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입, 아시아 중심에서 중동, 오세아니아, 유럽 등으로 다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4-20 08:46본문
중국 수입, 아시아 중심에서 중동, 오세아니아, 유럽 등으로 다변화
중국의 아시아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축소된 반면 중동,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 등 아시아 이외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일 발표한 ‘중국의 대륙권별 수입지도가 바뀌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對아시아 수입비중은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59.7%에서 2014년 48.7%로 11.0%p 축소된 반면, 같은 기간 북미(0.9%p), 아프리카(1.4%p), 중남미(1.5%p), 유럽(1.8%p), 오세아니아(2.4%p), 중동(3.0%p) 등 非아시아권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확대됐다.
중국의 수입 수요가 중간재·자본재 중심에서 1차산품(원유, 비철금속 등), 소비재(중·대형 자동차, 의약품, 화장품 등)로 이동하면서 전통적으로 가공무역 비중이 높았던 아시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축소된 것이다. 아시아 역내 국가 중 2007년 대비 2014년 일본(5.4%p하락), 대만(2.5%p하락) 등의 비중 하락이 두드러진 가운데 우리나라의 비중(0.6%p하락)도 소폭 떨어졌다.
반면 對유럽·북미의 수입비중은 소비재를 중심으로 확대. 특히 유럽으로부터는 중형차, 화장품, 의약품, 의류 등의 수입이 크게 늘었고, 북미로부터는 중형차, 의료기기, 영상녹화기기 등 수입이 확대. 오세아니아, 중동, 아프리카 등의 경우는 석유제품 등 1차산품이 늘면서 수입비중이 높아졌다.
무역협회 오세환 수석연구원은 “내수중심 및 질적고도화라는 중국의 성장전략 패러다임 전환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중 수출에서 기존 중간재, 자본재 위주 수출에서 벗어나 소비재 수출을 보다 확대하려는 노력이 긴요하다”며 “중국내 한류를 활용한 수출 마케팅 및 전자상거래 채널을 통한 중국 소비재 시장 공략 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아시아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축소된 반면 중동,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 등 아시아 이외 지역으로부터의 수입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일 발표한 ‘중국의 대륙권별 수입지도가 바뀌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對아시아 수입비중은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59.7%에서 2014년 48.7%로 11.0%p 축소된 반면, 같은 기간 북미(0.9%p), 아프리카(1.4%p), 중남미(1.5%p), 유럽(1.8%p), 오세아니아(2.4%p), 중동(3.0%p) 등 非아시아권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확대됐다.
중국의 수입 수요가 중간재·자본재 중심에서 1차산품(원유, 비철금속 등), 소비재(중·대형 자동차, 의약품, 화장품 등)로 이동하면서 전통적으로 가공무역 비중이 높았던 아시아 지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축소된 것이다. 아시아 역내 국가 중 2007년 대비 2014년 일본(5.4%p하락), 대만(2.5%p하락) 등의 비중 하락이 두드러진 가운데 우리나라의 비중(0.6%p하락)도 소폭 떨어졌다.
반면 對유럽·북미의 수입비중은 소비재를 중심으로 확대. 특히 유럽으로부터는 중형차, 화장품, 의약품, 의류 등의 수입이 크게 늘었고, 북미로부터는 중형차, 의료기기, 영상녹화기기 등 수입이 확대. 오세아니아, 중동, 아프리카 등의 경우는 석유제품 등 1차산품이 늘면서 수입비중이 높아졌다.
무역협회 오세환 수석연구원은 “내수중심 및 질적고도화라는 중국의 성장전략 패러다임 전환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중 수출에서 기존 중간재, 자본재 위주 수출에서 벗어나 소비재 수출을 보다 확대하려는 노력이 긴요하다”며 “중국내 한류를 활용한 수출 마케팅 및 전자상거래 채널을 통한 중국 소비재 시장 공략 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