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사상을 알아야 중국인 제대로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11-09-19 11:35본문
“중국인들 사상의 밑바탕에는 도가(道家)철학이 강하게 깔려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중국인을 이해하려면 도가사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지요”.
‘한국도가철학회’ 2003년 신임회장에 선출된 계명대 철학과 임수무 교수(60)는 “중국인들은 표면적으론 공자, 맹자의 유가(儒家)를 신봉하는 듯 하지만, 그 내면에는 도가적인 철학이 흐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도가철학회는 지난 1997년 도가철학을 전공한 전국 50여명의 교수 및 박사들로 구성됐다.
‘노장사상’으로도 일컬어지는 도가철학은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이 핵심.
‘도가도(道可道) 비상도(非常道)’, 즉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것은 이미 도가 아니다’가 노자 도덕경 첫 구절이며, 핵심을 이룬다.
임 교수에 따르면 도가철학은 도덕철학을 주장하는 유가사상과 다를 뿐 아니라, 신선, 장생불사를 연구하는 도교와도 다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도가전통은 중종의 소격서 폐지 등 조선시대에 와서 유교에 눌려 위축된 바 있다.
그러나 현대에도 도가사상의 연구가치가 충분히 있는 만큼 후학들이 그 명맥을 이어가야 한다는 것.임 교수는 “올해는 철학회 회원들의 숫자를 늘리고, 논문집 ‘도가철학’을 1년에 한번 더 펴 낼 계획”이라며 “가능하다면 국제 도가학술대회도 고려중에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중국, 중국인을 이해하려면 도가사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지요”.
‘한국도가철학회’ 2003년 신임회장에 선출된 계명대 철학과 임수무 교수(60)는 “중국인들은 표면적으론 공자, 맹자의 유가(儒家)를 신봉하는 듯 하지만, 그 내면에는 도가적인 철학이 흐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도가철학회는 지난 1997년 도가철학을 전공한 전국 50여명의 교수 및 박사들로 구성됐다.
‘노장사상’으로도 일컬어지는 도가철학은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이 핵심.
‘도가도(道可道) 비상도(非常道)’, 즉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것은 이미 도가 아니다’가 노자 도덕경 첫 구절이며, 핵심을 이룬다.
임 교수에 따르면 도가철학은 도덕철학을 주장하는 유가사상과 다를 뿐 아니라, 신선, 장생불사를 연구하는 도교와도 다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도가전통은 중종의 소격서 폐지 등 조선시대에 와서 유교에 눌려 위축된 바 있다.
그러나 현대에도 도가사상의 연구가치가 충분히 있는 만큼 후학들이 그 명맥을 이어가야 한다는 것.임 교수는 “올해는 철학회 회원들의 숫자를 늘리고, 논문집 ‘도가철학’을 1년에 한번 더 펴 낼 계획”이라며 “가능하다면 국제 도가학술대회도 고려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