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의 '민족혼', 공자인가 루쉰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10-17 10:16|

본문

隱者(은자)처럼 몸을 낮춘채 나그네에 길을 열어주고…
소금무역상들 모여살던 곳
처첩 아편값 감당못해 몰락
관광지로 지정됐지만 한산

'오악(五岳)을 보고나면 뭇 산을 볼 필요가 없고, 황산(黃山)을 보면 오악을 볼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빼어난 산이 황산이다. 황산은 산으로도 유명하지만 산자락에 자리한 오래된 마을과 황산시에 있는 명청대(明淸代)의 오래된 거리로도 유명하다.

그 가운데서도 허촌은 황산 근처의 몇몇 마을 중에서 가장 알려지지 않은, 가장 최근에 개방된 마을이다. 절강성과 안휘성의 경계에 있는 벼루의 산지로 아주 이름난 흡현에서 자동차로 한 시간 가량 떨어진 곳에 있다.

작년 겨울 안휘성에 살고 있는 중국 친구와 황산설경을 보기위해 추위를 마다않고 산엘 올랐다. 2~3일을 함께 보내고 헤어질 무렵 내 취향을 잘 아는 그 친구가 일러준 동네가 바로 허촌이다. 관광지로 지정되어 막 개방된 곳이라 아직은 찾는 이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한다. 개발되어 더 이상 망가지기 전에 찾아야지 하고 마음먹고 있다가 올해 초 여건이 허락되어 어렵게 찾아 간 곳이다.

황산시에서 허촌으로 가는 길을 몰라 애를 태우다가 하는 수 없이 그곳 친구들의 도움을 구해 현지 여행사와 연결이 되었다. 하지만 여행사에도 모르긴 매한가지다. 허촌으로 전화를 걸어 길을 묻고, 길을 아는 기사를 찾느라 법석을 떨었다. 그렇게 한나절이나 보내고 나서야 겨우 길을 떠날 수 있었다.

작은 버스 한 대가 힘겹게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도로가 마을 한가운데로 지나고 길 가장자리는 그대로 시장이며 여염집마당이다.

동행한 기사에게 이 길이 맞느냐며 열 번은 더 물어 본 것 같다. 아무리 봐도 그냥 산골짜기로 들어가는 길이다. 가봐야 볼거리가 있는 마을이 나타 날 것 같지가 않다. 그렇게 좁고 흙먼지 날리는 시골길을 구불구불 한 시간 쯤 달리자 제법 번듯한 마을 하나가 나타나고 저 앞에서 중년의 남자 하나가 달려 나온다. 여행사의 전화를 받고는 탐방객을 많이 기다린듯하다. 얼마나 반갑게 대해 주는지 송구스러워 몸 둘 바를 모르겠다. 널리 알려지지도 않은 곳인데다 겨울이라 찾는 이가 그만큼 적다는 말이겠다. 이곳저곳에 볼거리가 흩어져 있어 제대로 돌아보려면 2~3일도 부족하단다.

오래되고 낡은 건물이 많이 모여 있고 골목이 그런대로 잘 보존된 곳으로 안내를 해준다고 하니 고마울 따름이다. 입장료 수입이 부족한지 마을 입구에 있는 매표소에 안에는 아무도 보이질 않는다. 보아하니 이 남자 혼자서 매표와 안내 등의 일을 도맡아 하고 있는 듯하다.

소금 무역으로 막대한 재력을 쌓은 휘상(徽商)들이 모여 살았던 마을이었지만 지금은 시골의 궁벽한 마을로 변했다. 부유한 이들이 흔히 빠지기 쉬운 주색의 길로 접어들어 늘어난 처첩들의 아편 값을 감당 못해서 서서히 망해버린 것이다.

집들은 크고 화려하지만 이미 몰락한 살림살이 곳곳에서 드러나는 궁색한 빛이 역력하다. 미로처럼 얽힌 골목을 이리저리 돌아다녀도 작은 가게 하나 보이지 않는다. 찾는 이도 드물겠지만 돈이 그만큼 귀한 동네라는 말이다. 화려한 휘상의 명성은 역사의 무대 뒤로 사라지고 거부의 화려함은 후손들에게 전설처럼 남았다.

밥그릇을 들고 골목으로 나선 노파와 눈인사를 나누고 한 굽이를 돌아들자 소학교 앞이다. 두어 시간 주어지는 점심시간에는 집에서 밥을 먹고 할아버지가 태워 주는 자전거를 타고 다시 학교로 온다. 수업이 시작되기 전이라 잠시 교실에 들어가 봤다. 아직 저학년인 듯 키 작은 아이들이 콧물이 말라붙은 얼굴로 환한 웃음을 보내온다. 어디서 왔느냐, 뭐하는 사람이냐? 여남은 녀석들이 한꺼번에 터뜨리는 질문으로 정신이 없다. 아이들을 위해서 준비한 것이 아무것도 없어 미안한 마음으로 사진 몇 장을 찍어 보여주었다. 카메라를 통해서 자신들의 모습을 본 아이들은 이제 서로 사진을 찍어 달라고 난리다. 내가 어디서 왔는지, 뭐하는 사람인지는 관심도 없다. 질문은 질문으로 그만이다.

허촌은 아직 이렇다. 아무런 꾸밈도 없이 사람이 사는 모습 그대로를 보여주는 곳이다.

황산시에서 출발하여 스시엔을 거쳐 허촌으로 가는 한 시간여의 노정에는 안내판 한 개 보이지 않는다. 길이 두 갈래로 나뉘면 차를 세워 길을 묻고 행여나 지나칠세라 저 멀리 작은 동네라도 보이면 고개를 빼고 바라보았다. 작은 개울에 걸린 좁은 다리를 아슬아슬하게 건너고, 논가로 밭 옆으로 길은 있는 듯 없는 듯 계속 되고 있다. 마치 몸을 숨기고 사는 은자처럼 허촌은 그렇게 말없이 찾는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ID가 '천천(辰晨)'인 네티즌은 '루쉰과 공자, 누가 민족혼인가?(魯迅和孔子,誰是民族魂?)'라는 글에서 공자는 '충'과 '효' 등 인간의 도리와 국가의 기본 질서 등을 확립한 진정한 중화민족문화의 창시자라고 말하며, 만약에 루쉰이 '민족혼'이라면 공자는 '하나님'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루쉰의 거칠고 저급한 언어와 문장을 논하지 않더라도 루쉰은 홍위병의 우두머리일 뿐이며 문학을 정치에 복무하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폄하하기도 하였다.ID가 '천천(辰晨)'인 네티즌은 '루쉰과 공자, 누가 민족혼인가?(魯迅和孔子,誰是民族魂?)'라는 글에서 공자는 '충'과 '효' 등 인간의 도리와 국가의 기본 질서 등을 확립한 진정한 중화민족문화의 창시자라고 말하며, 만약에 루쉰이 '민족혼'이라면 공자는 '하나님'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루쉰의 거칠고 저급한 언어와 문장을 논하지 않더라도 루쉰은 홍위병의 우두머리일 뿐이며 문학을 정치에 복무하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폄하하기도 하였다.

반면 ID가 '왕위엔화(王元化)'인 네티즌은 루쉰이 <광인일기> 등에서 공자의 유교로 대표되는 봉건 예교가 사람을 잡아먹는 '식인(食人)'문화라고 비판하며 철저하게 반(反)봉건을 외쳤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정신승리법에 도취하여 스스로의 병폐를 깨닫지 못하는 중국인을 각성시키기 위함이었지 결코 중화민족정신을 훼손하기 위함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ID가 '궈팅(郭挺)'인 네티즌은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루쉰은 5.4운동 전야의 격동기라는 각기 다른 시대적 상황에서 중화민족의 혼을 일깨우기 위해 노력한 영웅이라며 루쉰과 공자 모두가 민족혼이라고 양시론적 입장을 폈다. 공자가 없었다면 루쉰의 비판정신도 없었을 것이며 루쉰이 없었다면 공자도 지금처럼 재조명되는 일이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공자와 루쉰은 '스뿌리앙리(勢不兩立, 쌍방의 원한이 깊어 양립할 수 없다)'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관계이고 둘 다 모두 위대한 중화정신을 대표한다는 것이다.

이번 민족혼논쟁을 지켜보면 과거에 비해 전통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아주 커졌다는 점이 눈에 띈다. 공자의 동상 앞에서 베이징의 젊은 부부들이 이혼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는 내용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것처럼 중국은 지금 급격한 자본주의 상업문화의 도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공자의 전통사상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루쉰도 비판적 평가를 받고 있는 셈이다.


반면 ID가 '왕위엔화(王元化)'인 네티즌은 루쉰이 <광인일기> 등에서 공자의 유교로 대표되는 봉건 예교가 사람을 잡아먹는 '식인(食人)'문화라고 비판하며 철저하게 반(反)봉건을 외쳤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정신승리법에 도취하여 스스로의 병폐를 깨닫지 못하는 중국인을 각성시키기 위함이었지 결코 중화민족정신을 훼손하기 위함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한편 ID가 '궈팅(郭挺)'인 네티즌은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루쉰은 5.4운동 전야의 격동기라는 각기 다른 시대적 상황에서 중화민족의 혼을 일깨우기 위해 노력한 영웅이라며 루쉰과 공자 모두가 민족혼이라고 양시론적 입장을 폈다. 공자가 없었다면 루쉰의 비판정신도 없었을 것이며 루쉰이 없었다면 공자도 지금처럼 재조명되는 일이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공자와 루쉰은 '스뿌리앙리(勢不兩立, 쌍방의 원한이 깊어 양립할 수 없다)'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관계이고 둘 다 모두 위대한 중화정신을 대표한다는 것이다.

이번 민족혼논쟁을 지켜보면 과거에 비해 전통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아주 커졌다는 점이 눈에 띈다. 공자의 동상 앞에서 베이징의 젊은 부부들이 이혼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는 내용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것처럼 중국은 지금 급격한 자본주의 상업문화의 도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공자의 전통사상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루쉰도 비판적 평가를 받고 있는 셈이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의 국기 이해 인기글 - 붉은 바탕(紅旗)은 "革命"을, 황색의 五星은 붉은 대지로부터 밝아오는 "光明"을 상징. - 황색의 五星중 가장 큰 별과 주위 네개의 별은 각각 "중국공산당"과 "중국인민"을 대표하며, 중국공산당의 지도하에 조화, 단결하는 인민을 나타냄.국가상징 - 중앙의 천안문은 중국인민의 반제국주의,반봉건주의 민족정신을 상징.- …(2011-10-28 08:51:48)
중국의 국화(國花) 인기글 중국의 국화(國花)에 대해서는 매화를 "백화(百花)의 왕"이라 하여 청대 말기에 국화로 지정하였다고 하기도 하고, 전통적으로 모란을 "꽃의 왕"이라 하여 국화로 삼고 있다고 하기도 하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아직까지 중국에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지정한 국화가 없는 실정이다.1999년 중국에서는 세계원예박람회가 개최되었는데,…(2011-10-26 09:49:43)
‘중국 갈 때 5,000달러 이상은 신고하세요.’ 인기글 산업자원부는 10일 “지난해 중국을 방문한 국내 기업가 중에서 미화 5,000달러 이상의 외화를 중국 세관에 신고하지 않고 입국하다가 압수된 돈이 100만 달러에 육박한다”며 관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산자부에 따르면 중국은 모든 외국인 출입국자에 대해 5,000달러 이상은 반드시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지난해 한국인 기업가나 여행자들이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아 상하이 푸동 공항에서만 압수된 규모가 63만 달러에 달한다. 산자부 관계자는 “베이징 등 다른 지역에서 압수된 것까지 포함하면 사…(2011-10-26 09:46:57)
중국의 음식문화 인기글 서론 중국인은 세계에서 먹는 것을 가장 중시하는 민족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마치 먹기 위해 사는 사람처럼, 중국인이 먹는데 쏟는 관심과 정열은 다른 나라 사람의 추종을 불허한다. "중국인은 다리가 넷인 달린 것은 책상 외에는 다 먹고, 다리가 둘 달린 것은 사람 외에는 다 먹고, 또한 날아다니는 것은 비행기 외에는 다 먹을 수 있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그만큼 뱀, 개구리, 살쾡이, 물방개 따위의 폭 넓은 재료를 사용하여 세계 제일의 요리를 창출해 낸다. 이처럼 광범위한 음식재료야말로 …(2011-10-26 09:25:33)
중국 가기전에 알아두어야 할 상식 인기글 중국의 차문화 중국은 차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차는 빠뜨릴 수 없는 필수품이다.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중국의 차는 녹차, 홍차 그리고 꽃을 말려 제조하는 화차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4천여 년 중국의 유구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국인의 차 마시는 습성은 매우 다양하다. 중국이들은 보통 식사 후나 한담할 때 차를 많이 마시는데, 보편적으로 따뜻한 차를 마시고 차가운 차는 마시지 않으며, 이야기를 나누면서 작은 잔에 한 잔 한 잔 따라 마신다. 중국의 거…(2011-10-26 09:21:46)
중국 재계 움직이는 막후 세력들 인기글 중국 재계 이너서클 중국주간 편집부|272쪽|미래의창2008년 가을 중국에서 `멜라민 분유 사건`이 터졌다. 최악의 이 식품안전사고에 멍뉴 등 22개 분유생산업체가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직접적인 타격은 자금시장에서 왔다.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은 멍뉴를 `저가매각` `폭락`으로 조정했고 멍뉴의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무…(2011-10-26 08:57:50)
중국 대학생들 70% 국가대사에 무관심 인기글 중국 대학생들 70%가 국가 대사에 무관심한 것으로 조사돼 사회와 교육계의 우려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관영 중국부녀보(中國婦女報)가 7일 보도했다.중화전국부녀연합회(中華全國婦女聯合會) 기관지인 중국부녀보는 랴오닝(遼寧)성 선양사범대학(瀋陽師範大學)이 이 대학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당대대학생생존상태보고'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이 국내외 대사에 너무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이번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현재의 국내외 대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냐는 질문에 '약간 …(2011-10-24 10:23:11)
중국의 빈부격차 수치…어느 정도인가 인기글 중국은 고속 성장으로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됐지만 자본의 쏠림 현상은 세계 최하위권으로 분석된다. 5일 중국 현지 언론 및 코트라(KOTRA) 중국 지사 등에 따르면 최근 사회과학원이 발표한 중국의 지니계수는 0.5로, 미국(0.408)이나 한국(0.341)보다 높다. 지니계수=소득분배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수치로 값이 0에 가까울수록 빈부격차가 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0.4가 넘으면 소득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니계수가 0.5가 넘는 국가는 중국을 포함해 세계 20여개국에…(2011-10-24 10:10:10)
인재가 없으면 중국도 없다 인기글 Part 1 - 캐나다에 살고 싶다는 칭화대 신입생 린린(淋淋), 올해 나이 열아홉. 온바오에 실린 김정권 포스코건설 전 사장의 칼럼을 보고 혼자서 가을을 만끽해보려고 올라탄 옌칭(延庆)행 S2열차 안에서 그녀를 만났다. 땅콩 한 봉지에 캔맥주 3개를 꺼내놓고 한가롭게 앉아 출발시간을 기다리고 있는데, 웬 아리따운 아가씨가 “옆자리에 사람 있어요?”라고 묻는 게 아닌가. 당연히(!) 자리를 내줬다. 중국 명문 칭화(清华)대학교의 신입생이라고 했다.…(2011-10-24 10:01:07)
중국의 기후 인기글 동과 서의 해뜨고 지는 시간이 4시간이나 차이가 날 만큼 국토가 넓어 다양한 기후가 나타나는데, 남부의 해남도는 연평균 27도인 반면, 북부의 흥룡강성은 연평균 기온이 4도, 기온에 따라서 크게 화남은 아열대, 화중 화북은 온대, 둥베이는 냉대지역으로 나뉘어 진다. 강수량을 보면 사막과 초원이 많은 서북부 지역은 연강…(2011-10-20 09:11:47)
'맥주의 나라'중국 인기글 지난해부터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맥주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미국은 처음으로 2위로 떨어졌으며, 독일과 브라질이 각각3,4위, 러시아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중국이 개혁개방 후 급속한 경제성장에 힘입어‘액체 빵”으로 불리는 맥주 소비가 급증하고 지방마다 맥주공장이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나자 버드와이저, 산미구엘, 칼스버그, 하이네켄, 아사이(朝日) 등 세계적인 맥주회사 30여 개가 이들과 합작투자하는 등 잇달아 진출하면서 생산량이 늘었고질도 좋아졌다.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맥주 20병 중 1…(2011-10-20 09:06:51)
중국 지도자로 급부상한 시진핑(習近平) 인기글 시진핑이 누구지? 초대형 스타 펑리위안의 남편을 말하는 건가?"차기 중국 지도자로 급부상한 시진핑(習近平)을 두고 몇 년 전까지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하던 말이다. 중국의 초대형 스타 펑리위안은 시청률이 매년 100%에 가까운 연말 가요프로그램에서 MC를 보는 빼어난 미모의 국민 가수다. 펑리위안이 인기 절정…(2011-10-17 19:31:54)
[열람중]중국의 '민족혼', 공자인가 루쉰인가 인기글 隱者(은자)처럼 몸을 낮춘채 나그네에 길을 열어주고…소금무역상들 모여살던 곳처첩 아편값 감당못해 몰락관광지로 지정됐지만 한산 '오악(五岳)을 보고나면 뭇 산을 볼 필요가 없고, 황산(黃山)을 보면 오악을 볼 필요가 없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빼어난 산이 황산이다. 황산은 산으로도 유명하지만 산자락에 자리한 오래된 마을과 황산시에 있는 명청대(明淸代)의 오래된 거리로도 유명하다. 그 가운데서도 허촌은 황산 근처의 몇몇 마을 중에서 가장 알려지지 않은, 가장 최근에 개방된 마을이…(2011-10-17 10:16:45)
'샤오제' 함부로 쓰지 마세요 인기글 "샤오제(小姐:아가씨), 물 한 잔 갖다줘요." "셴성(先生), 물수건 좀 주세요." 중국어를 좀 안다고 중국 식당에서 남녀 종업원에게 이렇게 말하면 종업원이 뜨악한 표정을 지을 수 있다. '샤오제' '셴성'이란 호칭 때문이다. 두 호칭은 중국 전역에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실제로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북경신보(北京晨報)는 4일 "개혁.개방 이전의 사회주의 중국에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썼던 단순 호칭 '퉁즈'(同志)가 사라진 뒤 잘못된 호칭이 범람하고 있어 급히 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1-10-17 10:14:52)
[중국 고전 인물전] 노자, 모든 가치 거부한 해체주의자 인기글 노자(老子), 모든 가치 거부한 해체주의자…한무제의 `열린 소통` 원동력으로 주나라의 덕(德)이 무너지고 나라가 찢기면서 몰락하자 분봉된 제후들이 저마다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약육강식의 논법으로 상대를 공격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골몰했다. 상대를 교묘하게 속이는 권모술수가 판을 치고,자신의 약점을 감추기 위한 고도의 눈속임이 도를 더해갔다. 그런 와중에서 제자백가라고 불리는 자들은 저마다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며 제후들을 찾아가 유세하고 자리를 보장받고자…(2011-10-17 08:27:5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