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中 90년대 생, 임대 아파트’ 선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7-20 17:14|

본문

中 90년대 생, 임대 아파트’ 선호

[2017 07-20]

中 90년대 생, ”우린 기성 세대와 달라”…
‘내 집 마련’보다 ‘임대 아파트’ 선호

중국 90년대 생이 내 집 마련에서 임대 아파트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30년간 매달 월급을 초과하는 부동산 대출금을 갚아나가기보다는 현재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 정부도 날로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청년에게 임대 아파트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지난 17일 싱가포르 롄허자오바오(联合早报) 보도에 따르면 중국 1선 도시의 집값이 고공 행진하고 중국 90년대 생의 생활 관념이 변화하면서 청년 임대 아파트가 더욱 성행하고 있다. 

관련 인사는 “비즈니스 모델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정부의 지원을 얻을 수 있다면 청년 임대 아파트는 1선 도시의 집값을 안정시키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90년대 생은 집의 면적보다는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더 관심이 있다. 지난해 말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작성한 ‘사회 청서(社会蓝皮书)’에 따르면 약 30%의 90년대 생이 대학 졸업 후 1년 간 면적이 20㎡가 채 안 되는 비좁은 곳에서 거주한다. 

청서는 삶의 만족도를 중요시하는 90년대 생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달리 취업해도 집을 사지 않는 세대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청서에 따르면 90년대 생의 3분의 1만이 집을 사기 위해 삶의 질을 낮추겠다고 대답했다. 55%가 넘는 90년대 생이 집을 사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30년간 매달 부동산 대출금을 갚아나갈 여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베이징에 사는 류후이(25세) 씨는 최근 청년 임대 아파트로 이사했다. 이 아파트의 면적은 20㎡ 미만으로 협소하지만 월세는 4200위안(약 70만원)으로 비싼 편이다. 

류 씨는 “월세가 월급의 절반을 차지하기 때문에 따로 내 집 마련을 위해 저축할 돈이 없다”며 “편안하고 행복한 날을 얻었기 때문에 충분히 만족한다”고 말했다. 

류 씨가 임대한 주택 가격은 1㎡당 7만 위안(약 1167만원)에 달한다. 18평 정도의 원룸을 사려면 최소한 420만 위안(약 7억원)이 필요하다. 

류 씨는 “부모님이 120만 위안(약 2억원)을 지원해주실 수 있지만 나머지 300만 위안(약 5억원)은 30년 동안 상환해야 하는데 이 경우 매달 할부금만 1만8000위안 정도(약 300만원)”라며 혀를 내둘렀다.


1선 도시의 집값은 청년층의 평균 연봉의 40배에 달한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13~2016년 베이징, 상하이에서 처음 주택을 매입하는 사람의 평균 연령이 30세에서 34세로 늦춰졌다

중국의 유동인구가 점차 늘면서 임대 주택 산업이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중국 국가 위생계획위원회가 발표한 유동인구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유동인구는 2.47억 명이었지만 2020년에는 2.82억 명, 2030년에는 3.2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13년 후 중국 인구의 5분의 1이 한곳에 정착하지 않은 채 이리저리 옮겨 다니게 되는 것이다. 

중국 부동산 중개회사 롄자(链家)에서 내놓은 최근 보고서는 2015년 임대 주택 거주자가 1.6억 명이었지만 2020년에는 1.9억 명, 2030년에는 2.7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 부동산업계와 정부도 청년들에게 집을 사는 것보다 임대를 하는 것을 적극 권하고 있다. 

웨이예(伟业) 워아이워지아(我爱我家) 그룹 후징후이(胡景晖) 부총재는 중국 언론 참고소식망(参考消息网)과의 인터뷰에서 “전례 없이 엄격한 주택 매입 제한 정책이 쏟아지면서 일부 부동산업체는 부동산 매매업에서 임대업으로 서비스를 전환했다”며 “중국의 30대 부동산업체 중 3분의 1은 이미 아파트 임대 시장에 진출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인터넷 부동산업체도 임대 주택 시장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중국 온라인 결제 서비스 회사인 알리페이(支付宝)는 인터넷 부동산업체 모구주팡(蘑菇租房)과 협력해 임대 주택 시장에 뛰어들었다. 

샤오미의 설립자인 레이쥔(雷军)은 YOU+국제 청년 아파트에 1억 위안(약 167억원)을 투자했다. 일부 유명 호텔 그룹도 워취(窝趣)∙모팡(魔方) 등 싱글족을 타깃으로 한 고급 아파트를 내놨다. 

중국 정부도 대도시의 과열된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임대 주택 시장의 발전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국무원은 공문을 통해 부동산업체의 임대 주택 서비스를 지지한다고 명확히 밝혔으며 상업용 주택을 임대 주택으로 개조하는 것을 최초로 허가했다. 

베이징시도 향후 5년간 건설 예정인 주택 150만 채 중 50만 채를 임대 주택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0

이슈 목록

이슈 목록
일본인도 존경하는 3명의 중국인 인기글 일본인도 존경하는 3명의 중국인[2017 07-25]일본인도 존경하는 3명의 중국인중국과 일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 주요한 모든 분야에서 장기간 대립하고 있다. 양국 국민들의 친밀도는 한마디로 '앙숙(怏宿)'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수천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에서 수많은 위인이 탄생했고, 일본과 깊…(2017-07-25 15:38:34)
중국 무인항공기 엄청 팔린다. 인기글 중국 무인항공기 엄청 팔린다.[2017 07-25]중동의 美 동맹국, 중국 무인항공기 구매 열기…가격대비 성능 뛰어나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고성능인 중국의 무인 전략 정찰기 '샹룽(翔龙)'. 자료=中国军网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 등 중동의 미 동맹국들이 최근 미…(2017-07-25 15:33:12)
中, `통합 만능 카드` 발급 인기글 中, `통합 만능 카드` 발급[2017 07-25]中,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만능 카드` 발급중국 베이징시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만능 카드'를 발급한다고 밝혔다. 이 카드로 교통수단은 물론, 의료·금융 등 서비스도 누릴 수 있다. 지난 18일, 베이징시 민정국(民政局)은 팡산(房山), 창핑(昌平) 등 지역…(2017-07-25 15:28:29)
한국내 기업도 '위챗' 계정 가능하다. 인기글 한국내 기업도 '위챗' 계정 가능하다.[2017 07-25 ]나스미디어, 한국기업 '위챗' 계정 개설 돕는다텐센트 공식 광고 집행 대행사, 디지털 미디어 플래닝 제공KT그룹의 디지털 미디어 렙사 나스미디어(대표 정기호)가 중국 대표 메신저 '위챗'에 한국 기업이 기업 공식 계정을 간편하게 개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2017-07-25 15:17:55)
동남아 중국 의존도 한층 심화… 인기글 동남아 중국 의존도 한층 심화…[2017 07-25 ]동남아 중국 의존도 한층 심화…필리핀∙태국∙말레이시아 이어 미얀마까지미얀마, 장기 혼란 종결 목표로 중국에 의지하기로 결정 2016년 8월 중국을 방문한 미얀마 지도자 아웅 산 수치는 "나는 인근의 우방인 중국이 우리의 평화 프…(2017-07-25 15:12:16)
中도 여름방학 성형 열풍… 인기글 中도 여름방학 성형 열풍…[2017 07-25 ]中 여름방학 성형 열풍…"한달 이상 대기해야" 중국 성형외과 모습.[바이두 캡쳐]중국에서 여름방학을 맞아 성형수술을 하는 청소년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21일 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에 따르면 본격적인 여름방학이 시작된…(2017-07-25 15:07:29)
일본 물류업계, 알리바바의 'AI 물류 로봇' 가동 개시 인기글 일본 물류업계, 알리바바의 'AI 물류 로봇' 가동 개시[2017 07-25 ]일본 물류업계, 알리바바의 'AI 물류 로봇' 가동 개시작업 효율 6배 이상 향상…인건비·에너지 절약도 가능 7월 24일 중국 알리바바 그룹이 채용한 'AI물류 로봇'이 처음으로 일본에서 가동됐다. 노동자가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한…(2017-07-25 15:01:36)
중국 해외투자 급감, 중국 정부 M&A 통제 때문 인기글 중국 해외투자 급감, 중국 정부 M&A 통제 때문[2017.07.24 ] 중국의 해외투자가 올해들어 급감했다. '차이나머니' 영향력이 커지면서 중국 안팎으로 규제 강도가 세졌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중국 기업의 해외 투자는 올해 급격히 줄어들어 250억…(2017-07-24 15:45:09)
중국, 향후 24종류 고체 폐기물 수입 금지 인기글 중국, 향후 24종류 고체 폐기물 수입 금지[2017-07-24] 중국은 2017년 연말까지 환경오염 위험도가 높고 대중이 심하게 항의하는 폐플라스틱, 미분류 폐지, 폐방직원료, 바나듐 찌꺼기 등 24종류 고체 폐기물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고 WTO 관련 투명도 의무의 요구에 따라 관련 위원회 조항 하에서 통보를 진행했다. 소개에 따르면 과거 일부 수입 원료의 고체 폐기물은 국내 자원 부족 보완 분야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지만 중국의 경제사회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고체…(2017-07-24 15:28:43)
중미 경제협력의 올바른 방향 지켜 나가자 인기글 중미 경제협력의 올바른 방향 지켜 나가자 [2017-07-24]중국과 미국의 경제 관계를 살펴볼 때는 주요 기조에 초점을 맞추어 큰 흐름을 짚어내야 한다. 제1차 중미 전면 경제대화가 7월 19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렸다. 잦은 대화와 협력 메커니즘은 줄곧 중미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해 왔다. 이번 대화 역시도 혁신, 실무, 건설적 대화였다. 이번 대화를 통해 양측은 중미 경제협력의 올바른 방향을 확립해 협력윈윈을 양자 경제무역 관계 발전의 기본 원칙으로 삼고 대화와…(2017-07-24 15:24:43)
中신세대 음주 트렌드 '맥주대신 칵테일형 저알콜주 인기' 인기글 中신세대 음주 트렌드 '맥주대신 칵테일형 저알콜주 인기'저알콜 주류 다양한 맛과 디자인으로 신세대 공략 수입맥주 현지화 성공,토종맥주업체 고급화로 대응 [2017-07-24] 중국의 소비 주력군인 신세대 소비자들이 중국 토종 맥주 대신 저알콜 주류 RTD 및 수입 맥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업정보망(中…(2017-07-24 12:00:52)
中 하이난 최초 친족 생체 간이식 수술 성공… 30대 여교사… 인기글 中 하이난 최초 친족 생체 간이식 수술 성공… 30대 여교사 아버지 살려[2017-07-20]7월 5일, 간이식 수술을 받고 1주일이 경과한 뉴샤오(牛肖) 씨가 수술로 약해진 몸을 이끌고 중환자실에 있는 아버지 뉴원칭(牛文淸) 씨를 보러 왔다. 6월 27일 하이난(海南, 해남)성 최초의 친족 생체 간이식 수술이 중국인민…(2017-07-20 17:41:55)
中, 한반도 정세 완화 위해 당사국에 ‘조력자’ 역할 촉구 인기글 中, 한반도 정세 완화 위해 당사국에 ‘조력자’ 역할 촉구[2017-07-20] 외교부 루캉(陸慷) 대변인이 18일, 최근 관련국이 조선-한국 관계 개선 및 한반도 정세 완화를 위한 긍정적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국제사회, 특히 한반도 문제 관련 당사국은 이를 기회로 삼아 ‘훼방꾼’이 아닌 ‘조력자'가 되어야 한…(2017-07-20 17:30:41)
[열람중]中 90년대 생, 임대 아파트’ 선호 인기글 中 90년대 생, 임대 아파트’ 선호[2017 07-20]中 90년대 생, ”우린 기성 세대와 달라”…‘내 집 마련’보다 ‘임대 아파트’ 선호중국 90년대 생이 내 집 마련에서 임대 아파트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30년간 매달 월급을 초과하는 부동산 대출금을 갚아나가기보다는 현재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 정부도 날로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청년에게 임대 아파트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지난 17일 싱가포르 롄허자오바오(联合早报) 보도에 따…(2017-07-20 17:14:36)
최신 주요 뉴스 인기글 최신 주요 뉴스[2017-07-20]1.중국인 10명 중 3명 표준어 모른다중국인 10명 중 3명이 표준어인 푸통화(普通话)를 할 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8일 중국 교육부와 국가언어위원회는 2015년 푸통화 보급률이 73%에 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000년 보급률 53%에 비해 20%p나 상승했으나 여전히 27%에 달하는 중국인이 푸통화를 모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중국인 95%가 글자를 쓸 줄 아는 규범 한자를 사용하며, 68%가 한자 병음을 알고 있는 …(2017-07-20 17:07:1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