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부패 영향으로 해외도피 中관리 증가"
 
 황희경 특파원 = 중국 정부의 강력한 반(反)부패 드라이브 영향으로 해외로 도피하는 부패 관리들이 증가할 것이라고 정부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이 경고했다.

사회과학원은 24일 발표한 '법치 청서'에서 이같이 지적하면서 반부패 기구가 가족들과 재산을 해외로 옮기는 관리들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25일 보도했다.

청서는 중국이 범죄인 인도협정을 맺은 나라가 많지 않은 점도 부패 관리의 해외 도피가 늘어나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루옌빈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특히 현재의 반부패 물결 속에서 관리들의 도주 현상이 늘어날 것"이라면서 "부패 관리들은 이 나라에서 살 곳이 없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왕치산(王岐山) 중앙기율위원회 서기는 지난 1월 해외로 도주하는 부패 관리들을 처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다짐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1년 해외로 도주한 정부 관리와 국영기업체 직원 1천631명이 체포됐으며 이들이 빼돌린 자산 중 80억 위안(약 1조 4천억 원)에 가까운 금액이 회수됐다.

사회과학원은 1995년부터 2008년까지 약 1만 8천여 명이 해외로 도피하고 8천억 위안 규모의 자산을 빼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도 청서는 '비서'들이 부패의 근원지라고 지목하면서 고위 관리들이 이른바 '비서방'을 만드는 행위에 대해 경고하는 한편 반부패 운동으로 많은 관리가 처벌되면서 사회적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한편, 청서는 55개 국가기관의 투명도 순위도 공개했다.

연례 보고서 발간, 대중들이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한 이 순위에서는 철도 담당 부서인 국가철로국이 투명도 지수 0점으로 꼴찌를 차지했으며 가장 투명도가 높은 곳은 교육부로 나타났다.

zitr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