본을 찾은 중국이 이제는 다양한 도시 콘텐츠로 관심사가 변했다. 풍부한 자원과 자본력으로 고도성장시대를 지난 중국이 이제 ‘신도시화’ 정책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 발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그 동안의 중국이 추진한 ‘양’적인 도시화정책의 한계와 문제가 도출되면서 본격화되고 있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지방 정부 주도로 대규모 예산이 투입돼 조성됐던 신도시들이 잘못된 예측과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유령도시화 되면서 지방 정부들이 빚더미에 앉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후진타오(胡錦濤) 전 중국 국가주석이 주도한 톈진(天津)시의 경제특구 빈하이(濱海)신구를 거론했는데, 1980년대 광둥성의 선전深圳) 특구, 1990년대 상하이 푸둥(浦東)신구와 같은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던 빈하이신구는 사람 없이 고층 건물들만 빼곡한 유령도시로 전락하고 말았다.
최근 네이멍구자치구나 랴오닝성의 GDP 수치가 급락도 대규모 개발지구 실패가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중국 정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다음 달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양'이 아닌 '질' 위주의 성장, 환경과 빈곤 구제, 공정성 등에 초점을 맞춘 경제계획을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향후 10년간 중국 도시화 추진에 따른 인프라 투자 수요가 9조2억9천만 달러에 달해 세계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망] 엄현숙seaneom@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