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길, 한국과 꼭 닮아가고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7-08 09:21|본문
베이징올림픽 개최 이후 세계의 중심에 더욱 바짝 다가서고 있는 중국. 인구 13억명이 사는 거대한 중국에서 주민의 40%가 조선족인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주도(州都)인 연길. 1950~60년대의 한글 간판들로 빼곡한 건물, 외국의 코리아타운과 흡사한 이곳에서 조선 문화를 그대로 지켜가고 있는 조선족들이 말하는 연길의 현주소와 이들의 눈에 비친 한국인 관광객들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지난 3일 중국 장백산에서 바라본 백두산 천지의 모습. 이날 오전 9시 50분께 정상을 감싸고 있던 구름이 서서히 걷히면서 천지가 신비로운 모습을 드러냈다.
■ 산업화에 따른 농촌 이탈현상 심화
현재 연길시는 총 면적 1천350.24㎢, 시내 면적 40.66㎢, 인구는 52만 정도로 중국 전체 인구와 비교할 때 작은 도시이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조선족이다.
조선족의 문화 중심지이며 주변 농업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집산지인 연길.
하지만 산업화의 바람이 불면서 젊은층들이 대도시나 한국으로 취업을 나가면서 농촌의 일손부족 현상과 함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산물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중국 정부는 농업 활성화 대책으로 농민들이 농기계를 구입할 시 50%를 지원해주는 한편 일반 가전제품 구입시에도 30%의 할인혜택을 주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 수확 시 10% 가량 받던 세금을 폐지했으며, 1년에 1마리씩 황소를 무상으로 제공해 주고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현지인들은 "현재 농촌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농기계 작동법을 몰라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해 정부의 지원대책은 무의미하다"면서 "날이 갈수록 젊은층들의 농촌 이탈현상이 심화돼 장가를 가지 못한 농촌 총각들이 즐비하다"고 전했다.
■ 번호판 없는 차량의 정체
연길 시가지에서 번호판 없는 차량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금체납 차량의 번호판을 영치하지만 중국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번호판 없는 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신차를 구입한 운전자들이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번호판을 달지 않는 경우.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1년간 번호판을 달지 않아도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신차 운전자 대부분이 번호판을 달지 않고 운행하고 있다.
두번째는 장물인 경우. 장물을 시세보다 최고 70%가량 싸게 구입한 운전자들이 번호판 없이 차량을 운행하고 있지만 중국 경찰들은 이를 알고도 묵인하고 있다는게 현지인들의 전언이다. 현지인들은 "장물 차량 운전자들 대부분이 상당한 뒷배경(?)을 갖고 있어 경찰이 단속을 하더라도 윗선에서 손을 쓰면 눈을 감아줘야 하기 때문에 아예 단속을 하지 않는다"고 귀띔했다.
■ 이면에 감춰진 고소득층의 실태
현재 중국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은 산부인과 의사. 워낙 인구가 많다 보니 출산율이 높은데다 산모 가족들이 의사에게 산모가 편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병원비 외에 우리나라 돈으로 10~20만원 가량을 따로 건네기 때문.
산부인과 의사에 이어 마취과 의사도 고소득층 반열에 올랐다. 이들 또한 환자 가족들이 수술을 앞두고 환자가 고통을 덜 느끼게 해 달라며 따로 사례비를 건네기 때문에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다는 것.
이와 함께 현직 교사들도 남부럽지 않은 호화생활을 하고 있다. 이들의 주 수입원은 월급이 아닌 과외비. 학교 수업 시 학생들에게 평이한(?)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그치지만 자신들에게 과외를 받는 학생들에게는 시험에 나오는 내용만 골라 가르치는 이른바 쪽집게 과외를 하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가두기 위해 상당수 학생들이 현직 교사에게 고액과외를 받고 있다는 것이 현지인들의 전언이다.
■ 생수·휴지 구입에 인색한 한국 관광객
우리나라 식당이나 유흥주점 등지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는 생수나 휴지지만 중국에서는 돈을 주고 구입해야 한다.
단 현지 호텔에서는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마음놓고 사용할 만큼 넉넉하게 양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짜에 길들여진 한국 관광객들은 중국에서 생수와 휴지 때문에 곤란함을 겪을 때가 적지 않지만 무작정 현지 가이드들에게 생수와 휴지를 무상으로 요구, 이들을 난감하게 만들고 있다.
1천원짜리 커피를 사 마시는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는 한국 관광객들.
하지만 몇 푼 안되는 생수나 휴지를 사는 비용이 아까워 소심함의 극치를 보이는 한국 관광객들을 바라보는 조선족들은 부자나라의 동포들을 좀처럼 납득하기 어렵다.
조선족 3세 출신 6년차 가이드 이길남씨(30)는 "중국에는 워낙 인구가 많아 공중 화장실 등지에 휴지를 비치해 놓지 않고 있으며 생수도 무상으로 제공되지 않는데도 불구, 한국 관광객들은 한국에서처럼 공짜 생수와 휴지를 바란다"며 "자신의 몸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 한국 관광객들이 얼마 되지 않는 생수와 휴지를 구입하는데 인색한 것이 이해가 되질 않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