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텐센트 공격적인 투자로 사업다각화 시도, 시장 반응은 미온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08-24 15:06|

본문

텐센트 공격적인 투자로 사업다각화 시도, 시장 반응은 미온적


2018.08.24


중국 ‘인터넷공룡’ 기업 텐센트는  유독 중국 국내 라이벌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의 사업을 견제할 수 있는 스타트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어  중국 벤처캐피털 '큰손'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실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텐센트는 벤처 투자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텐센트로부터 투자를 받는 기업들은 알리바바등 경쟁사로부터 투자를 유치 하거나 전략적 제휴를 하지 않는다는 점을 계약에 명시해야 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가 보도한 바 있다.


중국 데이터 플랫폼 IT쥐쯔(IT桔子)에 따르면 텐센트는 올 들어 지난 7월말 현재까지 지난 한해 투자규모를 넘었는데  모두 93개 기업에  1874억7200만 위안(약 30조8000억원)을 투자 한 것으로  중국  경제일간지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가 최근  보도했다.  


텐센트 투자의 특징은 전자상거래, 게임, 물류,교통, 기업서비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교육 등 스타트업 분야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방면에서 이뤄지고 있는데, 텐센트의 투자액수로 보면 알리바바나 바이두와 비교시  각각 2배, 3배 많은 투자 규모를 나타내고 있지만 실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텐센트가 투자한 대표적인 스타트업으로는 최근 나스닥에 상장한 중국 소셜네트워크(SNS) 기반 신흥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 (拼多多), ​'배틀그라운드' 게임 개발사인 한국업체 블루홀, SNS 기반 전자상거래 신생 기업인 샤오훙수(小紅書), 하오이쿠(好衣庫), 

모바일 고객관계관리(CRM) 기업 샤오서우이(銷售易), 중국 화물트럭 공유기업인 만방(滿幇)그룹, 프랑스 게임업체 유비소프트, 중국 온라인교육 최대 서비스업체  신둥팡온라인(新東方在線), 영화·엔터테인먼트 기업 신리미디어(新麗傳媒),

 라이브 동영상기업 후야즈보(虎牙直播), '중국판 유니클로'로 불리는 남성복 SPA 업체 하이란즈자(海瀾之家) 등이 있다.  해외 유망 스타트업 투자는  인공지능(AI) 기반 뉴스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 2대 뉴우스앱인 '인도판 진르터우탸오(今日頭條)'  뉴스도그에 5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C 투자에 참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공격적인 스타트업 투자에도 불구하고 텐센트는 2분기 실적 부진으로 주가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중국 인터넷 시장에 대한 우려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CNBC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텐센트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736억8000만위안(약 12조700억원)으로 지난해 동 기간 대비  30%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2% 줄어든 179억위안(약 2조9200억원)에 그쳤다.
 

특히 게임 부문의 실적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라인 게임 매출은   중국 감독 당국의 규제의 영향과 게임에 대한 검열 강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176억 위안(약 2조 8800억원)에 그쳤다. 

  텐센트의 순이익이 감소한 것은 2005년 이후 13만에 처음으로 텐센트(T)와 함께 'BAT'로 불리는 알리바바(A)와 바이두(B)의 주가도 최근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텐센트의 현재(16일) 주가는 올해 고점 대비 7개월만에 약 30% 하락하여 알리바바  24%가량  바이두  20%가량 하락과 비교시 가장 큰 낙폭으로 떨어졌다.


이와 관련, 미·중 무역전쟁 여파,위안화 평가절하, 미국의 중국에 대한 지적재산권 강화 움직임 등 외부요인과 함께 향후 중국 인터넷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사실 텐센트가 세계적인 인터넷기업으로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창업 초기부터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사업을 확장한 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향후에는  사업구조를 다각화 하고  사업별 수익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해당 분야에서 기술적인 우위를 주도 하지 못하면 성장 동력을 급격히 상실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대표적인 IT 첨단 기술 기업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 기업의 최근 주가 하락 요인은 사용자 수 증가 둔화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라면, 중국의 대표적인 3대 IT 기술주(BAT)의 부진은 미국·중국 간의 무역 분쟁, 위안화 절하 등의 영향을 받고 있어 더욱 유동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0

이슈 목록

이슈 목록
중국 신세대와 남성이 성형미용에 관심많아 인기글 중국 신세대와 남성이 성형미용에 관심많아2018-08-31중국의 한 민간기업이 발표한 <2018신양의료미용백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주링허우 세대가 성형미용에서는 단연주류이고 링링허우 세대의 소비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 2,000만 명의 의료미용 소비자 중 64%는 주링허우, 19%는 링링허우로 집계되어 신세대가 전체의 81%를 차지했는데 이들은 졸업, 구직, 연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미용의 힘을 빌리고 있다.중국신문망이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IS…(2018-08-31 05:52:41)
중국 가전제품 온라인 판매량 30% 이상 증가 인기글 중국 가전제품 온라인 판매량 30% 이상 증가2018.08.24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가 4년뒤 미국의 2배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포레스터(Forrester)가 발표한 ‘중국과 전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의 현황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전자상거래 규모는 1조8000억 달러(약 2016조9000억원)에 달한다고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가 21일 보도했다. 알리바바·징둥으로 대표되던 전자상거래 시장에 신흥 강자들이 속속 등장하며 성장에 가속도가 붙고 …(2018-08-24 15:16:39)
구글, 중국 클라우드 시장 진출 모색 인기글 구글, 중국 클라우드 시장 진출 모색2018.08.24구글이 중국 내 클라우드(Cloud 가상저장공간) 사업을 위해 텐센터, 인스퍼 등 현지 IT 업체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구글이 중국 텐센트 등과 손잡고 중국 검색엔진에 이어 클라우드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중국 클라우드 시장은 현재 알리바바가 장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구글과 텐센트의 연합은 더 주목을 받고 있다.앞서, 다이랜 그린 구글 클라우드 대표는 “우리는 세계적 클라우드 업체가 되고 싶다”며 사업 확…(2018-08-24 15:15:22)
중국, 네티즌 규모 8억 명 초과 인기글 중국, 네티즌 규모 8억 명 초과2018.08.242018년 6월 말까지 중국 네티즌의 규모가 8억 명을 넘어섰으며, 모바일 네티즌 규모는 7억 8800만 명에 달한다고 현지 언론사는 보도하였다.지난 20일 중국 인터넷 정보 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6월까지 현재 중국의 네티즌 규모는 8억 200만 명으로 인터넷 보급률은 57.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상반기에는 총 2968만 명의 네티즌이 신규 가입하였으며 2017년도에 비해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2018-08-24 15:13:34)
지금 중국 펀드에 투자할 적기인가? 인기글 지금 중국 펀드에 투자할 적기인가? 2018.08.24한국에선 공모펀드 가운데 해외펀드 비중이 30%에 불과 하지만 일본에선 무려 규모가 70%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점차 가속화 되는 고령화 추세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점점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 역시 일본처럼 해외투자 비중은 앞으로 더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가운데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다음 달 15일부터 취업 자격을 갖고 중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자연인)이 A주를 거래할 수 있…(2018-08-24 15:12:10)
BAT 위상 여전하지만, 고객 서비스 선점에 달려 있다. 인기글 BAT 위상 여전하지만, 고객 서비스 선점에 달려 있다.2018.08.24중국에서 글로벌 ICT 전자업계를 호령하던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의 시대가 끝나고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강력한 ICT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대의 리딩그룹으로 군림했으나 최근 벌어지고 있는 미중 무역전쟁을 비롯해 후…(2018-08-24 15:10:06)
[열람중]텐센트 공격적인 투자로 사업다각화 시도, 시장 반응은 미온적 인기글 텐센트 공격적인 투자로 사업다각화 시도, 시장 반응은 미온적2018.08.24중국 ‘인터넷공룡’ 기업 텐센트는 유독 중국 국내 라이벌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의 사업을 견제할 수 있는 스타트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어 중국 벤처캐피털 '큰손'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실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텐센트는 벤처 투자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텐센트로부터 투자를 받는 기업들은 알리바바등 경쟁사로부터 투자를 유치 하거나 전략적 제휴를…(2018-08-24 15:06:45)
중국 만 60세 이상 노인 인구 2.4억 명으로 중국 전체 … 인기글 중국 만 60세 이상 노인 인구 2.4억 명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17.3%2018.08.24최근 중국 민정부(民政部)가 발표한 2017년 사회 서비스 발전 통계 관보에 따르면 2017년 말까지 중국 전국에 만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24,090만 명에 달하며 이는 총인구의 1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는 15,8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1.4%를 차지한다.노령 서비스업 방면에서 보면, 중국 전국에는 총 1,600개의 고령화 사업이, 2만 개의 노인…(2018-08-24 15:04:16)
중국, 35세 미만 청년들 대부분 노후 준비 안하고 있어 인기글 중국, 35세 미만 청년들 대부분 노후 준비 안하고 있어2018.08.24최근 상하이에서 열린 '노후 투자 미래 비전’ 포럼에서 금융자회사인 앤트파이낸셜(Ant Financial, 蚂蚁金服)와 푸다(富达) 국제 연합이 발표한 2018년 중국 노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35세 이하 청년 중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노후 지원금으로만 노후 대비를 하려는 중국의 청년이 적지 않지만 청년의…(2018-08-24 15:02:41)
징동닷컴, 인도네시아에 해외 1호 무인상점 개점 인기글 징동닷컴, 인도네시아에 해외 1호 무인상점 개점2018.08.17 중국의 전자 상거래 업체 징동닷컴(京东 JD.com Inc)이 무인 상점 기술을 활용한 해외 1호 ‘JD.ID X-마트’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오픈했다. 이번 무인 상점 해외 오픈은 징동닷컴이 추구하는 ‘유통의 서비스화’ 전략의 일환이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무인상점 기술을 적용한 사례다.무인상점은 RFID, 안면인식, 화상인식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구매 과정을 추적한다. 매장 곳곳에 배치된 카메라는 소…(2018-08-17 16:54:35)
중국, 드론 산업 천 억대 규모 달성 전망 인기글 중국, 드론 산업 천 억대 규모 달성 전망2018.08.17중국 현지 언론사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2018년 장강삼각주(长三角) 드론 산업 혁신 경진 대회, 장강삼각주 드론 안전 관리 및 합동 발전 포럼이 상하이 칭푸구에서 개최되었다. 전세계가 이미 ‘드론전쟁’에 접어들면서 각 나라에서는 드론을 소방, 방범, 운수 등 각종 산업과 분야에 접목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 그중 중국의 드론 산업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 정책을 뒷받침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2018-08-17 16:52:56)
중국 상반기 환경보호세 17.5억 위안 증가, 녹색 발전 적… 인기글 중국 상반기 환경보호세 17.5억 위안 증가, 녹색 발전 적극 추진 중2018.08.17중국의 환경 보호 세법이 지난 1월부터 실행된 이후 세금 징수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녹색세제(绿色税制)가 촉진하는 친환경 성장이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현지 언론사들은 보도하였다. 중국 국가세무총국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분기 환경보호세 납세자가 신고하여 국고에 귀속시킨 금액은 52.2억 위안으로 지난 1분기와 비교하였을 때 7.6억 위안 증가하여 연관상대비율이 17% 증가한 …(2018-08-17 16:51:41)
중국 철강재 가격, 상승세 유지 전망 인기글 중국 철강재 가격, 상승세 유지 전망2018.08.17중국의 철강재 내수가격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중국 철강제품 전 품목이 상승해 일시적 국면이 아니라 가격 상승기류가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위안화 환율 안정조치를 취한데 이어 지난 7일 가치를 소폭 올려 기준환율을 고시하면서 철강제품의 달러 표시 가격 또한 상승세를 이어갔다.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7일 달러화 대비 위안화 기준 환율을 6.8431위안으로 고시해 전 거래일 대비 위안화 가치가 0.12…(2018-08-17 16:49:37)
동북3성 에어컨 판매량 170배 증가 인기글 동북3성 에어컨 판매량 170배 증가 2018.08.17중국 지린(吉林)∙랴오닝(辽宁)∙헤이룽장(黑龙江省) 동북3성 지역을 덮친 찜통 더위에 에어컨 판매량이 전년 대비 수십 배씩 늘면서 에어컨 설치기사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각 가전판매업체들은 베이징, 톈진, 칭다오, 상하이 등 전국 각지의 설치기사를 동북3성에 파견하고 있다. 중국 가전판매업자 궤메이(国美)에 따르면 동북3성 지역 에어컨 판매량은 전년 동기 …(2018-08-17 16:40:21)
갈라서자 중국 이혼소송 십중팔구는 여성이 제기 인기글 갈라서자 중국 이혼소송 십중팔구는 여성이 제기2018-08-17 전통 결혼관 싹 달라져 이혼 급증불화 이혼수속 간편 원인도 다양 급속한 경제발전과 빠른 도시화에 따라 전통적 결혼관이 바뀌면서 중국 사회에 이혼율이 급증하고 있다. 2017년 이혼수속 총 건수는 437만4000건으로 전년에 비해 5.2% 늘어났다. 이혼…(2018-08-17 16:17:26)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