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李白)의 주량에 대한 오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5-09-11 09:11본문
이백(李白, 리바이, 701~762)는 당나라 시기 시인으로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고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리고 있음.
약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하고 있으며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었음.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많은 작품에 술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이백의 주량이 얼마나 되었을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음.
두보의 시 “술에 있어서 여덟 신선에 관한 노래(飮中八仙歌)”에는
“李白一斗詩百篇(이백일두시백편), 이백은 술 한말에 백편의 시를 짓고” 라는 구절이 있음.
당나라 시기 1斗(더우, 용량 단위)는 12근(한근은 500㎖)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백의 주량이 백주(白酒) 12병에 달하는 술 신선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정확하지 않음.
당나라 시기 도수가 높은 백주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고 그때 대부분 사람들이 마시던 술은 중국의 황주(黄酒, 막걸리와 비슷한 술)로 알코올 농도는 9~15도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며 술 맛, 위에 주는 부담감 등이 맥주와 비슷한 것으로 판단됨
※ 백주 양조기술은 13세기 원나라 시기 성숙되었으며 명나라/청나라 시기 백주가 점차 황주를 대체하였음
현재 620㎖ 맥주를 기준으로 할 때 이백의 주량은 맥주 9병에 상당한 것으로 보임.
약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하고 있으며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었음.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많은 작품에 술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이백의 주량이 얼마나 되었을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음.
두보의 시 “술에 있어서 여덟 신선에 관한 노래(飮中八仙歌)”에는
“李白一斗詩百篇(이백일두시백편), 이백은 술 한말에 백편의 시를 짓고” 라는 구절이 있음.
당나라 시기 1斗(더우, 용량 단위)는 12근(한근은 500㎖)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백의 주량이 백주(白酒) 12병에 달하는 술 신선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정확하지 않음.
당나라 시기 도수가 높은 백주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고 그때 대부분 사람들이 마시던 술은 중국의 황주(黄酒, 막걸리와 비슷한 술)로 알코올 농도는 9~15도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며 술 맛, 위에 주는 부담감 등이 맥주와 비슷한 것으로 판단됨
※ 백주 양조기술은 13세기 원나라 시기 성숙되었으며 명나라/청나라 시기 백주가 점차 황주를 대체하였음
현재 620㎖ 맥주를 기준으로 할 때 이백의 주량은 맥주 9병에 상당한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