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멍청해 보이는 중국 속내를 읽는 지혜 '韜光養晦'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1-11-16 08:28|

본문

중국의 '도광양회(韜光養晦)'를 생각하며

최근 뉴욕타임즈(NYT) 및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의 대표 언론은 사설을 통해 “유럽지도자는 현재의 유럽 경제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게 저자세로 금융지원을 간곡히 요청하고, 그 다음날 고위층을 중국에 파견하여 구체적인 협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는 향후 유럽의 항구적인 안정과 발전을 해치는 중차대한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라는 요지로 유럽 지도자들을 향해 미국을 대표해 쓴소리를 날렸다.

지금껏 세계의 문제가 발생하면 대국의 형님으로서 멋있게 해결해주고 뒷머리를 쓰다듬어 주다가 힘이 부족해진 이제는 외부 문제는 고사하고 자국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중국의 눈치를 살펴야 하고, 자신의 우방국마저 중국에게 의탁하는 모습에 은근히 질투하는 미국의 태도가 안쓰럽기도 하다. 하지만, 이 소식을 인터넷을 통해 접한 필자는 중국의 현 모습에 부럽기도 하고 개방 초창기의 모습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을 금할 수 없다.

불과 십여 년 전만 하더라도 “나라는 크고, 인구 자원이 풍부하지만, 돈이 부족한 나라”, 그래서 외국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선진국을 방문하고 각종 우호적인 제스쳐를 통해 투자유치를 하였던 중국의 모습을 이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즉 중국은 그렇게 십 수년을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오늘이 있게 되었지만, 미국이나 유럽 등은 상대적으로 제조업을 무시한 선진 금융 기법이라는 미명하에 소위 돈놀이 하다 오늘의 모습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그런데 중국은 어떻게 지난 십 수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 어떻게 이런 ‘상전벽해’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을까? 물론 많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선적으로 위대한 지도자 등소평선생의 지도력과 혜안, 풍부한 내수 자원, 상술이라면 유태인과 버금가는 민족성 등 많은 요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상기 이유로만 오늘날의 현실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럼 그 무엇이 중국인민들의 다양한 사고와 요구를 다독거려 가면서, 주변 국가로부터 큰 견제와 방해 공작 없이 이렇게 짧은 기간 내에 오늘날의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을까? 그 답은 최근 베이징대학에서 한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가진 ‘한중미래연(韓中未來硏)’ 김동진 대표의 강좌에서 찾을 수 있었다. 김 대표는 중국의 발전은 “실력을 숨기고 바보인척 겸손하며 치밀하게 내일을 준비하는” 이른바 ‘도광양회’와 ‘난득후도’의 중국적 사상을 지도자들이 적절하게 실천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말했다. 지난 92년 한중 수교 때부터 쭉 중국의 발전과정을 지켜 봐온 중국 전문가다운 탁견이다.

중국역사상 중국인들에 상기 두 가지의 사상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한번 살펴 보자.

재능을 숨기고 다른 사람을 속이는 기술
‘도회(韜晦)’ 란 자신의 재능을 숨기고 다른 사람의 눈과 귀를 속이는 것을 말한다. ‘도(韜)'자의 본래 뜻은 활집으로 ‘(안으로)들어 간다’ 는 뜻이 있다. ‘회(晦)’는 ‘암흑, 숨김’의 뜻으로 월말에 비유되며, 또 ‘그믐달’로도 비유된다. 왜냐하면 음력으로 월말이면 달이 나오지 않은 ‘어두운 날’이기 때문이다. ‘도회지술’은 ‘한비자’, ‘사기’, ‘전국책’ 등에 흔히 보이며 효과적인 처세술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진면목을 숨기고 있기 때문에 자신을 보존할 수 있다. 그러다가 적절한 기회가 와서 상대방이 경계하지 않을 때 의도를 실현시킨다. 이는 ‘실력 있는 자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며, 드러낸 것은 가짜’라는 속된 말과 그 뜻이 가장 가깝다. 또한 이 성어는 ‘실력이 있을수록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도덕적 의미로도 사용된다. ‘도회지술’은 과거 관료 사회에서 자기 몸을 지키는 방법의 하나로 활용되었다고 한다. 몇 가지 사례를 인용해 보도록 하겠다.

춘추시대에서 전국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의 제나라는 원래 강태공이 시조였으나, 이후 신하 중 실권자인 ‘전성자’에 의해 정권이 바뀌게 되는데, 신하 중 습사미라는 사람이 전성자를 알현했다. 전성자는 그를 데리고 누각에 올라 사방을 둘러 보며 경치를 감상하였다. 그 누각은 삼면이 트여 전망이 좋았으나, 남쪽 습사미의 집이 있는 쪽이 숲에 가려 집이 보이지 않았다. 진성자는 아무 말을 하지 않았으나 습사미는 집에 돌아와서 나무를 베라고 했다. 도끼로 나무를 패다가 불현듯 습사미는 나무 베는 것을 중단하였다. 이에 가신들이 어리둥절하여 왜 그만두냐고 묻자, 습사미는 “예로부터 이런 속담이 있지. ‘연못 속의 물고기를 눈으로 다 헤아려 셀 수 있으면 상서롭지 못하다’ 요사이 전성자가 큰 일을 꾸미고 있는데 내가 그의 은밀한 마음속까지 읽어 낸다면 필시 내 일신이 위태로울 것이다. 나무를 베지 않은 것은 죄 될 것이 없으나, 남이 말하지도 않은 것을 알고 있다면 그 죄는 심각하지”라고 하였다 한다.

한나라 무제 시절 궁중의 문서를 담당했던 동방삭(東方朔)이라는 인물이 있다. 그는 한국에서도 ‘삼천갑자 동방삭’으로 알려져 있으며, 역사상으로는 ‘도회’의 시조로 불린다고 한다. 동방삭은 장편의 글을 올려 무제의 눈에 들게 되었는데 무제는 그의 글을 좋아해서 표시까지 하면서 숙독을 하고 시종으로 두게 되었다. 동방삭은 황제의 총애와 실력이 있으면서도 황제와 식사 중 남긴 음식을 옷꾸러미에 싸가지고 술집에 나가거나, 상품으로 하사 받은 비단으로 수시로 새색시를 얻는 등 일반인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기이한 행동을 많이 했다. 종종 술이 취해 자리를 비게 되면 동료들이 일을 대신 처리해주곤 하였지만, 황제는 금방 알아보고 동방삭에게 다시 처리하게 하는 등 깊은 신임을 받았다. 그래서 주변의 누군가가 동방삭에게 묻기를 “진과 장의는 모두 후세에 이름을 남겼소. 그런데 선생처럼 식견이 뛰어난 분이 기이한 방식으로 살며 벼슬 승진에는 신경도 쓰지 않으니 무슨 까닭이요? “라고 묻자, 동방삭은 엄숙한 태도로 이렇게 답했다. “당신들은 그 이치를 모르는 것 같군. 소진이나 장의가 지금 시대에 태어나 산다면 나처럼 시랑 벼슬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야. 자고로 ‘천하에 재해가 없다면 비록 성인이 있다 한들 그 재주를 펼칠 길이 없고, 위아래가 화합하고 평화롭다면 어진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공을 세울 길이 없다고 하지 않은가? 시대가 변하면 상황도 변하는 법, 재야에 묻혀 있지만 천하의 큰 일물도 안중에 없는 것은 태평시대라 그렇거늘 무엇이 의심스럽단 말인가? “동방삭의 명쾌한 듯 하면서도 모호하고, 모호한 듯 하면서도 명쾌한 태도는 도회지술의 진수를 보여준 듯 하다.

멍청해 보이기는 어렵다
청나라 때의 서화가이자 문학가였던 정섭(1693~1765)은 강소성 흥화사람이었다. 그는 어려서 집이 가난했지만 과거에 응시하여 강희 황제 때 수재, 건륭 황제 때 진사가 되었으며, 그 후 산동성 범현에서 현령을 역임하였는데 난과 죽을 잘 그려 세상에서는 그를 ‘양주팔괴’의 한 사람으로 꼽았다. 그는 관직에 있는 동안 농민들을 힘껏 돕고 어려운 일을 처리해 주었으나, 그것이 도리어 권력가의 미움을 사 관직에서 쫓겨났다. 이때 그는 ‘난득호도’라는 명언을 남기게 되었다.

총명하기도 멍청하기도 어렵지만, 총명함에서 멍청함으로 바뀌기란 더욱 어렵다.

이는 서로를 속고 속이는 봉건 관료 사회에 처해 있었던 그의 소극적인 처세 철학으로, 훗날 사람들에게 널리 본보기로 받아들여졌다. 어떤 사람들은 이 ‘난득호도’를 처세의 경고로 여겨 정치적 권모술수와 외교투쟁의 ‘좌우명’으로 삼기도 했다.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모여 들지 않고 사람이 너무 깐깐하면 사람이 따르지 않는다’ 때로는 조금 멍청한 척하는 것이 지나치게 민감한 것보다 한결 유리하다는 지론이다.

라오 펑요우(老朋友)를 배려해야
이제 중국의 외교정책은 ‘도광양회’에서 ‘화평굴기(和平屈起 : 평화롭게 우뚝 섬)와 유소작위(有所作爲: 할말을 하고 필요한 역할을 한다)’로 전환되고 있다고 한다. 말 그대로 주변 국가들에 자신의 본 실력을 숨기고 겸손하게 대응했던 지금까지의 수동적인 정책에서 넘치는 외화, 멈출 줄 모르는 경제성장률 등을 바탕으로 실질적의 G2국가로서의 위상에 걸 맞는 역할을 하겠다는 뜻일 것이다. 사실 중국의 입장에서야 현재의 조금은 편안한(?) 위치, 개발도상국가로서 안정적인 발전을 하고 싶겠지만, 주변의 선진국이 스스로 어려워진 상황에서 ‘나는 아직 어려’라고 하기에는 이제 부쩍 커버린 어른이 되어 버린 것이다. 즉 ‘나무는 가만히 있는데 바람이 가만 두지 않는다”라는 속담에 걸맞는 형국이다.

그렇다. 지금껏 중국은 ‘도회지술’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잘 키웠고 성공시켰다. 그러나 이제는 현실의 상황에 맞게 겸손하지만 대인의 풍모로서 주변 국가의 어려움과 고통도 이해하고 도와주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울러 중국 속담에 이르듯이 ‘어려울 때 친구는 영원한 친구다’라는 말을 생각하여, 90년대 초반부터 중국의 장래와 비전을 믿고 중국에 진출하여 우여곡절을 겪고 있는 외국투자자들에게도 상황이 바뀐 만큼의 정책적 변화는 있겠지만, 지나치게 일방적인 자국위주의 급진적인 정책결정이나 대우는 피해야 한다고 본다. 사실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이제 외국인이라기 보다는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동고동락한 라오펑요우(老朋友)가 아니던가!

도광양회의 고수가 출현되길 바라며…
다가오는 2012년은 비전문가인 필자가 보기에도 한반도의 정치. 외교적인 지형은 훨씬 복잡한 4차 방정식의 단계에 접어든 느낌이다. 특히 2012년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가, 즉 당사자인 한국, 북한,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 국가의 지도자가 모두 교체되는 중차대한 시점이다. 한국의 새로운 지도자는 지금까지의 작은 성공에 취해 겉멋 부리지 않고 겸손하게 실력을 감추며, 어둠 속에서 더욱 힘을 길러 이 복잡한 주변 국가와의 게임에서 진정한 국가의 이익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도광양회’의 고수가 출현하길 진심으로 기원해 본다. (
jgkim1226@hanmail.net)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서기와 성장, 누가 더 높나요? 인기글 중국의 모든 행정구역에는 서기와 성장(혹은 시장) 2명의 영도가 있음.공식적으로 서기는 黨 조직의 최고영도이고 성장(혹은 시장)은 행정조직의 최고영도임.(일반적으로 서기는 성위 서기 혹은 시위 서기라고 하는데 이는 중국공산당 **성(시)위원회 서기의 약칭)그러나 중국은 일당독재의 나라로 중국 공산당이 모든 권력을 독점함.실질적으로 黨 조직을 맡고 있는 書記가 역내 주요 사안을 최종 결정하며省長(혹은 市長)은보통 副書記 직을 兼任하고 있어 書記 밑의 2인자 임또한 書記가 省 人大 主任(도의회 의장)…(2011-11-25 09:33:33)
올해 13억 중국인이 열광한 히트상품은? 인기글 올해 13억 중국인이 열광한 히트상품은? 올해 중국 소비자들은 IT 관련 상품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최고 히트상품은 '웨이보'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가 급증하면서 올해 중국의 최고 히트상품은 중국 대형 포탈사이트 시나닷컴(新浪, www.sina.com)의 '웨이보(微博)'가 차지했다. 중국 젊은층의 구매 욕구 1순위로 떠오른 아이폰, 시장규모 3조5천억원으로 급성장한 소셜커머스(团购)가 뒤를 잇는 등 올해 1위부터 3위까지는 인터넷 관련 상품 서비스가 차지…(2011-11-25 09:33:21)
중국은 언제부터 중국으로 불리웠을까? 인기글 中國이라는 단어는 周나라 시기부터 나타난 단어로 ‘國’은 ‘城’ 또는 ‘邦’을 뜻하고 中國’은 ‘中央之城’ 혹은 ‘中央之邦’을 뜻하였음. 고대 문헌기록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섯가지 의미를 나타내었음.첫째, 京師 즉 首都 ;둘째, 天子가 직접 통지하는 왕국셋째, 중원지역넷째, 국내, 내륙다섯 째, 漢族이 거주하는 지역 및 나라청나라 시기까지 중국은 왕조가 통치하고 있는 지역, 지역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나 공식적으로 국호로 사용된 적은 없었음.예를 들면 漢나라 국호는 ‘漢’이었고, 唐나라 국호는…(2011-11-23 09:56:40)
단 1명뿐인 중국 국적 노벨상 수상자는 누구? 인기글 □ 역대 중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총 10名이나 그 중 중국 국적 소유자는 ’10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류샤오보(劉曉波) 한 사람 뿐임– 물리학상 6名, 화학상 1名, 문학상 1名, 평화상 2名□ 노벨상 수상자 리스트(1) 李政道(미국 國籍): 1957年 노벨 물리학상 수상·1926年 上海 출생, 1946年 미국으로 이주·1953年 콜롬비아대학교 물리학과 교수·1957年 소립자 물리학 이론을 크게 발전시킨 공로로 楊振寧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 수상(2) 楊振寧(미국 國籍): 1957年 노벨…(2011-11-23 09:55:30)
알고도 모를 중국어 : “东西” 인기글 중국어를 배우기 시작하면 아마 제일 처음으로 접하는 단어가 “东西” 일것입니다.여러분들도 다 알다 싶이 东西는 동서 방위를 나타낼 뿐만아니라 “물건”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这是什么东西?그러나 “东西”는 이밖에 다른 뜻도 있어요.东西앞에 小를 붙여서 “小东西”란 단어로 귀엽고 앙증맞다는 의미를 나타낼수도 있어요.(동물,아이 등에 많이 쓰지요).예: 친구가 기르는 강아지를 보고 “这…(2011-11-21 09:41:32)
삼국지 인물 중 외자 이름이 많은 이유는? 인기글 중국 삼국지의 인물들을 보면 외자 이름이 많음.예를 들면 유비, 관우, 장비, 조운, 황충, 마초, 제갈 량, 조조, 순욱, 순유, 하후 돈,하후 연, 사마 의, 손권, 손책, 주유, 능통, 육손, 정보 등.외자 이름이 많은 데는 2가지 설이 있음.첫째는 諱(휘)를 피하기 위함이라는 說 .‘諱’는 직접 부르지 못하는 왕이나 윗사람의 이름을 말하며 백성들은 諱가 자신의 이름과 겹치면 개명을 해야 했음. 심지어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경우도 개명을 함.예를 들어 당시의 황제의 이름이 吉童이었다…(2011-11-21 09:39:54)
중국은 대한민국 국가 탄생의 요람이었다 인기글 ◆ 대한민국 임시정부 : 3ㆍ1운동 직후인 1919년 4월 13일 김구 선생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은 조직적 항거를 통한 조국의 광복을 목적으로 상하이(上海)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으로 자주 옮겨 다녀야 했기 때문에 실제 임시정부청사는 상하이(1919)를 비롯해 항저우(杭州, 1932), 전장(镇江, 1935), 창사(长沙, 1937), 광저우(广州, 1938), 치장(綦江,1939), 충칭(重庆, 1940)…(2011-11-20 22:50:49)
[열람중]멍청해 보이는 중국 속내를 읽는 지혜 '韜光養晦' 인기글 중국의 '도광양회(韜光養晦)'를 생각하며최근 뉴욕타임즈(NYT) 및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의 대표 언론은 사설을 통해 “유럽지도자는 현재의 유럽 경제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중국 정부에게 저자세로 금융지원을 간곡히 요청하고, 그 다음날 고위층을 중국에 파견하여 구체적인 협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는 향후 유럽의 항구적인 안정과 발전을 해치는 중차대한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라는 요지로 유럽 지도자들을 향해 미국을 대표해 쓴소리를 날렸다. 지금껏 세계의 문제가 발생하면 대국의 형님으로서 멋있게…(2011-11-16 08:28:23)
중국을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게 만든 역사적 인물은? 인기글 1978년 덩샤오핑의 자유개방 노선의 채택으로 경제 전환점을 마련 중국의 성장이 무섭다. 중국은 2001년 이후 매년 9% 이상의 고도성장을 해 2010년 국내총생산(GDP) 5조8,800억달러를 달성, 2위였던 일본(5조4,700억달러)을 추월했다. 또한 3조 달러인 외환보유고는 세계 1위다. 이같은 중국의 성장 근원은 무엇일까? 최근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 현대편' 책을 낸 이원복 교수를 만나 이유를 물었다.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 현대편'은 중화민국 수립부터 중국공산당 창당, 국공합작과 …(2011-11-16 08:24:39)
삐먼겅(闭门羹)을 먹은 적 있나요? 인기글 거래선을 방문하러 갔던 친구가 돌아와서 “今天我吃了闭门羹” 라고 하였음.“吃了闭门羹?” 삐먼겅(闭门羹)이 무슨 요리 이름인가?羹은 수프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중국어 闭门羹은 문전박대란 의미로 “我吃了闭门羹”은 “나 문전박대를 받았어” “나 오늘 거래선 만나지 못했어”의 의미로 사용됨.闭门羹이란 단어는 당나라 시기부터 사용된 단어임. 당나라 시기 宣城…(2011-11-14 12:08:31)
중국 대학입시 제도가 궁금해요 인기글 한국의 수능이 10일 끝났습니다.그럼 중국의 대학입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요?오늘은 중국의 대학입시 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중국의 대학 입시 개요 □ 중국에서 ”가오카오(高考)”라고 불리고 있는 대학 입시는 매년 6月에 진행됨(중국은 가을학기제 실시)※ 高考 : 普通高等學校招生全國統一考試의 약칭 - 高考는 ’66年 文化大革命 이후 취소되었다가 ’77年부터 다시 회복되었음 □ 일정 - 매년 1回, 6月 7~8日(2日間) 진행※ 현재 上海 등 일부 지역에서만 6月…(2011-11-14 12:05:46)
三长两短은 왜 변고를 나타낼가요? 인기글 중국 사자성어 三长两短(sān cháng liǎng duǎn)은 뜻밖의 재난이나 변고, 죽음 등을 지칭하는 완곡한 표현임.예 : 你要是有个三长两短的,我怎么跟你父母交代?네가 만약 무슨 변고라도 생기면 내가 어떻게 네 부모님께 해명하라고?三长两短이 왜 변고를 뜻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을가요?과거 중국인들은 장례를 …(2011-11-14 12:01:53)
욕설에 담긴 문화 : 왕바단(王八蛋)의 유래 인기글 중국어에서 욕하는 말 중 아주 자주 사용되는 단어 “王八蛋”이 있음. 동 단어는 개자식, 개새끼 등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로 중국인들이 아주 싫어하는 단어임. 王八蛋이 욕하는 말로 쓰이게 된 유래는 2가지 설이 있음.첫번째 설 : 王八는 거북이를 지칭하는 말로 중국 속설에 따르면 거북이는 뱀과 교미를 해서 알을 낳는다고 함.그래서 王八蛋은 이 거북이가 혼외(?) 정사로 낳은 자식이라는 뜻에서 욕으로 쓰인다고 함.두번째 설 : “王八蛋(wáng ba dàn)”은 “忘八端’(…(2011-11-14 12:00:40)
자금성에는 방이 몇개 있을가요? 인기글 자금성(중국명 구궁 故宫)은 지난 500여년간 명나라, 청나라 24명의 황제가 살았던 궁전으로 현재는 중국 문화의 중심으로 위용을 떨치고 있음.자금성은 명나라의 3대 영락제((1360-1424)시기 1406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4년을 거쳐 1420년에 완공하였으며 자금성이 완공된 이듬 해 1421년 영락제는 수도를 남경에서 북경으로 옮겼음.14년간 자금성 공사에 약 100만 명의 인부가 동원되었으며 사용된 건축 자재의 양도 상상을 초월해 벽돌 1억만 개와 기와 2억만 개 등이 사용…(2011-11-14 11:57:41)
재중 한국인, 중국인 접대 문화 알고 배우자 인기글 중국에 와서 살아 가는 지도 햇수로 5년이 넘어 간다. 생각해 보니 처음 1년은 얼떨결에 지난 듯 하고, 그 다음 2년차에는 비로서 중국어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3년차에는 제법 중국을 안다는 교만으로 다 아는 척을 하고, 4년차에는 아! 중국을 좀 더 깊이 공부해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을 해 보고, 5년차 이후부터는 정말로 나는 중국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른다는 자책감이 오는 듯 하다. 중국은 그만큼 알면 알수록 모르는 것이 더 많이 생기는 나라 같다. 먹고 살기 바쁘다 보니 중국 공부는 늘 뒷전…(2011-11-14 08:14:5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