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체면·홍콩인은 효율성 중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11-06-20 09:34본문
"개혁·개방 이후 중국인들은 융통성과 사교성은 늘었지만 정서가 조급해지고 책임감은 떨어지고 있다.’
중국 과학원 심리연구소 쑹웨이전(宋維眞)·장젠신(張建新) 박사와 홍콩 중문대 장먀오칭(張妙淸) 교수 등 3인은 지난 10년간 ‘중국인의 심리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홍콩을 포함, 중국 전역에서 표본 추출한 20대 이상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28개 분야 인격조사 등 총 500여개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런민왕(人民網)이 9일 보도했다.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중국인들은 ‘보수화’하지 않고 더욱 개방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젠신 박사는 “개혁·개방정책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 사람일수록 신속하게 사회 변혁을 받아들이고 외부 환경에 개방적”이라고 강조했다. 홍콩인과 대륙인 간의 성격 비교도 많았다. 우선 효율과 생산력을 중시하는 홍콩인들은 실무적이고 대륙인들은 체면을 중시한다. 특히 대륙인들은 ‘자기 합리화(아큐정신)’에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대륙인들이 자신의 고난과 좌절을 외부 원인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보다 짙다는 지적이다. 대륙인들은 홍콩인보다 가족·친척들 사이의 정(情)을 중시하고 관용도에서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홍콩인들은 자아중심적으로 나타났다.
중국 과학원 심리연구소 쑹웨이전(宋維眞)·장젠신(張建新) 박사와 홍콩 중문대 장먀오칭(張妙淸) 교수 등 3인은 지난 10년간 ‘중국인의 심리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홍콩을 포함, 중국 전역에서 표본 추출한 20대 이상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28개 분야 인격조사 등 총 500여개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런민왕(人民網)이 9일 보도했다.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중국인들은 ‘보수화’하지 않고 더욱 개방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젠신 박사는 “개혁·개방정책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 사람일수록 신속하게 사회 변혁을 받아들이고 외부 환경에 개방적”이라고 강조했다. 홍콩인과 대륙인 간의 성격 비교도 많았다. 우선 효율과 생산력을 중시하는 홍콩인들은 실무적이고 대륙인들은 체면을 중시한다. 특히 대륙인들은 ‘자기 합리화(아큐정신)’에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대륙인들이 자신의 고난과 좌절을 외부 원인으로 돌리려는 경향이 보다 짙다는 지적이다. 대륙인들은 홍콩인보다 가족·친척들 사이의 정(情)을 중시하고 관용도에서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홍콩인들은 자아중심적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