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현대의 치파오(전통의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07-18 09:08|

본문



[현대의 치파오(旗袍)]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패션 유행의 선도 그룹은 평민이었으며 그들은 소박하고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였다. 의상에 있어서 사람들의 미적 추구는 거의 대부분 혁명사업에 대한 열기로 변화되었다. 치파오가 대표하는 유유자적한 숙녀형상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존재할 공간을 상실함으로써 치파오는 쇠퇴기를 맞이하였다. 이 시기의 의상은 단순함과 소박함을 중시하였는데, 남성복은 중산복(中山裝), 학생복(學生裝), 춘추삼(春秋衫), 작업복(工作服) 스타일의 자켓, 군용 외투(軍大衣), 파커가 위주였고, 여성복은 원피스 스타일의 리앤이췬(連衣裙)과 레닌복(列寧裝)이 유행하였다. 많은 여성들은 앞에서 말한 남성복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색상은 녹색, 남색, 검정색, 회색 등 단조로운 색상이 대부분이었다.

1956년에 이르러 이러한 상황은 다소 호전되었다. 그 이유는 구소련의 고위급 인사가 중국을 방문했을 때 그는 중국인의 의상이 사회주의 대국의 현실에 부합하지 않다고 지적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에 1956년부터 중국정부에서는 국민들에게 무늬가 있는 의상을 입도록 권유하였던 것이다.

1956년 상해시 부녀연합회와 미술가협회가 공동으로 패션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이때 아름다운 의상을 입는다는 것은 다시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졌으며, 이로써 치파오도 다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50년대의 치파오는 구시대적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났다. 복잡하고 자질구레한 장식을 없애고, "실용성, 경제성, 심미성"의 추구를 의상과 나염을 포함한 공예미술계에 보편적으로 요구하였다. 치파오의 디자인은 간결하면서도 수수하고, 허리 품은 40년대보다 넓어졌으며, 자수와 테두리 등의 장식을 아주 적게 사용하고, 색상은 우아하면서도 조화로움을 추구하였다.

옷자락 옆면은 종아리 중간 부부을 터놓고, 허리품은 넉넉하면서도 허리 선이 뚜렷하다.
옷깃과 소매 등에는 가느다란 테가 있다.

맞도록 재단하여 비율이 적절하다.

옷깃은 약간 경사진 스타일로 패드를 사용하였으며, 옷깃 정중앙에 꽃매듭 단추가 있는 것 외에 다른 장식은 없다. 옷감은 무늬가 있는 수수한 색 비단을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온화하고 친밀한 느낌을 준다.

치파오가 1950년대에 잠시 찬란한 순간을 맞이하였다고 한다면, 그후 20년 동안 1960~70년대에는 한 순간 찬란했던 그 빛마저 상실해 버리고 말았다. 과거 우아하고 매력적이던 치파오의 자태는 연기처럼 사라지고 자취를 감추었다. 문화대혁명 10년 동안 일부 대담한 사람들은 치파오를 가지고는 있었지만, 그것을 조용히 박스 안에 모셔놓을 수밖에 없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계속된 문화대혁명 기간에  전통문화는 말살되고 치파오도 수난을 만났다. 문화대혁명은 치파오가 중국대륙에서 철저하게 종적을 감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일찍이 1950년대 말에서 60년대 초에 정치에 민감은 사람들은 대폭풍의 회오리를 예견하고 구문화적 색채가 짙은 치파오를 몰래 숨겨두고 예기치 못할 풍운을 피하려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과연 폭풍의 회오리가 중국 전역에 불어닥치면서, 치파오는 "봉건주의의 잔재" "부르조아적 정서"라는 이유로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무수한 치파오가 잘려나가고 치파오를 입은 여성들이 거리에서 비판을 받았다. 당시 치파오로 비판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여성간부와 고위급 인사 부인들도 있었는데, 그 중에는 유소기(劉少奇)의 부인 왕광미(王光美)도 포함되어 있었다.

손문(孫文)의 부인 송경령(宋慶齡)도 평생 동안 치파오를 좋아하였다. 그녀는 손문의 아내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동란 중에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치파오를 입을 수 있었다. 송경령의 사진을 통해서 우리는 몇십년에 걸친 치파오의 변천 과정을 엿볼 수 있다.(위의 송경령을 클릭하면 그녀가 입었던 치파오를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때의 치파오는 1940년대의 스타일을 고수하고 있었으며, "레닌복" 등 1960~70년대의 유행복과 함께 입었던 것 외에 치파오 자체에는 외형상 어떠한 변화도 없었다. 이 시기에는 회색, 남색, 검정색, 녹색의 제복이 유행복이었다.  
  
치파오가 중국대륙에서 냉대를 받았던 20년 동안 해외에서는 여전히 중시를 받았다. 해외 화교사회에서는 문화대혁명의 동란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복식 문화는 전통적인 색채를 비교적 잘 보존할 수 있었다. 치파오는 과거에도 입었고 지금도 입고 있으며,(그림 3, 4) 디자인은 참신해지고 더욱 섬세해졌다

  1953년부터 1961년까지 치파오는 지상에서 20cm 정도 떨어진 것을 표준으로 삼고 디자인의 곡선화를 지향하여, 끝자락이 화병만한 크기로 작은 것이 사람들의 더욱 많은 사랑을 받았다.

  치파오는 국제패션대회에서 여러차례 수상하여 세계 유명 디자이너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그러한 치파오의 독특한 매력은 그들의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림 5)

  치파오의 명성이 해외에서 드높아짐에 따라 많은 외국 배우들이 중국으로 와서 치파오를 주문해 갔다. 해외 화교들도 대부분 대륙의 치파오를 정통으로 삼았다.

  이때 중국대륙의 여성들은 치파오를 입지는 않았지만, 중국대륙(특히 상해)의 패션디자이너들은 여전히 해외 화교들을 위해 치파오를 제작하고 있었다. 이때부터 치파오는 대부분 예복으로 간주되어 홍콩과 대만 여성들 사이에 치파오를 평상복으로 입는 일이 점점 줄어들었다.

  10년간 동란의 문화대혁명 시기를 겪은 후 중국의 패션계는 다시 활기를 되찾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치파오가 다시 유행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다. 사회적 변화로 사람들의 미적 감성이 더 이상 구속 받지 않게 됨으로써 치파오는 생존과 발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치대로라면 당시 큰 주목을 받았던 치파오가 당연히 다시 사람들의 곁으로 돌아왔어야 했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치파오는 더 이상 유행하지 않았고, 소수의 사람들만 그것을 즐겨 입을 뿐이었다.

  치파오의 전성기는 멀리 사라졌다. 30년이란 오랜 세월 동안 냉대를 받았던 치파오는 1980년대 개혁 개방의 조류 속에서도 여전히 과거의 명성을 되찾지는 못하였다.

  1950년대에 치파오는 혁명과 검소를 상징하는 레닌복과 인민복(군대의 평상복)에 그 자리를 물려주어야만 했다. 이로부터 치파오는 낙화유수처럼 쇠퇴해져, 30년 후에는 치파오에 정통한 기술자와 전문가들도 점점 줄어들었다. 치파오 제작에 정통한 것으로 유명한 상해에도 치파오 등 중국 전통의복 제작 회사로는 용봉공사(龍鳳公司)만 남게 되었다.(그림6)

  이러한 상황에서 치파오는 유행에 필요한 생산기술의 기초를 다시 상실해버렸다. 게다가 치파오 제작에 필요한 직금단(織錦緞) 고향단(古香緞)과 같은 전통 옷감은 1980~90년대의 시대적 풍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게 되었으며,  기업가도 그후로는 새로운 옷감을 더 이상 열심히 찾지 않았다. 이러한 것들이 치파오가 유행되지 못한 원인이다.

  사람들의 생활방식 변화도 치파오의 유행에 영향을 미쳤다. 1980~90년대에 접어들어 여성들의 직업 분야가 확대되고 활동력이 증대됨으로써 치파오의 여성스럽고 우아한 자태는 활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현대여성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1980~90년대는 직업적 의미가 강한 "유니폼 치파오"가 출현하였다. 광고와 판매 등을 목적으로 홍보도우미나 연회장 호텔 식당 등에 근무하는 여성들이 치파오를 입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치파오는 천편일률적으로 생사를 모방한 화학섬유를 많이 사용하여, 색상이 화려하고 옷자락에 터놓은 부위가 매우 높으며, 제작 기법이 조잡하다. 이것은 실제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치파오의 아름다운 형상을 훼손시켰다. 사람들은 자신의 신분을 구별하기 위하여 함부로 치파오를 입지 못하고 있다.

  비록 여러 가지 원인으로 치파오가 일반인들에게 널리 유행되지는 못했지만,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치파오의 위치는 확실히 다시 상승하고 있다. 결혼식, 연회, 해외방문, TV프로그램 등과 같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치파오는 정식 예복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패션화 된 치파오나 치파오의 멋을 살린 패션은 이 시기 패션계의 주요 관심사였다.

  패션잡지와 패션쇼에 출품한 작품들 속에는 언제나 치파오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유명한 디자이너들도 나타나게 되었다. 유명한 디지이너로는 이염평(李艶萍), 요홍(姚紅) 등이 있는데, 특히 요홍은 1983년 <<시장(時裝)>> 잡지사와 일본 <<장원(裝苑)>> 잡지사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제1회 "중국패션문화상" 디자인 경연대회에서 치파오를 출품하여 일등의 영예를 안기도 하였다.

  1980~90년대에 여성들의 이상형은 다시 변화되었다. 크고 날씬하며 어깨가 나란하고 히프가 작은 몸매가 사람들이 동경하는 형이었다. 1930~40년대를 반영한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현대 치파오의 "수정판"이 출현하곤 하는데, 이는 디자이너들이 1980~90년대의 심미관으로 지난 세월 속에 투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치파오가 비록 광범위하게 유행되지는 못하였지만 그것은 결국 다시 중국인 곁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중국의 세계화 상징으로서 그것은 전통문화가 사라져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대단히 소중한 모습으로 재등장하였다. 한 세기 동안 중국인의 전통 의상으로 명맥을 유지해 온 치파오는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거쳤지만 여전히 중국적 정서를 짙게 보존해 왔으니, 그것의 강건한 생명력은 다른 어떤 전통의상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앞으로도 치파오는 중국인들에게 계속적으로 전승될 것이며, 나아가서 새로운 시기에 다시 한번 찬란한 빛을 발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열람중]현대의 치파오(전통의상) 인기글 [현대의 치파오(旗袍)]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패션 유행의 선도 그룹은 평민이었으며 그들은 소박하고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였다. 의상에 있어서 사람들의 미적 추구는 거의 대부분 혁명사업에 대한 열기로 변화되었다. 치파오가 대표하는 유유자적한 숙녀형상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존재할 공간을 상실함으…(2011-07-18 09:08:33)
중국해방군 건군기념일(국경일) 인기글 [국경일][8·1 중국해방군 건군기념일(八一建軍節)] 양력 8월 1일이다. 1927년 8월 1일 중국공산당은 제1차 국내혁명전쟁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하여 강서(江西) 남창(南昌)에서 주은래(周恩來) 주덕(朱德) 하룡(賀龍) 섭정(葉挺) 등을 영도자로 한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봉기를 일으킨 부대는 이듬해 4월에 정강산(井岡山)에 이르러 모택동(毛澤東)이 이끄는 농민봉기 부대와 합류하여 중국공농홍군제4군(中國工農紅軍第四軍)을 결성하였다. 이로부터 중국공산당은 독립적인 무장역량을 가지게 되었다. 그…(2011-07-18 09:04:33)
전통결혼 풍속 인기글 [결혼과 음식][전통결혼 풍속] 중국의 전통적인 혼인은 우리의 고대사회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부모의 의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었다. 부모가 한번 결정한 혼사에 대해서는 당사자의 동의 여부에 관계 없이 성사되었으며, 부모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당사자의 사랑 여부에 관계없이 성혼될 수 없었다.중국은 일찍이 서주(西周)시기에 혼인 절차에 대하여 엄격한 규정이 있었는데, 한대(漢代)에 이르러 "육예(六禮)"라는 완전한 절차가 형성되면서부터 그것은 수천년간 중국 민족의 전통적인 혼인 풍속으로 자리잡아 왔다. …(2011-07-18 09:03:17)
중국인의 가정생활 인기글 [결혼과 음식] [가정생활] 중국의 가정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A. 독신가정(單身家庭) : 한 사람만 생활한다. B. 핵심가정(核心家庭) : 부부 두 사람 및 미혼 자녀가 함께 생활한다. C. 주간가정(主幹家庭) : 부부와 미성년 자녀 외에도 노인이 있으며 3대나 4대가 함께 생활한다. D. 연합가정(聯合家庭) : 하나의 대가정에 2대 이상이 있고, 동일한 세대 속에도 2개나 3개 이상 의 소가정이 있으며 모두 함께 생활한다. 중국의 가…(2011-07-14 09:25:00)
중국 한족은 왜 붉은색을 좋아 하는가 인기글 중국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오성홍기’, 천안문광장 등 중국의 상징물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만약 중국을 다녀왔던 세심한 사람이라면 ‘중국사람들이 붉은색을 아주 좋아한다’ 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중화민족은 예로부터 황색을 고귀하고 신성한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아울러 붉은색을 상서로움과 경사로움의 상징으로 여긴다. 이를 테면 순결하고 선량한 효자를 &lt;적자(赤子)&gt;라고 부르고 여성들의 화려한 화장을 홍장(紅裝)이라고 한다. 또한 홍안(弘顔)이라는 말도 자주 쓰는데 이는 여…(2011-07-14 09:23:40)
"만리장성 쌓은 접착제는 쌀죽" 인기글 중국 만리장성을 쌓는 과정에서 쌀죽이 벽돌 접착제로 사용됐다고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지가 1일 보도했다. 중국 고고학자들이 시안(西安)의 만리장성 벽돌의 모르타르를 분석한 결과다. 만리장성 개.보수 작업 도중 유난히 단단하게 붙어있는 벽돌의 회반죽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들이 아침식사로 즐겨 먹는 찹쌀죽과 같은 성분이란 결과가 나왔다. 시안 유적보존.복원 센터의 한 전문가는 "적외선 분석 결과 벽돌의 모르타르와 쌀이 같은 분자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이 결과가 끈끈한 쌀죽이…(2011-07-14 09:20:11)
베이징 출신은 ‘귀족’, 외지인은 ‘떠돌이’ 인기글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외지 사람에 비해 대학입학, 취업 등에서 눈에 띄게 혜택을 받으면서도 외부인들은 ‘떠돌이’라고 부르며 차별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베이징에 살고 있는 리후에이(李輝)(43)씨는 85년 고향 푸젠(福建)에서 올라와 20년간 노력한 끝에 4개 회사와 2개의 빌딩을 가진 성공한 사업가가 됐다. 그러나 그는 요즘도 타지 출신이라는 이유로 적지 않은 차별은 받고 있다. “베이징 사람들은 저처럼 타지에서 온 사람을 피아오런(漂人, 떠돌이)이라고 부릅니다. 베이징에 2…(2011-07-14 09:18:52)
중국 가면 8 써서 팔아라 인기글 '중국시장을 숫자로 돌파하라.' 세계 소비시장 블랙홀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숫자마케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지난 1월 29일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은 차세대 전략기종인 7E7 드림라이너(Dreamliner) 기종을 787로 명명했다. 7X7 시리즈를 선보였던 보잉에서 전략 기종에 8자를 도입한 것은 세계 항공기시장을 집어삼키고 있는 중국을 노린 전략이다. 중국에서 숫자 8(八)은 '파차이(發財)'의 '發'과 발음이 비슷해 '돈 많이 버세요(恭喜發財)'란 말의 대명…(2011-07-14 09:16:56)
중 소비력 미국 앞질러 1위 인기글 곡물·육류등 추월…1인당 소비는 휠씬 떨어져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 등극했다. 이로써 중국은 자국 경제가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를 하나 더 얻게 됐다. 미국 워싱턴에 있는 지구경제연구소(EPI)는 중국의 주요 원자재와 공산품 소비가 미국을 앞섰다고 16일 밝혔다. 중국은 5대 원자재 중 석유를 제외한 곡물, 육고기, 석탄, 철강 등의 품목 소비에서 미국을 추월했다. 텔레비전, 냉장고, 휴대폰 등 주요 공산품목에서도 중국이 미국보다 더 많이 소비하고 있는 것으…(2011-07-11 09:09:04)
"폭죽 놀이는 중국의 전통" 인기글 당국이 안전상의 이유로 강력한 단속에 나섰지만 베이징(北京)에서는 중국인들의 춘제(春節. 설) 전통이 돼버린 폭죽 놀이를 막지 못했다고 상하이 영자지인 상하이데일리가 신화통신을 인용, 14일 보도했다. 특히 변호사 등 수도 베이징의 지식인들 조차도 춘제의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폭죽 터뜨리기에 참여하는 등 전통적인 놀이문화는 당국의 의지와 무관하게 더욱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당국은 지난 1993년부터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도심지역인 4환로(四環路) 안에서의 폭죽놀이를 금지했으며,…(2011-07-11 09:07:09)
'세계의 지붕'이 녹아내린다 인기글 파미르고원·히말라야산맥 난개발로 빙하 줄어 중국인들이 ‘지구의 지붕’으로 부르는 칭짱(靑藏)고원의 빙하가 매년 급속도로 녹아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도 있지만 인간들의 과도한 개발이 주범으로 지목됐다.중국의 칭짱고원 생태지질환경 원격탐사팀은 1970년대 4만8859.18㎢에 달하던 칭짱고원 빙하 면적이 최근 4만4438.36㎢로 줄어들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매년 평균 147.36㎢씩 빙하 면적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파미르고원과 히말라야산맥, 카라코람산맥의 빙하 피해가…(2011-07-11 09:04:40)
중국 은행 거래금액 따라 순번표 차별 인기글 일부 중국 현지 은행에서는 창구를 찾은 고객의 거래 금액에 따라 기다리는 시간에 차등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회사원 이모씨는 최근 광둥성 동관시에 있는 중국은행(Bank of China)에서 황당한 경험을 했다. 순번표 발급기가 우리나라와는 달리 1만위안 이하는 C, 1만 위안 이상 10만 이안 이하는 F, 10만 위안 이상은 H, VIP 고객은 L 버튼을 누르도록 되어 있었다.이씨는 1900위안(약 23만원) 정도만 거래할 예정이라 1만위안 이하인 C버튼을 눌러 C004…(2011-07-11 09:02:59)
중국 "서울→서우얼 전환 시간걸린다” 인기글 중국 정부가 ‘서울’의 새로운 중국어 표기로 결정된 ‘首爾(서우얼)’에 대해 사용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27일 “비공식 채널을 통해 원음에 가깝게 하기 위해 서울의 표기를 바꿨다고 중국에 설명했으나, 중국 측은 오랫동안 ‘漢城(한청)’이라고 써왔기 때문에 쉽게 바뀔 수는 없으며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입장이었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특히 “서울시와 한국 정부가 홍보 책자 등을 통해 표기 변경과 관련한 홍보를 해야 할 문제”라면서 “그러나 중국에서는…(2011-07-11 09:01:40)
중국부자 선호 명품 따로있다 인기글 車-BMWㆍ시계-롤렉스ㆍ위스키-시바스 가장 애용 `세계 3대 교역국으로 부상한 중국부자들은 어떤 명품을 선호할까.` 유로머니차이나와 영국 출신 회계사 후룬(胡潤)이 중국에 거주하는 1000만위안(약 15억원) 이상의 재산을 가진 부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명품에 대한 조사결과가 눈길을 끌고 있다고 홍콩 원후이바오(文匯報)가 12일 보도했다. 이번 조사 결과, 중국에 진출한 지 2년에 불과한 영국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인 벤틀리가 중국 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세단으로 나타났으며 BMW와 뷰익이 …(2011-07-07 09:50:26)
金庸은 무협지로 중국을 일으키려 했다 인기글 정통 문학이 아니어서 읽을거리로만 여겨지던 중국 무협소설을 학술적으로 연구한 한국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이 나왔다. 중문학자 유경철 씨(36)는 ‘사조영웅전’ ‘의천도룡기’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 무협소설을 펴낸 작가 진융(金庸·81)의 작품을 분석한 논문 ‘김용 무협소설의 중국 상상(想像) 연구’로 최근 서울대 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통과했다. 지도교수는 2003년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라는 책을 낸 같은 과의 전형준(필명 성민엽) 교수. 그동안 한국에서는 진융에 대한 석사학위 논문 …(2011-07-07 09:48:52)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