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살리는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7-07 06:28본문
심폐소생술은 갑작스런 심장정지 환자에게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순간의 대처가 생사를 좌우하는데, 의료계는 심장정지 후 4~8분을 기적의 골든타임이라 부른다. 이보다 산소 공급이 늦으면 치명적인 뇌손상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국내 심장정지 후 퇴원생존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5%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보고됐다.
심장정지 환자는 주로 집밖에서 발견된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알면 그만큼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을 받고 입원한 환자의 퇴원생존율은 13.7%로 높게 나타났다. 책임질까 두려워 망설일 필요도 없다. 지난 2008년 선한 사마리안법이 발효되면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은 응급상황에서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다. 유용한 심폐소생술 방법을 소개한다.
1. 확인= 환자의 어깨를 두드려 의식과 반응을 확인한다.
2. 119= 환자 반응이 없다면 주변이나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
3. 흉부압박=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를 손꿈치로 빠르게 압박한다. 1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매번 5~6cm 깊이로 강하게 눌러준다.
4. 인공호흡= 환자 머리를 젖혀 기도를 열고, 코를 막고 가슴이 부풀어 오를 정도로 숨을 2회 불어넣는다. 약물중독에 따른 질식이 아니라면 과도한 인공호흡은 불필요하다.
5. 반복=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심장정지 환자는 주로 집밖에서 발견된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알면 그만큼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을 받고 입원한 환자의 퇴원생존율은 13.7%로 높게 나타났다. 책임질까 두려워 망설일 필요도 없다. 지난 2008년 선한 사마리안법이 발효되면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은 응급상황에서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다. 유용한 심폐소생술 방법을 소개한다.
1. 확인= 환자의 어깨를 두드려 의식과 반응을 확인한다.
2. 119= 환자 반응이 없다면 주변이나 119에 도움을 요청한다.
3. 흉부압박=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를 손꿈치로 빠르게 압박한다. 1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매번 5~6cm 깊이로 강하게 눌러준다.
4. 인공호흡= 환자 머리를 젖혀 기도를 열고, 코를 막고 가슴이 부풀어 오를 정도로 숨을 2회 불어넣는다. 약물중독에 따른 질식이 아니라면 과도한 인공호흡은 불필요하다.
5. 반복=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