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려문(고대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08-15 09:21|본문
남북조시대에는 유미주의·형식주의의 문학이 성행하였다. 이러한 문학의 특색은 내용보다는 형식의 미를 추구하는 것이어서 변려문(騈儷文)이 발달하게 된다.
변려문이란 일종의 문자의 조직 방식으로, 대구·음률·전고·문사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문장이다. 동한말부터 문장 가운데 대구가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위진에 이르러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다. 남북조에 이르러서는 본격적인 변려문이 극성하여 일체의 문장이 거의 모두 변려화 하였다. 문학작품은 물론이거니와, 비문학적인 글들, 예컨대 조서(詔書)·장표(章表)·서간(書簡) 또는 학술적인 저서들이 모두 변려문으로 쓰여졌다. 그러나 변려문은 외형적인 형식미를 지나치게 추구하여 내용은 자연히 공허하고 빈약하게 되어버려서, 문학적으로는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은 극히 드물다.
변려문 가운데서 유명한 것으로는 공치규(孔稚圭)의 <북산이문(北山移文)>과 구지(丘遲)의 <여진백지서(與陳伯之書)>, 그리고 오균(吳均)·도홍경(陶弘景) 등의 짧은 서간문이 있다. 서릉(徐陵)과 유신(庾信)은 변려문의 형식과 기교를 더욱 완숙하게 하였으며, 유협의 ≪문심조룡≫과 종영의 ≪시품≫도 변려문으로 쓰여진 것이다.
산문은 동한 이래로 변려화 되어갔다. 위진시대에는 그래도 완적(阮籍)의 <대인선생전(大人先生傳)>,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집서(蘭亭集序)>, 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 등 몇 편의 산문이 있으나, 제·양에 이르러서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변려문이 극성하여 산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북조에서는 훌륭한 산문체의 작품이 나왔으니, 북위(北魏) 역도원(력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 양현지(楊衒之)의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북제(北齊) 안지추(顔之推)의 ≪안씨가훈(顔氏家訓)≫이 그것이다.
≪수경주≫는 산수의 경치와 전설·풍물 등을 묘사한 것이 청려(淸麗)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낙양가람기≫는 번영했던 당시의 낙양의 풍모와 생활상을 기록한 것으로 문장이 질박 간결하다.
위의 두 책은 후대 유기(遊記)문학과 소품문(小品文)에 영향을 주었다. ≪안씨가훈≫의 문장은 질박 평이하며, 특히 <문장편(文章篇)>은 제·양의 부화(浮華)한 문학사조에 강한 반대를 하고 있다.
변려문이란 일종의 문자의 조직 방식으로, 대구·음률·전고·문사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문장이다. 동한말부터 문장 가운데 대구가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위진에 이르러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진다. 남북조에 이르러서는 본격적인 변려문이 극성하여 일체의 문장이 거의 모두 변려화 하였다. 문학작품은 물론이거니와, 비문학적인 글들, 예컨대 조서(詔書)·장표(章表)·서간(書簡) 또는 학술적인 저서들이 모두 변려문으로 쓰여졌다. 그러나 변려문은 외형적인 형식미를 지나치게 추구하여 내용은 자연히 공허하고 빈약하게 되어버려서, 문학적으로는 높은 가치를 지닌 것은 극히 드물다.
변려문 가운데서 유명한 것으로는 공치규(孔稚圭)의 <북산이문(北山移文)>과 구지(丘遲)의 <여진백지서(與陳伯之書)>, 그리고 오균(吳均)·도홍경(陶弘景) 등의 짧은 서간문이 있다. 서릉(徐陵)과 유신(庾信)은 변려문의 형식과 기교를 더욱 완숙하게 하였으며, 유협의 ≪문심조룡≫과 종영의 ≪시품≫도 변려문으로 쓰여진 것이다.
산문은 동한 이래로 변려화 되어갔다. 위진시대에는 그래도 완적(阮籍)의 <대인선생전(大人先生傳)>, 왕희지(王羲之)의 <난정집서(蘭亭集序)>, 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 등 몇 편의 산문이 있으나, 제·양에 이르러서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변려문이 극성하여 산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북조에서는 훌륭한 산문체의 작품이 나왔으니, 북위(北魏) 역도원(력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 양현지(楊衒之)의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북제(北齊) 안지추(顔之推)의 ≪안씨가훈(顔氏家訓)≫이 그것이다.
≪수경주≫는 산수의 경치와 전설·풍물 등을 묘사한 것이 청려(淸麗)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낙양가람기≫는 번영했던 당시의 낙양의 풍모와 생활상을 기록한 것으로 문장이 질박 간결하다.
위의 두 책은 후대 유기(遊記)문학과 소품문(小品文)에 영향을 주었다. ≪안씨가훈≫의 문장은 질박 평이하며, 특히 <문장편(文章篇)>은 제·양의 부화(浮華)한 문학사조에 강한 반대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