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춘절 추가근무 수당 계산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1-28 10:57본문
2014년 춘절 추가근무 수당 계산법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을 목전에 두고 귀향전쟁이 시작됐다. 또한 각종 사업장에서는 귀경을 서두르는 직원들로 회사 운영에 영향을 미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만약 춘절연휴 기간에 어쩔 수 없이 직원을 출근시켜야 한다면 수당을 얼마나 주어야 할까? 연휴 수당 계산법은 음력 1월 1~3일까지는 본인 임금 표준보다 낮지 않은 일당의 3배에 해당하는 수당을 지불해야 한다. 음력 4~6일까지는 차후에 대체 휴일을 제공하거나 1일급여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당으로 지불한다. 이 같은 수당은 1일급여와 별도로 지불해야 하니 기업체로써는 상당한 부담이다. 과거 일부 업체에서는 1일급여를 계산하지 않고 수당만 지불해 노동분규까지 생긴 예도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춘절 휴일 근무수당 계산법
추가 근무수당 계수÷21.75일 x 300% x 3일
▶춘절 대체 휴일 근무수당 계산법
추가 근무수당 계수÷21.75일 x 200% x 4일
▶추가근무수당 계수(1일 급여) 계산법
- 노동계약서 작성시 명기된 노동자 근무지 급여표준에 근거
- 노동자계약서에 별도 약정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체협약에 근거
- 이외에는 노동자가 해당 근무지에 정상 출근시 받는 월급여의 70%
- 추가 근수수당 계수는 상하이시 최저 임금보다 낮아서는 안된다.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을 목전에 두고 귀향전쟁이 시작됐다. 또한 각종 사업장에서는 귀경을 서두르는 직원들로 회사 운영에 영향을 미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만약 춘절연휴 기간에 어쩔 수 없이 직원을 출근시켜야 한다면 수당을 얼마나 주어야 할까? 연휴 수당 계산법은 음력 1월 1~3일까지는 본인 임금 표준보다 낮지 않은 일당의 3배에 해당하는 수당을 지불해야 한다. 음력 4~6일까지는 차후에 대체 휴일을 제공하거나 1일급여의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당으로 지불한다. 이 같은 수당은 1일급여와 별도로 지불해야 하니 기업체로써는 상당한 부담이다. 과거 일부 업체에서는 1일급여를 계산하지 않고 수당만 지불해 노동분규까지 생긴 예도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춘절 휴일 근무수당 계산법
추가 근무수당 계수÷21.75일 x 300% x 3일
▶춘절 대체 휴일 근무수당 계산법
추가 근무수당 계수÷21.75일 x 200% x 4일
▶추가근무수당 계수(1일 급여) 계산법
- 노동계약서 작성시 명기된 노동자 근무지 급여표준에 근거
- 노동자계약서에 별도 약정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단체협약에 근거
- 이외에는 노동자가 해당 근무지에 정상 출근시 받는 월급여의 70%
- 추가 근수수당 계수는 상하이시 최저 임금보다 낮아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