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한자어를 어원으로 하는 순우리말 103가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9-08-07 15:42|

본문

한자어를 어원으로 하는 순우리말 103가지 

 

 

가게 

임시로 자그마하게 지어 물건을 팔던 집을 가가(假家)라고 했는데, 오늘날 ‘가게’로 발음이 바뀌었다. 

 

가난 

‘어려울 간(艱)’과 ‘어려울 난(難)’을 합친 한자어 간난(艱難)인데, ‘가난’으로 발음이 바뀌었다. 

 

가지 

채소인 ‘가지’는 한자어 가자(茄子)의 고음(古音)에서 왔다. ‘子’의 중국 발음은 ‘자’가 아니라 ‘지’다. 한편 이 ‘지’는 북방어인 ‘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갖바치, 조라치, 누르하치 등. 

 

감자 

감저(甘藷)는 ‘달 감(甘)’과 ‘고구마 저(藷, 또는 사탕수수)’가 합쳐진 말로 ‘감자’로 바뀌었다. 

 

갑자기 

한자어 급작(急作)에 접미사 ‘이’가 붙어 ‘급작이’가 되었다가 ‘갑작이 〉 갑자기’로 바뀌었다. 

 

강냉이 

강남은 장강(양자강)의 남쪽이라는 뜻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중국에서 흘러 들어온 콩을 ‘강남콩 〉 강낭콩’이라 일컫듯이 ‘강남(江南)+이’의 말이 ‘강냉이’로 변하여 ‘옥수수’란 뜻으로 쓰인다. 

 

겨자 

개자(芥子)가 바뀐 말이다. 

 

고로쇠 

골리수(骨利樹)가 변한 말이다. 

 

고추 

고초(苦椒)가 변한 말이다. 초는 산초나무 열매를 가리킨다. 왜 ‘매울 신(辛)’을 써서 신초라고 하지 않았는지 알 수 없다. 아마도 고(苦)에 ‘고생한다’, ‘힘들다’는 표현이 있어 처음 매우 강한 매운맛을 보고 이렇게 지었는지도 모른다. 

 

곤두박질 

근두박질(筋斗撲跌 혹은 筋頭撲跌)이 변한 말이라고 한다. 북한에서 곤두란 ‘거꾸로’라는 의미로 쓰인다. 

 

과녁 

옛날에는 화살의 표적판을 가죽〔革〕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관혁(貫革)이라고 불렀다. 그것이 ‘과녁’으로 바뀐 것이다. 

 

과일 

과실(果實)의 변한 말이다. 

 

금실 

금슬(琴瑟)이 변한 말이다. 

☞ 이웃집 부부는 참 금실이 좋다. 

 

긴가민가 

‘기연(其然)가 미연(未然)가’의 준말이다. ‘그러한가, 그렇지 않은가’란 의미다. 

 

김장 

침장(沈藏), 진장(陳藏)이 변한 말이다. 

 

김치 

침채(沈菜)가 변한 말이다. 

 

끄나풀 

‘끈’이란 말에 접미사 ‘아풀’이 더해진 말로서, ‘끈’은 곧 ‘굳게 얽을 긴(緊)’의 ‘긴’이 변한 말이다. ‘아풀’은 ‘나부랭이’와 비슷한 말이다. 

 

나인 

내인(內人)이 변한 말이다. 궁궐에서 일하던 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중에 

‘내종(乃終)에’가 변한 말이다. 

☞ 오늘은 바쁘니 나중에 찾아오세요. 

 

낙지 

낙지는 발이 8개라는 뜻에서 ‘얽을 락(絡)’과 ‘발 제(蹄)’를 합쳐 낙제(絡蹄)가 되었고, ‘낙지’로 변음되었다. 

 

능금 

임금(林檎)이 변한 말이다. 

 

대수롭다 

대사롭다(大事-)가 변한 말이다. ‘대수롭지 않다’도 마찬가지다. ‘롭다’는 접미사다. 

 

대야 

세숫대야의 ‘대야’를 사전에는 ‘大也’로 써놓은 경우도 있어 이렇게 발음이 바뀌었다. 하지만 한자는 ‘大溙’로 쓰는 게 맞다. ‘溙’는 ‘그릇 이’자인데, 옛 사람들이 야(也)의 발음대로 잘못 읽은 것으로 보인다. 

 

대추 

‘棗’는 ‘대추 조’자다. 대조(大棗)라는 음이 ‘대추’로 바뀐 것이다. 

 

도무지 

도모지(塗貌紙)가 변한 말이다. 도모지는 형벌의 일종이며, 해설은 ‘도무지’ 항목에 자세히 실려 있다. 

☞ 이달 돌아오는 수표를 도무지 결제할 길이 없다. 

 

돈 

전(錢)은 현재 ‘전’으로 발음되지만, 고음은 ‘돈’이었다고 한다. 열 푼의 10곱이 1돈인데, 이때의 ‘돈’이 곧 ‘錢’이다. 한편 동몽골 지역에서는 조개를 돈이라고 하는데, 일부 학자들은 조개를 화폐로 쓰던 고대에 형성된 말이라고도 주장한다. 

 

동네 

동리(洞里)가 변한 말이다. 

 

마고자 

저고리 위에 입는 방한복을 ‘마고자’라고 한다. 이 말은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들이 말을 탈 때에 입던 마괘자(馬掛子)에서 온 것으로, ‘마고자’로 발음이 변했다. 

 

말 

마(馬)가 변한 말이다. 몽골어 ‘모린’ 혹은 ‘모리’를 중국에서 마(馬)로 표기했고, 우리나라에서는 한자어보다는 몽골어 영향을 받은 듯하다. 

 

망나니 

망량(魍魎)은 본래 괴물을 지칭하는 말인데, 죄인의 목을 베던 회자수(깩子手)의 뜻으로 의미가 변했다. 뒤에 ‘망냥이 〉 망냉이 〉 망나니’로 변하여 쓰이게 되었다. 

 

망태기 

한자어 망탁(網瞰)이 본말이다. 발음이 바뀌어 ‘망태기’가 되었다. 

 

매정하다 

‘무정(無情)하다’가 변한 말이다. 

☞ 매정한 사람, 편지를 그렇게 보냈는데 답장조차 없구나. 

 

먹 

묵(墨)이 변한 말이다. 

 

무명 

목면(木棉)이 변한 말이다. 목화솜으로 짠 피륙을 가리킨다. 

 

미역 감다 

목욕(沐浴)의 한자어가 ‘미역’으로 발음이 바뀌고, 다시 발음이 줄어 ‘멱’으로 변했다. 

 

배추 

배추는 한자어 백채(白菜)에서 왔는데, 중국어 발음에서 ‘바차 〉 배추’로 변했다. 

 

보배 

보패(寶貝)가 변한 말이다. 옛날에 조개는 화폐로 쓰였기 때문에 귀하게 여겨졌다. 

 

불가사리 

불가살(不可殺)이 변한 말이다. 아무리 해도 죽일 수 없는 사람이나 사물이라는 뜻이다. 

 

비단 

필단(匹段)이 변한 말이다. ‘다만’, ‘단지’란 의미다. 

☞ 이는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모든 아시아 국가의 문제다. 

 

사글세 

삭월세(朔月貰)가 변한 말이다. 

 

사냥 

산행(山行)의 옛 발음이 변해 ‘사냥’으로 쓰이게 되었다. 

 

사랑 

‘상대하여 생각하고 헤아리다’의 뜻인 사량(思量)이 변해 ‘사랑’이 되었다. 

 

상수리 

상실(橡實)이 변한 말이다. ‘상수리나무 상(橡)+열매 실(實)’로 구성된 한자어다. 

 

상추 

과거 국어사전에는 ‘상치’가 표준어로, 새 국어사전에는 한자어 상채(常菜)에서 변음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한자어 생채(生菜)에서 온 말일 가능성이 더 높으며, ‘날로 먹는 채소’라는 뜻이다. 

 

생쥐 

‘사향(麝香)쥐’가 변한 말이라고 한다. 

 

서랍 

책상의 ‘서랍’은 한자어 설합(舌盒)에서 변음된 말이다. 

 

성냥 

석류황(石硫黃)이 ‘석류황 〉 석뉴황 〉 성뉴황 〉 성냥’의 형태로 변하면서 줄어든 말이다. 

 

소매 

수몌(袖袂)가 변한 말이다. ‘소매 수(袖)+소매 몌(袂)’로 구성된 한자어다. 

 

수저 

시저(匙箸)가 변한 말이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수지니 

‘사람의 손으로 길들여진’이란 뜻의 수진(手陳)에서 변한 말이다. 잘 길들여진 매를 가리킨다. 

 

술래 

순라(巡邏)는 야간에 도둑, 화재 등을 경계하기 위해 인마(人馬)의 통행을 감시하던 일이다. 발음이 바뀌어 ‘술래잡기’의 ‘술래’가 되었다. 

 

숭늉 

찬물을 익힌 것이라는 뜻에서 ‘익힐 숙(熟)’과 ‘찰 랭(冷)’이 합쳐진 한자어 숙랭(熟冷)이 ‘숭늉’으로 발음이 바뀐 것이다. 

 

스님 

승(僧)에 ‘님’이 붙어 만들어진 말이다. 

 

승냥이 

시랑(豺狼)에 접미사 ‘이’가 붙어 생겨난 한자어 ‘시랑이’가 변한 말이다. 

 

시금치 

채소 ‘시금치’는 한자어 적근채(赤根菜)의 근세 중국어 발음이 변한 것이다. ‘채(菜)’는 우리말에서는 ‘김치, 상치, 배치’ 등과 같이 거의 ‘치’로 변음되어 쓰인다. 

 

시시하다 

‘세세(細細)하다’가 변한 말이다. ‘사소(些少)하다, 사세(些細)하다, 미미(微微)하다’와 같은 뜻이다. 

☞ 시에서 축제를 벌인다고 해서 가보았더니 너무 시시하더라. 

 

썰매 

‘썰매’는 죽마(竹馬) 형태의 한자음인 설마(雪馬)가 바뀐 것이다. 

 

쓸쓸하다 

‘슬슬(瑟瑟)하다’가 변한 말이다. ‘적적하다’와 같은데, ‘적적하다’ 역시 적적(寂寂)이란 한자어에서 온 말이다. 

 

아까 

아기(俄旣)가 변한 말이다. ‘잠시 아(俄)’와 ‘이미 기(旣)’로 된 한자어에서 왔다. 

 

아리땁다 

‘아려(雅麗)답다’가 변한 말이다. 

 

얌체 

염치(廉恥)가 변한 말이다. 

 

양재기 

양자기(洋磁器)가 변한 말이다. 

 

양치 

양지(楊枝)가 변한 말이다. 양지는 버드나무 가지를 가리킨다. 고려 시절부터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로 사용한 데서 생겨난 말이다. 

☞ 충치를 예방하려면 양치질을 잘 해야 한다. 

 

앵두 

앵도(櫻桃)가 변한 말이다. 

 

억수 

악수(惡水)가 변한 말이다. 

 

억척 

악착(齷齪)이 변한 말이다. 

☞ 내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돼 아버지를 사별한 어머니는 억척같이 일해서 우리 형제를 길렀다. 

 

엄두 

염두(念頭)가 변한 말이다. 

☞ 혼자서 그 많은 일을 하자니 엄두가 나지 않는다. 

 

영계 

연계(軟鷄)가 변한 말이다. 

 

오랑캐 

『용비어천가』에 의하면 두만강 북쪽에 사는 유목민을 오랑캐〔兀良哈〕라고 칭한 데서 연원된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우량카다이란 부족이 있었고, 이를 한자로 표현한 말이라고 알려져 있다. 

 

으레 

의례(宜例)가 변한 말이다. 

☞ 철수는 아버지를 찾아갈 때마다 으레 찹쌀떡을 사 들고 간다. 

 

자두 

자도(紫桃)가 변한 말이다. 

 

작두 

작도(斫刀)가 변한 말이다. 

 

잠깐 

잠간(暫間)이 변한 말이다. 잠시(暫時)와 같다. 

 

잠자코 

‘잠잠(潛潛)하고’가 변한 말이다. 

☞ 말은 내가 할 테니 너는 잠자코 있어라. 

 

잡동사니 

잡동산이(雜同散異)가 변한 말이다. 

 

재미 

자미(滋味)가 변한 말이다. 

☞ 이 만화는 참 재미있다. 

 

재주 

재조(才操)가 변한 말이다. 

 

재촉 

최촉(催促)이 변한 말이다. 

☞ 요즘에 김 진사 댁에서 빚을 갚으라는 재촉이 너무 심하구나. 

 

절구 

‘공이 저(杵)’와 ‘절구 구(臼)’가 합쳐져 저구(杵臼)란 어휘가 만들어졌는데, 발음이 ‘절구’로 변했다. 

 

접시 

접(晌)은 ‘접시 접’자이고 ‘子’는 접미사이다. ‘子’의 고어(古語)는 ‘지’인데 ‘시’로 바뀌었다. 

 

제육 

저육(猪肉)이 변한 말이다. ‘돼지 저(猪)’와 ‘고기 육(肉)’이 ‘제육’으로 변한 것이다. ‘제육볶음’이라고 할 때의 제육이다. 

 

조용히 

종용(從容)의 한자어가 ‘조용’으로 바뀌었다. 

☞ 그만 떠들고 조용히 해라. 

 

종지 

‘간장 종지, 고추장 종지’의 ‘종지’도 한자어 종자(鍾子)에서 온 말이다. 그러므로 ‘쇠북 종(鐘)’과 ‘술잔 종(鍾)’은 구분해야 한다. ‘子’의 중국 발음은 ‘지’다. 

 

주책 

주착(主着)이 변한 말이다. 

☞ 주책 좀 그만 부려라. 

 

지렁이 

‘지렁이’를 토룡(土龍)이라고도 하는데, ‘지룡(地龍)+이’가 ‘지렁이’로 변한 것이다. 

 

창자 

장자(腸子)가 변한 말이다. 

 

처마 

본래 한자어 첨아(畯牙)인데 연음되어 ‘처마’로 바뀌었다. 

 

천둥 

중국 한자음에는 없는 말로서, 뇌성(雷聲)의 한국 한자어 ‘천동(天動)’이 변한 말이다. 

한편 벼락은 한자어 ‘벽력(霹靂)’이 변한 말일 가능성이 있다. 

 

철부지 

철모르는 아이란 의미의 이 어휘는 절기를 나타내는 ‘절(節)’과 ‘부지(不知)’가 합성된 한자어다. 

 

철쭉 

척촉(躑躅)이 변한 말이다. 

 

초라하다 

‘초락(草落)하다’가 변한 말이다. 

 

초승달 

‘초생(初生)달’이 변한 말이다. 

 

추접하다 

‘추잡(醜雜)하다’가 변한 말이다. 

 

토시 

투수(套袖)가 변한 말이다. 소매를 덮는 것이 토시다. 

 

패랭이 

신분이 낮은 사람이나 상주가 쓰던 갓의 일종을 폐양자(蔽陽子) 또는 평양자(平崣子)라고 했다. ‘패랭이’는 곧 폐양(蔽陽), 평양(平崣)의 발음이 바뀐 뒤 접미사 ‘이’가 덧붙은 말이다. 

 

피리 

관악기의 하나인 ‘피리’는 한자어 필률(觱篥)의 중국식 발음인 ‘비리’에서 온 말이다. 

 

호두 

호도(胡桃)가 변한 말이다. 

 

호락호락 

홀약홀약(忽弱忽弱)이 변한 말이다. 

 

호래자식, 후레자식 

호노자식(胡奴子息)이 변한 말이다. 오랑캐(특히 만주족)의 자식이란 뜻이다. 

 

화냥년 

환향녀(還鄕女)가 변한 말이다. 

 

화수분 

재물이 한없이 쏟아진다는 그릇을 뜻하는 하수분(河水盆)이 변한 말이다. 

 

후추 

호초(胡椒)가 변한 말이다. 초는 산초나무 열매를 가리킨다. ‘호(胡)’가 들어가면 대부분 중앙아시아 쪽에서 들어온 말이고, 일부 원나라나 청나라 등 중국을 차지한 유목국가에서 들어온 말도 있다. 

 

흐지부지 

‘확실하지 않고 흐리멍덩하다’는 한자어 휘지비지(諱之秘之)가 변한 말이다.

0

동포사회 목록

동포사회 목록
중국 조선족 기업인 남기학 예지아광학기술그룹 회장, 중국 과… 인기글 남기학(59) 중국 예지아(烨嘉)광학기술그룹 회장이 '2020년 중국 과학혁신 우수발명성과상'을 받았다고 흑룡강신문이 전했다. 남회장은 광학렌즈부문 발명특허로 올해 2개의 상을 거머쥐였다. 휴대전화와 카메라, TV 등 전자제품과 차량에 들어가는 광학렌즈로, 삼성과 LG, 소니 등 세계 5대 전자회사에 …(2020-12-30 23:25:41)
중국 조선족 동포들을 영원히 잊지 말고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인기글 청산리대첩과 간도참변 100주년, 그리고 조선족 동포 100년 전 오늘, 1920년 10월 21일 간도 지역(연변지역)에서 독립군이 일본 정규군과 싸워 대승한 청산리대첩을 시작한 날이다. 10월 21일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전투로 시작된 이 대첩은 완루구, 천수평, 어랑촌, 맹개골, 만록구, 천보산, 고동하 …(2020-10-26 14:41:06)
중국대륙을 누빈 불멸의 항일운동가 조선족여성 이화림!...… 인기글 여성독립운동가를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대체로 유관순을 떠올린다. 유관순에 더해 임시정부의 어머니이자 <장강일기>의 주인공 정정화 여사를 거론하기도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영화 <암살>에서 총을 든 저격수 여성 독립군 안옥윤(전지현 분)이 연기한 남자현 여사를…(2020-09-22 01:20:15)
‘조선언어문자의 날’ 연변의 경제문화발전에 중요한 역할! 인기글  9월 2일은 일곱번째 ‘조선언어문자의 날’이다.  ‘조선언어문자의 날’은 2014년 3월 25일 주 제14기 인대상무위원회의에서 “연변조선족자치주인민정부의 ‘조선언어문자의 날’을 설립할데 대한 의안”을 심의통과하면서 만들어 졌다.  심의가 통과되면서 매년 9월 2일을 법적으로 “조선언어문자의 날”로 확정하였고 3월 26…(2020-09-03 23:49:16)
민족과 모국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인기글 세계화와 민족문화 -민족과 모국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김호웅(연변대학 교수) 안녕하십니까? 연변대학 개교 70주년을 맞아 축제의 분위기가 넘치는 이 와룡산 언덕에서 전국에서 달려온 애심(爱心)식구들과 만나서 대단히 기쁩니다. 정말 아름다운 꽃밭에 앉은 기분입니다.〈꽃밭에서〉라는 노래를 부르고 싶습니다. 요즘 …(2020-08-12 14:53:41)
장백현당위 통전부 조선어문자 사용 문제점들에 중시 인기글 장백현당위 통전부 조선어문자 사용 문제점들에 중시 ​최창남장백현당위 통전부 조선어문자 사용 문제점들에 중시장백현당위 통전부 조선어문자 규범화에3239사회종합​장백조선족자치현당위 통전부에서 조선어언어문자 사용에 중시를 돌리고 있다.6월8일 오후, 현당위 통전부 장승길 부부장이 현정협위원회의 부분적인 조선족위원들을…(2020-06-10 08:17:35)
민족어를 위한 도전 인기글 민족어를 위한 시대적 도전 _ 황유복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중앙민족대학에 조선어문학과가 설립되었다. 그동안 조선어문학과는 조선어문학부로 성장하였고, 우리가 조선족일 수 있게 하는 우선 조건인 민족 언어와 문학을 지켜가기 위해 지금까지 혼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민족은 역사적 기원, 생산방식, 언어, 문화, 풍…(2020-05-29 14:21:33)
조선족 동포 지충국·김경도, 중국 축구 대표팀에 승선 인기글 최근 중국축구협회는 남자축구대표팀 명단을 발표하였다. 그중에는 조선족 동포 선수 지충국과 김경도가 포함 되였고 지난번 국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렸던 고준익 선수는 아쉽게도 낙선되었다. 반면 새로운 브라질 귀화선수 알로 이시우(Aloísio-1988.6.19)가 처음으로 대표팀에 합류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2020-05-07 04:54:01)
조선민족은 왜 스스로 위대하다고 할가 ? 인기글 된장의 넋 조선민족은 왜 스스로 위대하다고 할가? 장독에서 탄생한 종족이기 때문에... 나의 학력은 초등학교 3학년이다. 그때 문화대혁명을 맞아 공부하기 싫어서 그냥 놀음에 미쳐서 다녔기 때문이다. 그런 무식한 사람, 고까짓 된장이나 만들어 파는 소상인 주제에 무슨 민족문제까지 운운한다는 것이 스스로도 꼴불견인것 같기도 …(2020-03-24 00:39:18)
중국 조선족 동포들, ‘코로나19 극복’ 고국에 도움의 손길 인기글 중국 조선족동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고국에 줄지어 도움의 손길을 보내고 있다. 중국 11개 도시의 조선족 여성협회 연합체인 ‘전국애심여성포럼’은 대한적십자사에 중국 돈 70,789위안(한화 1,225만원)을, 중국 수도권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들이 회원인 민간단체 ‘북경애…(2020-03-20 16:36:55)
"조상이 피로 지킨 대한민국…가만 지켜볼 순 없어" 인기글 재중 독립운동 지사 후손들, 코로나19 극복 성금 모아 보내와 "조상이 피로 지킨 대한민국…가만 지켜볼 순 없어"재중 독립운동 지사 후손들, 코로나19 극복 성금 모아 보내와​"선조들이 지킨 대한민국, 코로나19 이겨내길"​ 18일 중국 상하이의 한국 총영사관에서 김광릉(오른쪽)씨 등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최영삼 총영사(오…(2020-03-19 00:49:15)
재한조선족유학생네트워크(KCN), 대구 의료진들에 응원의 물… 인기글 코로나 19사태가 심각 단계로 격상하면서 한국 사회 전체의 불안감이 고조되고있다. 24시간 비상체제로 근무하고있는 대구지역 의료진 및 정부 관계자들에 힘을 보태주고 코로나 19로부터 대한민국 지역사회가 하루 빨리 안정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국 내 조선족 유학생 단체인 재한조선족유학생네트워크(이하 KCN)는 환자가…(2020-03-14 00:13:38)
커시안 박걸 회장, 코로나19 퇴치방지에 인민페 500만원(… 인기글 박걸 회장, 코로나19 퇴치방지에 500만위안 쾌척 커시안회사 장삼원표 홍삼정, 방호복 등 물품 속속 전 달 ▲사진설명: 커시안그룹 임직원들의 사랑이 담긴 장삼원표 홍삼제품이 베이징본부에서 질병퇴치 병원으로 출하하고 있다. 커시안그룹의 박걸 회장이 코로나19 퇴치방지에 두 팔을 걷고 나섰다. 커시안그룹에서 생산하는…(2020-02-20 20:41:49)
재한동포문인협회, 14일 주한중국대사관에 '코로나1… 인기글 중국의 코로나19 퇴치가 하루속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간절히 기원​ 주한 중국대사관에서는 최근 “후베이성 우한시 등 중국 내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방역 퇴치에 도움을 주어 중국 인민들이 하루빨리 이겨낼 수 있도록 협조하고 격려하고 싶다”는 재한중국인사회의 열망에 따라 기부금계좌를 개설하였다. …(2020-02-18 01:27:21)
사실 보도 ‘블랙홀’의 실체를 알아본다 인기글 사실 보도 ‘블랙홀’의 실체를 알아본다 요즘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사망자 및 확진자에 대한 추이 상황이다. 이동렬 동북아신문 대표. 소설가, 언론인. 모 국내 언론에 따르면 “2020년 1월 29일 당시만 해도 중국 내 확진자는 5494명이었는…(2020-02-13 17:32:1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