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인물 중 외자 이름이 많은 이유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11-11-21 09:39본문
중국 삼국지의 인물들을 보면 외자 이름이 많음.
예를 들면 유비, 관우, 장비, 조운, 황충, 마초, 제갈 량, 조조, 순욱, 순유, 하후 돈,
하후 연, 사마 의, 손권, 손책, 주유, 능통, 육손, 정보 등.
외자 이름이 많은 데는 2가지 설이 있음.
첫째는 諱(휘)를 피하기 위함이라는 說 .
‘諱’는 직접 부르지 못하는 왕이나 윗사람의 이름을 말하며 백성들은 諱가 자신의 이름과 겹치면 개명을 해야 했음. 심지어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경우도 개명을 함.
예를 들어 당시의 황제의 이름이 吉童이었다면 이름은 물론, 당시에 쓰여진 모든 서적에는 ‘吉’자와 ‘童’자를 볼 수가 없음.
이름이 두 자가 되면 諱를 피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므로 諱를 피하기 위하여 외자 이름을 선택했다는 說임.
둘째는 王莽(기원전 45년~기원후 25년)의 법령 說
왕망(王莽)은 전한 황실의 외척으로 AD 8년 전한(前漢)을 멸하고 新나라를 세웠으나 건국한지 15년만에 멸망하였음.
王莽은 정권을 잡은 후에 ‘두 글자 이름을 쓰지 못하도록’ 명을 내렸고, 죄를 지으면 두 글자 이름으로 다시 짓게 하거나 원래의 두 글자 이름으로 회복하게 하였음.
즉 이름만 봐도 큰 죄인임을 알게 하는 일종의 사회적 형벌이었음.
실제로 ‘漢書 王莽傳’에 보면 이런 기록이 나옴. 王莽의 장손 王宗이라는 자가 있는데 반역을 꾀하다가 발각되어 자살하였으며 반역에 대한 조치로 王莽은 이런 명을 내렸음.
“宗(王宗)의 본명은 會宗이었다. 법령으로 두 글자 이름을 없애게 했었는데, 이제 원래의 이름으로 회복시켜 會宗이라 한다”
이때 로부터 두 글자 이름을 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로 여겨져 왔다는 說이며 삼국시대(220년~280년)까지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었다고 함.
그러나 중국 근현대사 속의 인물은 이름이 외자인 경우가 오히려 드뭄.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외자 이름을 지을 경우 同名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두글자 이름은 외자 이름보다 중국어의 아름다운 어감을 나타내고 자녀에게 전달하려는 축복이나 희망의 깊은 뜻을 나타내는데 더 유리하다고 분석하고 있음.
예를 들면 유비, 관우, 장비, 조운, 황충, 마초, 제갈 량, 조조, 순욱, 순유, 하후 돈,
하후 연, 사마 의, 손권, 손책, 주유, 능통, 육손, 정보 등.
외자 이름이 많은 데는 2가지 설이 있음.
첫째는 諱(휘)를 피하기 위함이라는 說 .
‘諱’는 직접 부르지 못하는 왕이나 윗사람의 이름을 말하며 백성들은 諱가 자신의 이름과 겹치면 개명을 해야 했음. 심지어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경우도 개명을 함.
예를 들어 당시의 황제의 이름이 吉童이었다면 이름은 물론, 당시에 쓰여진 모든 서적에는 ‘吉’자와 ‘童’자를 볼 수가 없음.
이름이 두 자가 되면 諱를 피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므로 諱를 피하기 위하여 외자 이름을 선택했다는 說임.
둘째는 王莽(기원전 45년~기원후 25년)의 법령 說
왕망(王莽)은 전한 황실의 외척으로 AD 8년 전한(前漢)을 멸하고 新나라를 세웠으나 건국한지 15년만에 멸망하였음.
王莽은 정권을 잡은 후에 ‘두 글자 이름을 쓰지 못하도록’ 명을 내렸고, 죄를 지으면 두 글자 이름으로 다시 짓게 하거나 원래의 두 글자 이름으로 회복하게 하였음.
즉 이름만 봐도 큰 죄인임을 알게 하는 일종의 사회적 형벌이었음.
실제로 ‘漢書 王莽傳’에 보면 이런 기록이 나옴. 王莽의 장손 王宗이라는 자가 있는데 반역을 꾀하다가 발각되어 자살하였으며 반역에 대한 조치로 王莽은 이런 명을 내렸음.
“宗(王宗)의 본명은 會宗이었다. 법령으로 두 글자 이름을 없애게 했었는데, 이제 원래의 이름으로 회복시켜 會宗이라 한다”
이때 로부터 두 글자 이름을 쓰는 것은 부끄러운 일로 여겨져 왔다는 說이며 삼국시대(220년~280년)까지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었다고 함.
그러나 중국 근현대사 속의 인물은 이름이 외자인 경우가 오히려 드뭄.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외자 이름을 지을 경우 同名이 될 가능성이 높고 또 두글자 이름은 외자 이름보다 중국어의 아름다운 어감을 나타내고 자녀에게 전달하려는 축복이나 희망의 깊은 뜻을 나타내는데 더 유리하다고 분석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