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은 왜 南北이 아니고 東西라고 부를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12-07 10:04|본문
뚱씨(東西) – 동과 서는 2개의 방향을 가리키는 글자이지만, 함께 쓰이면 물건을 뜻함.
그럼 왜 물건은 남북(南北)이라 안하고 東西라고 할까요?
이와 관련하여 2가지 說이 있음.
(1) 당나라 시기 長安(지금의 서한)에는 东市(동쪽시장)과 西市(서쪽시장)이 있었으며 东市와 西市는 全國 및 국내외 상인들이 거래를 하는 지역이었음. 하여 “물건을 사다”는 买东西로 불리웠으며 东西는 물건을 지칭하는 단어로 됨.
(2) 중국의 오행이론에 따르면 東은 木(나무, 식물, 꽃 등) , 西는 金(모든 금속), 南은 불, 北은 물, 中은 土를 의미함. 南과 北이 의미하는 불, 물 등은 바구니에 담을 수 없기에 东西가 물건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사용하게 됨.
전하는 바에 의하면, 송나라 때, 유명한 철학가 주희(朱熹)는 배움을 좋아하여 별 것 아닌 문제까지도 파고드는 것으로 유명했음. 한번은 후미진 골목에서 천문지리에 밝은 친구 성원허(盛温和)를 만났음.
주희 : “성형, 대바구니를 들고 어디 가는 거요?”
성원허 : “동쪽 서쪽을 사러 가는 길이요”
주희 : “동서를 산다고요?” 주희는 듣고서 통 무슨 소리인지 아무리 생각해도 알수 없었음. 이리하여, 만면에 의혹이 가득한 얼굴로 “왜, 남쪽과 북쪽을 사러 가지 않는거요?“라고 물었음.
성원허는 듣더니 “피식” 하고 웃으며 “당신은 정말 한 때 총명, 한 때 바보로군요. 내 묻겠소. ‘금목수화토’ 를 통칭하는 ‘오행’은 무엇을 가리킬까요?”
이에 주희는 크게 깨달으며 “오행에서 東은 나무, 西는 금으로 바구니 속에 담을 수 있지만 南은 불, 北은 물을 의미하니, 이 불이 바구니에 담긴다면, 바구니까지 모두 탈 것이며, 물이 담긴다면 이 역시 헛일이 아니겠는가?” 라고 하였음.
이 재미있는 일화가 민간에 퍼져 회자되었으며 사람들은 이후 “東西”를 물건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함
그럼 왜 물건은 남북(南北)이라 안하고 東西라고 할까요?
이와 관련하여 2가지 說이 있음.
(1) 당나라 시기 長安(지금의 서한)에는 东市(동쪽시장)과 西市(서쪽시장)이 있었으며 东市와 西市는 全國 및 국내외 상인들이 거래를 하는 지역이었음. 하여 “물건을 사다”는 买东西로 불리웠으며 东西는 물건을 지칭하는 단어로 됨.
(2) 중국의 오행이론에 따르면 東은 木(나무, 식물, 꽃 등) , 西는 金(모든 금속), 南은 불, 北은 물, 中은 土를 의미함. 南과 北이 의미하는 불, 물 등은 바구니에 담을 수 없기에 东西가 물건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사용하게 됨.
전하는 바에 의하면, 송나라 때, 유명한 철학가 주희(朱熹)는 배움을 좋아하여 별 것 아닌 문제까지도 파고드는 것으로 유명했음. 한번은 후미진 골목에서 천문지리에 밝은 친구 성원허(盛温和)를 만났음.
주희 : “성형, 대바구니를 들고 어디 가는 거요?”
성원허 : “동쪽 서쪽을 사러 가는 길이요”
주희 : “동서를 산다고요?” 주희는 듣고서 통 무슨 소리인지 아무리 생각해도 알수 없었음. 이리하여, 만면에 의혹이 가득한 얼굴로 “왜, 남쪽과 북쪽을 사러 가지 않는거요?“라고 물었음.
성원허는 듣더니 “피식” 하고 웃으며 “당신은 정말 한 때 총명, 한 때 바보로군요. 내 묻겠소. ‘금목수화토’ 를 통칭하는 ‘오행’은 무엇을 가리킬까요?”
이에 주희는 크게 깨달으며 “오행에서 東은 나무, 西는 금으로 바구니 속에 담을 수 있지만 南은 불, 北은 물을 의미하니, 이 불이 바구니에 담긴다면, 바구니까지 모두 탈 것이며, 물이 담긴다면 이 역시 헛일이 아니겠는가?” 라고 하였음.
이 재미있는 일화가 민간에 퍼져 회자되었으며 사람들은 이후 “東西”를 물건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