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 급성장하는데 한국 기업 공략 역부족…전략 거점 선정해 집중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04-14 22:01본문
중국 시장 급성장하는데 한국 기업 공략 역부족…전략 거점 선정해 집중해야
윤희훈 기자
입력 : 2016.04.14 06:05
중국 소비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우리 기업들은 중국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4일 '중국 소비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진출 방안' 보고서에서 “2015년 기준 한국의 대중무역수지 흑자는 469억달러(54조원)였지만 소비재 무역수지는 122억달러(14조원) 적자를 기록했다. 최근 5년 동안 대중 소비재 수입은 50억달러 증가한데 반해 대중 소비재 수출은 10억달러 증가에 그쳤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소비재소매총액은 4조8316억달러를 기록해 우리나라 3506억달러의 14배 수준에 달했다. 중국의 소비재소매총액은 2014년 전년 대비 5051억달러가 늘었고 2015년에는 전년 대비 4197억달러가 증가했다.
곽복선 경성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2014년과 2015년 소비시장 규모가 각각 전년 대비 188억달러, 90억달러 늘어난 데 반해 중국 소비시장은 규모 확대 폭이 매우 크다"며 "해마다 한국 소비시장이 1∼1.5개 정도 생기는 셈"이라고 말했다.
매년 급성장하는 중국의 소비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 세계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우리 기업들의 실적은 부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대중(對中)교역에서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소비재 분야에서는 오히려 적자 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곽 교수는 "물류비와 유통마진 등 중국 내에서의 유통 가격을 고려했을 때 중국 소비시장에서 한국 수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0.5%에 못 미친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최근 중국 소비시장 여건이 한국 기업 진출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계층별, 세대별, 트렌드별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중국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중국에서 1인당 GDP가 1만달러를 초과하는 100개 도시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교수는 "중국 소비시장에 진출하려면 세분화된 지역·고객·가격 타게팅과 정확한 포지셔닝이 필요하다"며 "도시별 시장진출 로드맵을 작성해 지역 세분화 족집게 마케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소비시장에서는 계층·세대·성별에 따른 소비패턴의 차별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1980년대 이후 태어나 인터넷세대로 자란 일자녀 세대(소황제 세대)가 소비시장 주력으로 떠오른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