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구의 시민화로 도시화 실현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3-03-26 23:06|본문
"중국 인구의 시민화로 도시화 실현해야"
중국은 현재 어마어마한 규모로 도시화를 추진하고 있다. 도시화가 중국의 발전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이전의 도시화 과정에서 중국은 어떤 교훈을 섭취해야 하는지, 중국의 신형 도시화는 어떤 도경을 선택해야 하는지? 최근 개최된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서 경제학자들은 도시화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도시화는 중국 현대화건설의 역사적과업이자 내수 확대의 최대 잠재력을 구비한만큼 신형 도시화는 중국의 경제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유세금(刘世锦) 부주임은 "도시화는 중국경제의 지속적 발전의 성장점으로서 중국의 도시화는 적어도 20%의 성장공간이 있다. 현재 도시의 상주인구중 20%정도를 차지하는 비도시인구가 향후 도시시민으로 전환되면 소비가 30%정도 성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10년래 중국의 도시화는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의 도시화율은 연평균 1.35%의 속도로 발전해 현재 이미 50%를 초과했다.
전문가들은 도시화는 중국경제 발전의 방향이지만 "도시 만들기 운동"이 아니며 "대도시병"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중앙재정지도소조 판공실의 양위민(杨伟民) 부주임은 현재 중국의 도시화에는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도시에는 여전히 1.6억명에 달하는 농민근로자들이 도시생활에 완전히 융합되지 못한 상황이며 도시 구도가 혼란스럽고 환형건설, "반죽 굽기"식의 건설구도때문에 교통체증, 주택가격 폭등, 대기오염 등 문제가 초래된다.
오경련(吴敬琏) 경제학자는 토지가격 차액에서 이익을 챙기는 도경으로 추진된 도시화는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초래했다고 지적하면서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일부 부문이 "도시 만들기"를 통해 획득한 토지가격차는 30조위안에 달하며 낡은 틀의 도시화는 지속되기 어렵다고 표시했다.
싱가폴 국립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정영년(郑永年) 소장은 향후 도시화에서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의지할 곳 없이 떠돌아다니는 현상을 피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집마련을 달성한다면 중국은 20-30년간 정치와 사회 안정을 보장할수 있으며 현재 부딪친 여러가지 문제점들도 자연히 소실된다. 그렇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중등수준 함정에 빠져 수없이 많은 난제에 부딪칠수 있다"고 말했다.
신형의 도시화 추진에 관해 전문가들은 보편적으로 도시화는 고층빌딩을 많이 짓는 것이 아니라 인구의 시민화가 그 핵심이라고 인정했다.
양위민 부주임은 도시화의 중점은 속도와 규모가 아니라 품질이라고 강조하면서 정부의 사업중점을 체제 건설에 두고 인구 시민화의 발전추세에 부합되는 재정세무체제와 공공서비스체제 등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영년 소장은 중국의 신형 도시화 추진은 농촌의 토지제도를 포함한 여러가지 체제개혁에 부딪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토지 국유화와 함께 토지사용권 개인소유를 허용함으로서 농민의 토지를 빼앗는 도시화가 되지 말것을 건의했다.
중국은 현재 어마어마한 규모로 도시화를 추진하고 있다. 도시화가 중국의 발전에 어떤 의의가 있는지, 이전의 도시화 과정에서 중국은 어떤 교훈을 섭취해야 하는지, 중국의 신형 도시화는 어떤 도경을 선택해야 하는지? 최근 개최된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서 경제학자들은 도시화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도시화는 중국 현대화건설의 역사적과업이자 내수 확대의 최대 잠재력을 구비한만큼 신형 도시화는 중국의 경제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유세금(刘世锦) 부주임은 "도시화는 중국경제의 지속적 발전의 성장점으로서 중국의 도시화는 적어도 20%의 성장공간이 있다. 현재 도시의 상주인구중 20%정도를 차지하는 비도시인구가 향후 도시시민으로 전환되면 소비가 30%정도 성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10년래 중국의 도시화는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의 도시화율은 연평균 1.35%의 속도로 발전해 현재 이미 50%를 초과했다.
전문가들은 도시화는 중국경제 발전의 방향이지만 "도시 만들기 운동"이 아니며 "대도시병"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중앙재정지도소조 판공실의 양위민(杨伟民) 부주임은 현재 중국의 도시화에는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도시에는 여전히 1.6억명에 달하는 농민근로자들이 도시생활에 완전히 융합되지 못한 상황이며 도시 구도가 혼란스럽고 환형건설, "반죽 굽기"식의 건설구도때문에 교통체증, 주택가격 폭등, 대기오염 등 문제가 초래된다.
오경련(吴敬琏) 경제학자는 토지가격 차액에서 이익을 챙기는 도경으로 추진된 도시화는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초래했다고 지적하면서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일부 부문이 "도시 만들기"를 통해 획득한 토지가격차는 30조위안에 달하며 낡은 틀의 도시화는 지속되기 어렵다고 표시했다.
싱가폴 국립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정영년(郑永年) 소장은 향후 도시화에서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의지할 곳 없이 떠돌아다니는 현상을 피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내집마련을 달성한다면 중국은 20-30년간 정치와 사회 안정을 보장할수 있으며 현재 부딪친 여러가지 문제점들도 자연히 소실된다. 그렇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중등수준 함정에 빠져 수없이 많은 난제에 부딪칠수 있다"고 말했다.
신형의 도시화 추진에 관해 전문가들은 보편적으로 도시화는 고층빌딩을 많이 짓는 것이 아니라 인구의 시민화가 그 핵심이라고 인정했다.
양위민 부주임은 도시화의 중점은 속도와 규모가 아니라 품질이라고 강조하면서 정부의 사업중점을 체제 건설에 두고 인구 시민화의 발전추세에 부합되는 재정세무체제와 공공서비스체제 등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영년 소장은 중국의 신형 도시화 추진은 농촌의 토지제도를 포함한 여러가지 체제개혁에 부딪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토지 국유화와 함께 토지사용권 개인소유를 허용함으로서 농민의 토지를 빼앗는 도시화가 되지 말것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