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세관수출입 화물통관신고서 기입제도 규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02-28 09:49|

본문

수출입 화물통관신고서 기입제도의 요구를 통일시키고 통관신고서 통계수치의 품격을 보장하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해관법》 및 관련법규에 따라 본 규범을 제정한다. 
본 규정은 보통 “통관신고서” 또는 “수입통관신고서”, “수출통관신고서”의 방식을 사용하며 다른 요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시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1. 통관신고서 기입증명서: 신고기관이 세관에서 규정한 격식에 따라 기입을 하는 증명서를 가리키는데 통관신고서에 기입할 근거로 사용된다. 
  2. 사전기입 통관신고서: 입력할 단체의 기입, 인쇄를 가리키는데 심사기관이 세관에 신고하는 통관신고서를 말한다. 
  3. 통관신고서 증명서: 세관이 화물의 실제 출입국을 조사 확인한 후에 통관신고서의 격식에 따라 제공한 증명서를 가리키는데 기업이 세무, 외화관리기관에 관련수속을 처리하는 증명서류로 사용된다. 
수출입화물 통관신고서 각 항목의 기입제도 규범은 다음과 같다. 
  1. 입력예정번호 
입력예정단체가 입력할 통관신고서의 일련번호를 가리키는데 심사기관과 세관 사이에서 신고 후에 보고를 받지 못한 통관신고서에 쓰인다. 
입력예정번호는 신고를 받은 세관에서 번호규칙을 결정한다. 통관신고서 입력증명서의 번호규칙은 심사기관이 자체적으로 결정한다. 
2. 세관번호 
세관이 신고를 받을 시에 통관신고서에 내리는 번호를 가리키는데 통관신고서의 매부분마다 표시된다. 
(1)H883/EDI통관시스템 
통관신고서 번호는 9자리 숫자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 1-2번째 숫자는 신고를 받은 세관의 번호(《통관구역 코드표》중에서 세관코드에 부합하는 뒤의 2자리 수)이며 3번째 숫자는 세관이 신고를 받은 연도(양력)의 4자리 숫자 중 마지막 숫자이고 뒤의 6개의 숫자는 순서번호를 가리킨다. 
수입 통관신고서와 수출 통관신고서는 일련번호를 분별해야 하는데 1년(양력) 안에 수입 및 수출에 따라 유일하게 본 통관구역의 모든 통관신고서를 표시할 수 있다.
(2) H2000통관시스템 
통관신고서의 세관번호는 18개의 숫자로 그중에 1-4번째 숫자는 신고를 받은 세관의 번호(《통관구역 코드표》중에서 세관코드에 부합하는 숫자)이고 5-8번째 숫자는 세관이 신고를 받은 연도(양력)이며 9번째 숫자는 수출입 마크(“1”은 수입, “0”은 수출을 나타냄), 뒤의 9자리는 순서번호를 가리킨다. 
세관의 H883/EDI통관시스템에서 H2000통관시스템으로 향하는 과도기에서 뒤 9자리 숫자의 번호규칙은 H883/EDI통관시스템의 요구에 부합한다. 
3. 수입항/수출항 
화물이 실제로 중국국경을 드나드는 항구세관의 명칭을 가리킨다. 
본 항목은 화물이 실제로 중국국경을 드나드는 항구세관에 근거하여 《통관구역 코드표》중 그에 부합하는 항구세관의 명칭 및 코드를 기입한다. 
수입 복합운송 화물은 화물입국 세관의 명칭 및 코드를 입력하고 수출 복합운송 화물 화물출국 세관의 명칭 및 코드를 입력하여 보고해야 한다. 복합운송 방식으로 감독 관리하는 가공화물에 따라 수출 통관신고서는 중간지점의 세관명칭 및 코드를 입력하고 수입 통관신고서는 종착지의 세관명칭 및 코드를 입력하여 기입해야 한다. 
서로 다른 가공수출지역 사이에서 양도하게 되는 화물은 상대측 가공수출지역의 세관명칭 및 코드를 입력하여 보고해야 한다. 
실제로 국경을 드나들지 않는 기타화물에 대해서는 신고를 받은 세관명칭 및 코드를 입력 보고한다. 
4. 등록번호 
수출입 기업이 세관에서 가공무역계약 등록 또는 징세, 감세, 면세심사 등록 등을 실시할 때 세관이 《재료가공 등록 총람》, 《연료가공 및 중소형 보상무역 등록 총람》, 《외상투자기업 상품수출계약, 원료수입 및 가공품 수출 이행 등록 총람》, 전자장부 및 분책(이하 《가공무역 장부》라 줄여서 칭함), 《수출입 화물 징세, 면세 증명》(이하 《징세, 면세 증명》이라 줄여서 칭함) 또는 기타 관련 등록심사서류에 내리는 번호를 가리킨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하나의 등록번호만을 기입할 수 있도록 허가한다. 등록번호 항목은 12자리 숫자로 되어있는데 그중에 첫 번째 숫자는 표기코드이다. 
등록심사서류가 없는 통관신고서에 대해 본 항목은 기입면제를 해준다. 
구체적인 기입요구는 다음과 같다. 
  (1) 가공무역계약 하의 화물은 소량의 가격이 낮은 보조재가 규정에 따라 《가공무역총람》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제외하고 《가공무역총람》번호를 기입한다. 
  (2) 징세, 감세, 면세 등록심사와 관련된 통관신고서는 《징세, 면세 증명》번호를 기입한다. 
  (3) 수출가공 구역을 드나드는 보세품은 반드시 표기코드가 “H”인 전자장부 등록번호를 기입하고 수출가공 구역을 드나드는 징세, 면세화물 또는 면세품은 표기코드가 “H”이고 6번째 숫자가 “D”인 전자장부 등록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4) 타지의 직접통관 분책이나 타지의 가공이월수출 분책을 사용하여 타지 항구에서 통관수속을 하는 경우에는 본 항목에서 반드시 분책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현지의 직접통관 분책이나 현지의 가공이월수출 분책은 현지 통관수속에 제한되어 있으며 본 항목에는 반드시 총람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5) 가공무역제품이 《징세, 면세 증명》에 의해 감, 면세 화물수입의 대우를 누리는 경우에는 수입 통관신고서에 《징세, 면세 증명》번호를 기입하고 수출 통관신고서에는 《가공무역 총람》번호를 기입한다. 
  (6) 감, 면세 설비 및 가공무역 설비의 이월에 대해 진입 및 진출기업은 각각 수입, 수출 통관신고서를 기입하고 통관신고서의 “등록번호”란에는 각각 《가공무역 총람》번호, 《징세, 면세 증명》번호 또는 “기입 필요 없음”을 기입한다. 
  (7) 특혜무역협정 하에 원산지증서 네트워킹 관리가 실시되는 화물은 원산지증서 코드 “Y”와 원산지증서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원산지증서 네트워킹 관리가 실시되지 않은 화물에 대해서 본 항목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5. 계약협의 번호 
본 항목에는 반드시 수출/입 화물계약(협의)의 색인글자 전체 또는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6. 수입일자/수출일자 
  (1) 수입일자 
  적재 시 화물의 운송수단 입국신고를 신고하는 일자를 가리킨다. 본 항목에 기입하는 일자는 반드시 부합하는 운송수단의 입국일자와 일치해야 한다. 
  수입신고를 할 때 부합하는 운송수단의 실제 입국일자를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경우 본 항목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2) 수출일자 
  적재 시 화물의 운송수단 출국신고 일자를 가리킨다. 본 항목은 세관에 통관증명서 사본을 제공하여 심사 시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실질적인 출/입국이 없는 통관신고서에 기입하는 신고수속 일자는 세관이 신고를 받은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 
  (3) H883/EDI통관시스템 중에 본 항목은 6자리 숫자로 되어있는데 년, 월, 일의 순서로 각각 2자리로 되어있다. H2000통관시스템 중에 본 항목은 8자리 숫자로 되어있는데 년(4자리), 월(2자리), 일(2자리)의 순서로 표기한다. 
7. 신고일자 
세관이 수출입 화물의 적송인, 수취인 또는 위탁을 받은 통관기업의 신청을 받는 일자를 가리킨다. 
전자데이터 통관방식으로 신고를 한 경우 신고일자는 세관 전산시스템에서 신고데이터를 받을 때 기록되는 일자이다. 종이로 된 통관신고서 방식으로 신고를 한 경우 신고일자는 세관이 종이로 된 통관신고서를 받고 또 통관신고서에 대해 등록수속을 실시한 일자이다. 
H883/EDI통관시스템 중에 본 항목은 6자리 숫자로 되어있는데 년, 월, 일의 순서로 각각 2자리 숫자로 표기한다. H2000통관시스템 중에 본 항목은 8자리 숫자로 되어있는데 년(4자리), 월(2자리), 일(2자리)의 순서로 표기한다. 
8. 운영단체 
운영단체는 대외수출입무역계약을 체결하고 집행하는 중국 국내기업, 단체 또는 개인사업체를 가리킨다. 
본 항목에는 운영단체 명칭 및 운영단체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운영단체 번호는 운영단체가 세관에서 등록수속을 밟을 때 세관에서 매기는 10자리 숫자의 번호이다. 
특수상황에서의 운영단체 확정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지원, 증정, 기증하는 화물은 직접적으로 화물을 수취하는 단체를 기입한다. 
  (2) 수출입 기업간에 서로 수출입 업무를 대행하면 대리인을 기입한다. 
  (3) 외상투자기업이 수출입 기업에 투자 설비, 물품 수입을 위탁한 경우에는 외상투자기업을 기입하고 또 표기코드 및 피고란에 “XX수출입 기업에 수입을 위탁”이라고 기입한다. 
  (4) 통관대리권을 가지고 있는 수출입 기업이 본 기업의 수출입 또는 다른 기업의 수출입을 대리하는 경우 본 기업의 운영단체 번호를 기입하고 다른 기업의 수출입 통관수속을 대리할 때에는 위탁자의 운영단체 번호를 기입한다. 
9. 수취단체/출하단체 
  (1) 수취단체 
  이미 알고 있는 수입물품을 국내에서 최종 소비, 사용하는 단체를 가리키는데 다음과 같은 단체가 포함된다. 
  A. 자체적으로 외국에서 화물을 수입한 단체 
  B. 수출입 기업에 화물 수입을 위탁한 단체 
  (2) 출하단체 
  수출물품을 국내에서 생산 또는 판매하는 단체를 가리키는데 다음과 같은 단체가 이에 포함된다. 
  A. 자체적으로 화물을 수출하는 단체 
  B. 수출입 기업에 화물 수입을 위탁하는 단체 
  (3) 세관 등록번호 또는 가공생산기업번호를 가지고 있는 수취, 출하단체에 대해서는 본 항목에서 운영단체 번호 또는 가공생산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그러지 못할 경우 중국어 이름을 기입해야 한다. 가공무역 통관신고서의 수취, 출하단체는 《가공무역총람》의 “화주단체”와 일치한다. 감면세 화물 통관신고서의 수취, 출하단체는 《징세, 면세 증명》의 “신청단체”와 일치한다. 
10. 신고단체 
신고내용의 진실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세관에 책임을 지는 기업이나 단체를 가리킨다. 자체적으로 통관수속을 하는 경우에는 수(출)입 화물의 경영단체 명칭 및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대리 통관수속을 위탁하는 경우에는 세관의 승인을 거친 통관기업 명칭 및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본 항목에는 또 통관신고서 왼쪽 밑에 위치한 신고단체 관련 상황의 기입에 쓰이는 관련항목 항목이 포함되는데 통관요원, 통관단체 주소, 우편번호 및 전화번호 등 항목이 이에 포함된다.
11. 운수방식 
화물운수의 출입국 수속에 사용되는 운송수단의 분류를 가리키는데 실제운수방식과 세관에서 규정한 특수운수방식이 이에 포함된다. 
본 항목은 실제운수방식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 《운수방식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운수방식을 골라서 기입해야 한다. 
특수상황에서 운수방식의 기입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우편방식이 아닌 수출입 화물속달은 실제운수방식에 따라 기입한다. 
  (2) 출입국 여객이 휴대하는 물품은 여객이 탑승한 운송수단에 따라 기입한다. 
  수입 복합운송 화물은 화물을 운반하여 국내에 진입한 운송수단에 따라 기입한다. 수출 복합운송 화물은 화물을 운반하여 국경을 나가는 운송수단에 따라 기입한다. 
  (4) 수출 가공지역과 외지 사이에서 드나드는 화물에 대해 내지기업은 “9”로 기입하고 외지기업은 “Z”로 기입한다. 
  (5) 실제 출입국이 없는 기타의 경우에는 실제상황에 따라 《운수방식 코드표》의 운수방식 “0”(비보세구의 보세구 진입 및 보세구 철회), “1”(국내 수출 감독 관리 창고 및 수출 감독 관리 창고 철회), “7”(비보세구로 향한 보세구), “8”(보세창고의 국내 판매 전환) 또는 “9”(기타운수) 중에서 골라 기입한다. 
  (6) 같은 수출가공 구역이나 다른 수출가공 구역의 기업 간에 상호이월, 조달하는 화물, 수출가공 구역과 기타 세관특수 감독 관리구역간, 다른 보세구간, 같은 보세구내의 다른 기업간, 보세구와 수출 가공구역 등 세관 특수 감독 관리구역간의 이동, 조달된 화물은 “9”(기타운수)를 기입한다. 
12. 운송수단 명칭 
화물운반 출입국의 운송수단 명칭 또는 운송수단 번호를 가리킨다. 
본 항목의 기입내용은 운수부서가 세관에 신고하는 화물적재 명세서와 부합하는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하나의 운송수단 명칭만을 기입할 수 있다. 
구체적인 기입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직접적으로 출입국경에서 통관수속을 하는 통관신고서의 구체적인 기입 요구사항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는 선박명이나 선박번호(홍콩, 마카오 일대를 왕래하는 소형 선박은 감독 관리 장부 번호)+“/”+출항 번호를 기입한다. 
  (B) 자동차 운수는 입국한 운수차량의 국내 번호판+“/”+출입국 일자(8자리 숫자인데 년(4자리), 월(2자리), 일(2자리)의 순서로 표기. 이하 동일함)를 기입한다. 
  (C) 철로 운수는 열차번호(또는 차량번호)+“/”+출입국 일자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는 비행기편 번호+출입국 일자+“/”+최종 운송장 번호를 기입한다. 
  (E) 우편 운수는 우편 소포번호+“/”+출입국 일자를 기입한다. 
  (F) 기타 운수는 구체적인 운송수단 명칭을 기입하는데 예를 들어 도관, 역축 등을 기입한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는 선박번호(홍콩, 마카오 일대를 왕래하는 소형 선박은 감독 관리 장부 번호) 또는 선박의 영문이름을 기입한다. 
  (B) 자동차 운수는 입국한 운수차량의 국내 번호판을 기입하는데 심천의 사전통관 양식은 국내 번호판+“/”+“사전통관”(한자 4글자)을 기입한다. 
  (C) 철로 운수는 차량번호 또는 연결번호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는 비행기편 번호를 기입한다. 
  (E) 우편 운수는 우편 소포번호를 기입한다. 
  (F) 기타 운수는 구체적인 운송수단 명칭을 기입하는데 예를 들어 도관, 역축 등을 기입한다. 
  (G) “명세서 통과, 집중통관”의 화물에 대해서는 “집중통관”(한자 4글자)을 기입한다. 
(2) 복합운송 운수 화물의 통관신고서 기입요구사항 
A. 수입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직송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은 입국선박 영문이름(반드시 선하증권(B/L), 복합운송 통관신고서에 기재된 내용과 일치해야 함)+“/”+“@”+입국선박 출항번호를 기입한다. 
  b. 철로 운수: 직송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은 차량번호+“/”+“@”+8자리 입국일자를 기입한다. 
  c. 항공 운수: 직송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를 기입한다. 복합운송은 8자리 분담운수증서의 번호를 기입하고 분담운수증서가 없는 경우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d. 도로 및 기타 각종 운수: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e. 이상의 각종 운수방식은 광동성 일대 화물적재 명세서 복합운송 통관의 사전통관을 이용하여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기타지역의 사전통관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직송, 사전통관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은 입국선박 영문이름을 기입한다. 
  b. 철로 운수: 직송, 사전통관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은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c. 항공 운수: 직송, 사전통관은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은 “@”을 기입한다. 
  d. 자동차 및 기타 운수: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e. 이상의 각종 운수방식은 광동성 일대 화물적재 명세서 복합운송통관의 사전통관을 이용하여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기타지역의 사전통관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수출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중전 운송이 아닌 수출은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 가운데 국내의 해상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 선박명+“/”+출항번호를 기입하고 국내의 철로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 차량이름(4자리 관별 코드+ “TRAIN”(영문이름))+“/”+6자리 출하일자를 기입한다. 또 국내의 도로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차량이름(4자리 관별 코드+“TRUCK”(영문이름))+“/”+6자리 출하일자를 기입한다. 
  위에서 언급한 “선박명”, “출항번호”, “차량이름”, “일자”는 반드시 사전에 세관에 등록해야 한다. 
  b. 철로 운수: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여러 장의 통관신고서가 한 장의 복합운송통관신고서를 거쳐 복합운송통관을 해야 하는 경우 “@”를 기입한다. 
  c. 기타 운송수단: “@”+16자리 복합운송 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위에서 말한 규정 이외의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본 항목에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중전 운송이 아닌 경우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여러 장의 통관신고서가 한 장의 복합운송통관신고서를 거쳐 복합운송통관을 해야 하는 경우 운송수단 이름 칸에 “@”를 기입한다. 
  중전 운송 가운데 국내의 강이나 바다를 이용한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 선박명을 기입하고 국내의 철로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 차량이름(담당세관의 4자리 관별 코드+ “TRAIN”(영문이름))을 기입한다. 또 국내의 도로 운수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차량이름(담당세관의 4자리 관별 코드+“TRUCK”(영문이름))을 기입한다. 
  b. 철로 운수: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여러 장의 통관신고서가 한 장의 복합운송통관신고서를 거쳐 복합운송통관을 해야 하는 경우 “@”를 기입한다. 
  c. 항공 운수: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여러 장의 통관신고서가 한 장의 복합운송통관신고서를 거쳐 복합운송통관을 해야 하는 경우 “@”를 기입한다. 
  d. 기타의 각종 출국운송수단: “@”+16자리 복합운송통관신고서 입력번호(또는 13자리 화물적재 명세서 번호)를 기입한다. 
(3) 실제 출입국이 없는 화물 통관신고서 
A. H883/EDI통관시스템 
가공무역의 가공이월 및 재료이월 화물, 가공무역 제품이 《징세, 면세 증명》에 의해 감면세를 받는 수입품, 보세구 및 외지사이에서 수출입 되는 화물, 동일한 보세구내 또는 다른 보세구의 기업간에 이동(조달)되는 화물, 수출 가공지역과 외지 사이에서 수출입 되는 화물, 동일한 수출 가공지역내 또는 다른 수출 가공지역의 기업 사이에서 상호 이월, 조달되는 화물은 먼저 수입통관수속을 밟아야 하며 또한 수출 통관신고서의 본 항목에는 전환측의 통관지역 코드(앞 두자리 숫자)와 수입 통관신고서 번호를 기입한다. 즉, “XX(통관지역 코드)로 XXXXXXXXX(수입 통관신고서/등록 명세서 번호)를 전환” 이런 식으로 표기한다. 복합운송통관 운수화물에 따라 이월수속을 하는 경우 복합운송통관 관련규정에 따라 기입한다. 
B. H2000통관시스템에서 본 항목은 기입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규정 이외에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본 항목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13. 비행기편 번호 
적재화물의 출입국을 담당하는 운송수단의 비행기편 번호를 가리킨다. 본 항목은 H2000통관시스템에만 제한되어 있어 H883/EDI통관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본 항목의 내용은 운송수단의 명칭과 함께 기입해야 한다. 
구체적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출입국 지역에서 직접 통관수속을 하는 통관신고서 
  A. 해상 운수: 선박의 출항번호를 기입한다. 
  B. 자동차 운수: 현 지역에 진입한 운수 차량의 출입국 일자(8자리 숫자. 년(4자리), 월(2자리), 일(2자리)의 순서로 기입. 이하 동일함)를 기입한다. 
  C. 철로 운수: 출입국 일자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E. 우편 운수: 출입국 일자를 기입한다. 
  F. 기타 각종의 운송수단: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2) 복합운송 화물통관신고서 
  A. 수입 
  (A) 해상 운수: 중전 통관방식은 “@”+입국간선 선박의 출항번호를 기입한다. 직송, 사전통관수속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도로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철로 운수: “@”+출입국 일자(8자리 숫자. 년(4자리), 월(2자리), 일(자리)의 순서)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E) 기타 각종의 운송수단: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수출 
  (A) 해상 운수: 중전 운수방식이 아닌 화물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중전운수 화물 가운데 국내 해상운수는 선박의 출항번호를 기입하고 국내 철로, 도로 운수는 6자리의 출하일자를 기입하는데 이는 년, 월, 일의 순서로 각각 2자리 숫자로 표기한다. 
  (B) 철로의 차량본체 묶음 수출: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항공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D) 기타 운송수단: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3) 위에서 언급한 규정 이외에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본 항목에는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14. B/L 번호 
수출입 화물의 B/L 또는 운송장 번호를 가리킨다. 
본 항목에 기입하는 내용은 운수기관이 세관에 신고한 적재화물 명세서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하나의 B/L 번호만을 기입할 수 있다. 하나의 화물에 많은 B/L이 필요할 때는 각각 따로 기입한다. 구체적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출입국 지역에서 직접 통관수속을 하는 통관신고서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수입 B/L 번호를 기입한다. 
  (B) 자동차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철로 운수: 운송장 번호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 분할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분할 운송장이 없는 경우 종합 운송장의 번호를 기입한다. 
  (E) 우편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F)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는 본 항목에 기입하지 않는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수출입 B/L번호를 기입한다. 만약 분할 B/L이 있는 경우 수출입 B/L번호+“*”+분할 B/L번호를 기입한다. 
  (B) 자동차 운수: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철로 운수: 운송장 번호를 기입한다. 
  (D) 항공 운수: 종합 운송장 번호+“_”+분할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분할 운송장이 없는 경우 종합 운송장 번호를 기입한다. 
  (E)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본 항목에 기입하지 않는다. 
(2) 복합운송 화물의 통관신고서 
A. 수입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직송, 중전 운송은 B/L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 시에는 기입하지 않는다. 
  b. 철로 운수: 직송 화물은 11자리의 종합 운송장 번호+“/”+8자리의 분할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는데 분할 운송장 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11자리 종합 운송장 번호를 기입, 중전 운송은 “@”+종합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항공 운수: 직송 화물은 11자리의 종합 운송장 번호+“/”+8자리의 분할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는데 분할 운송장 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11자리 종합 운송장 번호를 기입, 중전 운송은 “@”+종합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은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d. 기타 운수방식은 본 항목에서 기입하지 않는다. 
  e. 이상 각종 운수방식의 입국물품이 광동성 내에서 도로교통을 통해 복합 운송된 경우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직송, 중전 운송인 경우 B/L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인 경우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b. 철로 운수: 직송, 중전 운송인 경우 철로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인 경우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c. 항공 운수: 직송, 중전 화물은 종합 운송장 번호+“_”+분할 운송장 번호를 기입하고 사전통관인 경우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d. 기타 운수방식은 본 항목에서 기입하지 않는다. 
  e. 이상 각종 운수방식의 입국물품이 광동성 내에서 도로교통을 통해 복합 운송된 경우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B. 수출 
  (A) H883/EDI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중전운송 화물인 경우 B/L번호를 기입한다. 중전운송 화물이 아닌 경우에는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광동성 내에서 사전통관 수속을 하는 복합운송 화물은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b. 기타 운수방식: 광동성 내에서 사전통관 수속을 하는 혼합운송 화물은 차량번호를 기입하고 기타지역은 기입하지 않는다. 
  (B) H2000통관시스템 
  a. 해상 운수: 중전운송 화물인 경우 B/L번호를 기입한다. 중전운송 화물이 아닌 경우에는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광동성 내에서 사전통관 수속을 하는 복합운송 화물은 차량번호를 기입한다. 
  b. 기타 운수방식: 광동성 내에서 사전통관 수속을 하는 혼합운송 화물은 차량번호를 기입하고 기타지역은 기입하지 않는다. 
15. 무역방식(감독 관리 방식) 
본 항목은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 《무역방식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무역방식의 약칭이나 코드를 골라서 기입한다. 
수출 가공지역 내의 기업이 기재하는 《수출 가공지역 출(입)국 화물 기록 명세서》는 수출 가공지역 화물에 사용되는 감독 관리 방식의 약칭이나 코드를 골라서 기입한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하나의 무역방식만을 기입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가공무역 통관신고서의 특수상황 기입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소량의 저가 보조재(즉, 5000달러 이하 78종류 이내의 저가 보조재)가 규정에 따라 《가공무역총람》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조재 수입 통관신고서에는 “저가 보조재”라고 기입한다. 《가공무역총람》을 사용하는 경우 《가공무역총람》의 무역방식에 따라 기입한다. 
  (2) 외상투자 기업이 국내외판매 비율에 따라 국내 판매상품을 가공하기 위해 수입하는 자재 또는 수입 가공제품의 자재는 수입통관신고서에 “일반무역”이라고 기입한다. 
  외상투자 기업이 가공제품을 수출하기 위해 전부 국내자재를 사용하는 수출계약의 제품수출 통관신고서에는 “일반무역”이라고 기입한다. 
  (3) 가공무역 자재의 이월 또는 가공 이월물품은 허가받은 무역방식에 따라 기입한다. 
  (4) 가공무역 자재의 국내 이전판매 물품(및 자재에 따라 수입수속을 사후 처리하는 국내 이전판매 상품, 불량품, 반제품)은 수입 통관신고서를 기재해야 하는데 본 항목에는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자재 국내 판매”라고 기입한다. 가공무역 상품이 《징세, 면세 증명》에 의지해 화물수입 감면세를 받는 경우는 각각 수입, 수출 통관신고서를 기재해야 한다. 본 항목은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상품 감면”이라고 기입한다. 
  (5) 가공무역 수출품이 사정으로 인해 수입을 취소하거나 재수출한 경우, 가공무역 수입자재가 자재교환으로 인해 수출을 취소하거나 재수입한 경우는 《가공무역총람》등록과 부합하는 교환 감독 관리방식의 약칭이나 코드를 기입한다. 
  (6) 재료준비《가공무역총람》중의 자재가 가공수출《가공무역총람》에 이월된 경우 부합하는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 가공무역방식을 기입한다. 
  (7) 보세공장이 가공무역을 한 수출입물품은 《가공무역총람》에 따라 부합하는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 가공무역방식을 기입한다. 
  (8) 가공무역 재료조각의 국내 판매와 부산물 국내 판매는 수입 통관신고서에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재료조각 국내 판매”라고 기입한다. 
  (9) 가공무역 자재 또는 제품을 포기한 경우에는 수입 통관신고서에 “(재료도입 또는 재료공급)포기”라고 기입한다. 
16. 징, 면세 성격 
세관이 수출입 물품에 대해 징세, 감세, 면세 관리를 실시하는 성격분류를 가리킨다. 
본 항목은 반드시 세관에서 발급한 《징세, 면세 증명》가운데 주해를 단 징, 면세 성격에 따라 기입한다. 또는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 《징세, 면세 성격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징세, 면세 성격의 약칭이나 코드를 골라 기입한다. 
가공무역 통관신고서의 본 항목에는 반드시 세관에서 발급한《가공무역총람》가운데 주해를 단 징, 면세 성격에 따라 부합하는 징세, 면세 성격의 약칭이나 코드를 기입한다. 특수상황에서의 기입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보세공장이 경영하는 가공무역은 《가공무역총람》에 따라 “재료도입 가공” 또는 “재료공급 가공”이라고 기입한다. 
  (2) 외상투자 기업이 국내외판매 비율에 따라 국내 판매상품을 가공하기 위해 수입하는 자재 또는 수입 가공제품의 자재는 수입통관신고서에 “일반징세” 또는 기타의 부합하는 징, 면세 성격을 기입한다. 
  (3) 가공되어 국내에 판매되는 상품은 실제의 징, 면세 성격에 따라 기입한다.(예: 일반 징세, 과학교육 용품, 기타 법정 등) 
  (4) 부품의 수출취소, 완성품의 수입취소 물품인 경우 “기타 법정”(코드:0299)이라고 기입한다. 
  (5) 가공무역의 이월물품은 본 항목에서 기입하지 않아도 된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단 하나의 징, 면세 성격만을 기입할 수 있다. 
17. 징세비율/외화결제방식 
  (1) 징세비율 
  “불일치 계약 재료도입 가공”(코드:0715)무역방식 하의 수입부품의 수입 통관신고서에만 사용된다. 세관에서 규정한 실제 징세비율을 기입하는데 예를 들어 5%이면 “5”, 15%이면 “15”라고 기입한다. 
  (2) 외화결제방식 
  수출 통관신고서에는 반드시 외화결제방식을 기입해야 하는데 물품을 수출하는 적송인이나 대리인이 외화결제를 받는 방식을 가리킨다. 본 항목은 반드시 세관에서 규정한 《외화결제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외화결제방식의 이름이나 코드를 골라 기입한다. 
18. 허가증 번호 
수(출)입 허가증이 있어야만 하는 물품은 본 항목에 상무부 및 증서발급기관에서 발급한 수(출)입 화물 허가증의 번호를 기입해야 한다. 
하나의 통관신고서에는 단 하나의 허가증만을 기입할 수 있다. 
19. 출하 국가(지역)/도착 국가(지역) 
출하 국가(지역)는 수입물품이 직접 중국에 도착하거나 또는 운수 중전 국가(지역)에서 어떠한 상업성 활동도 일어나지 않고 중국에 도착하게 되는 출하 국가(지역)를 가리킨다. 
도착 국가(지역)는 수출물품이 중국국경을 벗어나 직접 도착하거나 또는 운수 중전 국가(지역)에서 어떠한 상업성 활동도 일어나지 않고 최종적으로 도착하게 되는 국가(지역)를 가리킨다. 
운수 중전을 하게 되는 물품에 대해서는 만약 중간지점에서 어떠한 상업성 거래도 일어나지 않은 경우 출하, 도착 지점은 바뀌지 않는다. 만약 중간지점에서 상업성 거래가 일어난 경우 중간지점을 출하/도착 국가(지역)로 하여 기입한다.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본 항목에는 “중국”(코드:0142)이라고 기입한다. 
20. 선적항/지정 목적항 
선적항(Port of Loading)은 수입물품이 중국에 들어오기 전 가장 마지막의 경외 선적항을 가리킨다. 
지정 목적항(Port of Destination)은 외국으로 운송되는 수출물품의 최종 목적항을 가리킨다. 최종 목적항은 사전에 미리 알 수 없어서 예측 가능한 최종 목적항에 따라 기입한다. 
본 항목은 실제상황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 《항구 항로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항구의 중국어 이름이나 코드를 골라 기입한다.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본 항목에는 “중국 국내”(코드:0142)라고 기입한다. 
21. 국내 목적지/해외 공급지 
국내 목적지는 이미 알고 있는 수입물품의 국내 소비지역, 사용지역 또는 최종 도착지역을 가리킨다. 
해외 공급지는 수출물품의 국내 생산지 또는 처음의 출하지역을 가리킨다. 
본 항목에는 수입물품의 수취단체, 수출물품의 생산 공장 또는 출하단체 소속국가 국내 지역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 《국내지역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국내지역 이름이나 코드를 골라 기입한다. 
22. 허가번호 
수출 통관신고서의 본 항목은 《수출 외화수취 신고서》번호 기입에 사용된다. 
23. 거래방식 
본 항목은 실제의 거래가격 조항에 근거하여 세관에서 규정한《거래방식 코드표》에 따라 부합하는 거래방식 코드를 골라 기입한다. 
실제 출입국 사실이 없는 경우 수입은 CIF가격을 기입하고 수출은 FOB가격을 기입한다. 
24. 운송비용 
본 항목은 거래가격에 운송비용이 포함되지 않은 수입물품이나 거래가격에 운송비용을 포함한 수출물품에 사용되는데 통관신고서에&nb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장식 비용의 부담 인기글 북경에서 음식점을 경영하는 A사장은 수소문 끝에 어렵사리 길목 좋은 장소를 찾아 1년 기한으로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후 100만위엔(元)을 들여 장식을 했다.나름대로 노하우가 있었던 A사장은 몇 개월만에 상당수의 고정고객을 확보하는 등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영업을 시작한지 1년이 다가와 임대차계약 기간을 연장하려고 하자 임대인이 동의를 하지 않았다. 거기다 임대인이 직접 음식점을 경영할 목적으로 퇴거를 요구함은 물론 임대차계약서에 임대기한 만료 후 장식비용에 대한 약정이 없는 점을 …(2011-03-03 09:18:58)
가압류 주택의 강제집행 인기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중국인에게 주택을 담보로 50만위엔(元)을 빌려주었다. 변제기한이 지나도 돈을 받지 못하자 인민법원에서 주택 가압류를 신청, 승소판결을 받았다. 이때 승소판결을 가지고 어떻게 가압류된 주택에 대해 강제집행을 할 수 있을까. 2005년 11월14일 확정된 최고인민법원의 해석 '가압류 주택의 강제집행 규정'을 통해 알아보자.첫째, 인민법원은 가압류가 설정된 주택에 봉인 혹은 경매 및 채권자에게 양도이전을 결정할 수 있다. 둘째, 인민법원은 피집행인이나 부양가족이 실제 거…(2011-03-03 09:16:15)
신용장 개설 후 대금지불 중지 인기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무역거래를 할 때 신용장(L/C) 거래를 원칙으로 했다. 미국으로부터 물건을 수입하고자 신용장을 중국은행에다 개설했다. 도착한 부품을 검수해 보니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이었다. 이때 A사장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을 2006년 1월1일부터 시행되는 ‘최고인민법원 신용장 안건분쟁 심리에 관한 약간 규정’을 통해 알아보자.첫째, 중국인민법원은 신용장에 관한 안건 심리를 ‘국제신용장 통일규칙’에 따라 신용장 독립의 원칙 및 신용장 내용의 엄격 일치의 원칙에 따라 심리한다.둘째,…(2011-03-03 09:15:25)
[열람중]세관수출입 화물통관신고서 기입제도 규범 인기글 수출입 화물통관신고서 기입제도의 요구를 통일시키고 통관신고서 통계수치의 품격을 보장하기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해관법》 및 관련법규에 따라 본 규범을 제정한다. 본 규정은 보통 “통관신고서” 또는 “수입통관신고서”, “수출통관신고서”의 방식을 사용하며 다른 요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시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1. 통관신고서 기입증명서: 신고기관이 세관에서 규정한 격식에 따라 기입을 하는 증명서를 가리키는데 통관신고서에 기입할 근거로 사용된다. 2. 사전기입 통관신고서: 입력…(2011-02-28 09:49:43)
호텔요금계산법 인기글 한국에서 사업차 베이징(北京)에 온 A사장은 오후 늦게 도착하여 저녁 9시경 호텔에 투숙했다. 이튿날 바쁜 일정을 보내고 저녁 7시경 다른 지방으로 가기 위해 호텔 투숙요금을 지불하려고 했으나 호텔측은 낮 12시를 초과하면 하루반치의 요금을 내야 하고 저녁 6시를 초과하면 이틀치를 지불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A사장은 투숙시간이 전부 21시간으로 하루에 해당하는 24시간도 되지 않았는데 사전에 이러한 계산법을 알려주지도 않고 결산시 이틀치 요금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반박했다. 이때 중국법률은…(2011-02-28 09:48:29)
[지구촌 전망대]모리화와 중국인 인기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차(茶)를 마신 나라는 중국이다. 신농씨(神農氏) 때부터 시작된 5000년 역사다. 이런 차의 나라 중국인들이즐겨 마시는 차 중 하나가 재스민의 중국어인 모리화(茉莉花)차다. 투명한 유리잔 속에서 마치 춤을 추듯 풀어지는 모리화차는맛과 향이 일품이다. 중국 남방에서 많이 생산되지만 오히려 베이징(北京),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등 북방 사람들이 더 즐겨마신다. 중국인에게 익숙한 노래로 ‘모리화'라는 민요가 있다. 장쑤(江蘇)와 저장(浙江)지역을 중심으로 명·청시대부터 전해…(2011-02-28 09:41:57)
조기유학, 생활관리가 중국어 교육보다 중요 인기글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눈부신 발전을 이룩해 나가고 있는 중국. 전세계가 총체적 난국에 직면해있는 상황이지만 중국은 여전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노다지의 땅'이다. 때문에 한국에서 부는 중국어 배우기 열풍은 경제 한파에도 식을 줄을 모른다.이러한 중국어 붐은 청소년들의 중국 조기유학으로 이어져 많은 부모들이 유학 목적지로 중국을 주목하고 있다. 또 이미 중국어를 배우기 위해 현지로의 조기유학을 선택한 청소년들도 많다.그러나 과연 "중국만 갔다오면 중국어를 다 익혀서 돌아오겠지"란…(2011-02-28 09:38:43)
중국 초중고 교육 과정, 한국과 어떻게 다른가? 인기글 중국의 학교는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학교와 다르다는 것을 느낄 때가 많다.중국의 초, 중(小, 中)학교는 의무교육 과정이다. 일반적으로는 평준화를 지향하지만 일부 명문 공립학교와 명문 사립학교가 존재한다.고등학교(高中)의 경우 통일된 입학시험의 성적을 근거로 입학한다. 시험을 통해 입학한 학생들은 3년간 학비 몇100元만 지불하고 학교를 다닐 수 있는데, 이들을 공비생(公费生)이라 한다. 한편 시험성적은 부족하지만 많은 학비를 지불하고 입학이 가능한 기여 입학제도(自费生)가…(2011-02-28 09:37:48)
중국 변호사의 성적표 인기글 직업상 중국의 변호사(律師라 함)와 만남의 자리가 많다 보니 양국에 법률업계의 문제점들이 스스럼없이 안주거리로 등장하게 되는데, 그 중 그들이 말하는 중국 변호사의 성적표를 소개하고자 한다. 100점짜리 변호사는 실력과 인맥(關係)을 겸비한 말 그대로 문무(文武)를 겸비한 고수이고, 인맥은 있는데 실력이 없는 변호사는 50점, 실력은 있는데 인맥이 없는 변호사는 30점, 둘 다 없는 변호사는 빵점이라고 한다. 과거의 한국이나 지금의 중국이나 채점의 조건은 비슷한데 차이점을 들라면, 한국은 실력이 …(2011-02-24 09:46:51)
중국 진출, 고난과 좌절 그리고 용기와 열정 인기글 시안(西安)에서 처음 선정한 미용실 위치는 대형 백화점 오픈을 준비하고 있는 곳이었다. 백화점 공사 때문에 유동 인구가 많지는 않지만 백화점 완공과 더불어 번화가로 변할게 틀림없어 보였다.나를 포함해 아홉 병의 한국 직원이 시안으로 들어왔다. 조선족 직원 3명, 한족 직원 50명이 현지에서 합세했다. 기자재 및 헤어 관련 용품은 전량 한국에서 들여왔다. 중국 진출이 처음이기에 한국 인테리어팀도 함께 왔었고, 입지 조건도 상당히 유리하다고 생각되어 자신감에 차 있었다.하지만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했던…(2011-02-24 09:38:02)
회사설립과 공상관리국 인기글 한국의 주식회사를 중국에서는 유한공사(有限公司)라 부르는데, 이를 법률에서는 법인(法人)이라고 하여 사람(自然人)과 마찬가지로 그 신분에 관한 등기부가 있다.한국에서는 법인등기부라고 하여 법원 산하의 상업등기소에서 관장하지만, 중국에서는 행정부 산하의 공상관리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그 등기(登記)에 근거하여 영업허가증(營業執照)이 발급된다.한국에서 주식회사를 설립하는 경우 상법에 규정한 서류를 갖추어 법원에 제출하면 법인등기부에 등기(登記)가 되는 동시에 회사의 설립이 완료된다. 하지만 중국의 …(2011-02-24 09:32:33)
율사와 율사사무소 (상) 인기글 중국에 진출해 경제활동을 하는 과정에서는 한국에서 사업을 할 때와는 다른 많은 문제점에 당면하게 되는데, 이는 법과 제도가 다른 환경에서 발생하는 당연한 현상이다.그러나 현재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법률사무소가 불과 4개소에 불과한 관계로, 언어소통이 자유롭지 못한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법적 문제에 봉착하는 경우 예상외의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현재 중국의 사법정책 상 한국법률사무소가 금방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모두 3회에 걸쳐서 중국의 율사제도와 율사사무소 이용방법에 관해 설명하고자…(2011-02-24 09:31:44)
사례를 통한 율사비용 인기글 최근 발생한 교통사고를 예로 들어 사건처리의 방법과 율사 비용 등을 이해해 보자.이 사건은 택시운전자가 실수로 고가도로 교각에 충돌해 앞자리에 타고있던 한국인 승객(여)이 중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한 경우로, 피해자의 가족이 없는 관계로 주변 한국인들이 나서서 도움을 준 사례다.우선 택시회사를 조사한 결과 타이완과 합작한 꽤 규모가 큰 회사였고, 사고 운전자는 자기 소유의 차량으로 회사에 소속된, 속칭 지입제 차량 기사였다.택시회사는 승객에 대해 1인당 최고 1만 元의 상해보험에 가입해 있었고, 그…(2011-02-24 09:30:38)
중국 고전 인물전] 관중 "풍족해야 명예와 치욕을 안다" 인기글 중국 고전 인물전] 관중 "풍족해야 명예와 치욕을 안다" 제(齊)나라 환공(桓公)을 돕는 재상이 되어 그를 춘추오패로 만든 관중(管仲:?~BC 645)만큼 운도 따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간 사람도 많지 않다. 그는 관포지교(管鮑之交)란 고사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관중은 몰락한 귀족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빈곤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삶에 강한 의지를 갖게 됐다. 장사에 관심이 있어 어려서부터 이곳저곳을 돌아다녔고 각 나라의 지형과 경제 상황에 대해서도 남다른 경…(2011-02-22 01:36:16)
부동산과 방지산(房地産) 인기글 부동산(不動産)이란 동산(動産)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토지와 그 정착물(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우 부동산에 관한 등기부를 법원등기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행정구청에서는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의 대장(토지대장, 건축물대장)을 관리하고 있다.법원등기소에서는 필지별로 토지등기부와 건물등기부를 구분 관리하면서, 민원인의 신청에 의해 누구에게나 등기부등본을 열람 혹은 발급해 주고 있다.(이를 公示制度라 함)중국의 경우는 부동산을 방지산(房地産)이라 하는데, 房은 건축물을, 地…(2011-02-21 10:28:3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