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인이 인정하는 '미인'에 대한 분석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01-13 11:37|

본문

내가 어릴 때부터 느껴 왔고 또 지금도 느끼고 있는 잘 생긴 남자에 대한 기준과 요즘 젊은이들이 느끼고 있는 그것은 사뭇 다르다. 예전에는 이른바 ‘남자답다’라는 개념이 보편적 기준으로 작용해서 기본적으로 오관이 뚜렷해야 했으며 그런 가운데 균형이 잘 잡혀 있어야 했다. 말하자면 신성일이나 안성기 스타일이어야 미남형으로 간주되었고, 또 영상 매체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따라서 요즘 입에 오르내리는 이른바 ‘꽃미남’형의 인물들은 전에는 ‘곱상하게 생겼다’라고 표현되었을지는 몰라도 적어도 미남의 반열에 오르기는 어려웠다. 재미있는 것은 중국어 표현도 우리랑 같아서 ‘화메이난(花美男)’으로 불리며 요즘은 이러한 인물 유형이 주변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같은 뜻인 ‘꽃미남’과 ‘화메이난’이란 단어 생성 시에 어느 쪽이 어느 쪽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길이 없다.
여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요즘 방송가의 연예 프로에 정상급 미인으로 등장하는 젊은 여성 연예인들은 우리가 지금까지 보편적으로 가져 왔던 유형의 미인들이 아니다. 예전의 시각으로 보면, 적어도 체중에 관한 한 미인은커녕 정상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허약한 사람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들과 방송매체의 역기능으로 인해 수많은 어린 여학생들이 필요 이상으로 체중과 몸매에 집착해 적지 않은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한편 시대를 거꾸로 뒤집어 이야기하면, 각종 민화에 나타나는 우리의 전통적인 미인상은 지금의 잣대로 보면 그다지 미인이라 할 수도 없다. 조선시대 도화서의 화공들은 아마 지금의 미인상을 상상도 못했을 것이 분명하다. 이 점은 서양도 마찬가지이다. 한때 명화냐 음화냐를 두고 사회적 시비를 불러 왔던, ‘마야 부인’을 그린 ‘고야’에게 있어서 요즘의 미인상은 아마도 초현실세계 이야기였을 것이다.
시절이 변하면서 이제 그때와는 다른 인물형이 때를 만나 이전에는 얻기 어려웠던 찬사와 선망을 받고 있다. 미에 대한 기준은 지역에 따라 다르고 동일 지역 내라 할지라도 이처럼 시대에 따라서 계속 변해 가니 이를 두고 이상스럽다거나 불만스럽게 받아들일 필요까지야 없으리라. 매우 자연스런 흐름의 하나일 터이니 나와 직접 관계되는 일이 있다면 모를까 아니라면 그저 그런가 보다 하고 지켜볼 따름이다.
그러면 이 부분에 관한 중국인들의 생각은 어떨까? 우선 중국 고전을 통해 개인적 주관을 아우르는 보편적인 유형을 찾아 보자. “분두(粉頭, 하얀 목덜미라는 뜻으로 여체의 미칭)의 피부는 떡처럼 매끄럽고 손을 찌를만한 것은 아무 것도 솟아있지 않았다. 허리를 껴안으니 이것이 연옥온향(軟玉溫香 부드럽고 따뜻한 여체라는 뜻)이라고나 할까. 천금으로도 살 수 없는 귀한 것이었다" 소설 ‘금병매(金甁梅)'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여체에 대한 묘사이다.
방중술을 다룬 경전으로 넘어가 보자. ‘옥방비결(玉房秘訣)'에는 이상적인 여인의 요건을 다음과 같이 비교적 장황하게 그리고 있다. 즉 “신체는 중키에 알맞게 살이 찌고, 성격은 그윽하고 고상하며, 조심성 있고 정열적일 것, 용모는 검은 머리에 가는 눈, 살찐 귀와 입, 코는 약간 높은 듯하고 비강은 약간 위로 오른 듯, 부드럽고도 하얗고 엷은 피부, 윤기 있는 피부색, 우아한 몸놀림, 사지의 관절뼈는 풍만한 지방으로 덮이고, 골격이 굵으며 포동포동한 몸매, 살집은 솜처럼 부드럽고 탄력이 있을 것, 목소리와 말투는 낮은 소리, 탄력이 있으면서도 보들보들하고 기름처럼 매끄러워야 한다. 또 털이 없고, 만약 있다 하더라도 명주실처럼 매끄러우며 더구나 액즙이 많을 것" 등을 들고 있다. 
뜻글자인 한자의 특성을 한껏 살려 매우 함의있게 잘 표현했다는 생각은 들지만, 달리 생각하면 여인을 너무 해부학적 관점에서 갈기갈기 찢어발겼다는 느낌도 든다. 아무튼 요즘이라면 페미니즘에 입각한 사람들로부터 몰매 맞기 딱 좋은 얘기만 골라가며 욕심껏 잘도 묘사했다. 
그런가 하면 최근 산둥에서는 각 지역별 미녀를 평가하는 기준지표 '산둥 미녀기준(齐鲁美女标准)'이 발표되어 흥미를 끈다. 발표된 '산둥 미녀 기준'은 미모의 대학생과 직장인 수천 명을 견본으로 하여 머리, 얼굴, 몸매 등 신체 37개 부위에 대해 연구 조사하고 분석을 거친 기준지표로, 각자의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시키면 미녀 기준과의 격차를 알 수 있다. 
예전 미인의 기준은 '버들잎 눈썹, 살구씨 눈, 옥 같은 코, 앵두 같은 입술'이었지만 이번 기준지표가 말하는 미인은 '코 높이 41 ~ 53mm, 입술 높이 16 ~ 24mm' 등 모든 것이 정확한 수치로 평가되고 있어 미인의 평가기준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표된 미녀 기준표는 성형의학 임상부문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될 전망이란다. 
중국에서는 매년 ‘중국 국제 미인주(China International Beauty Week)’가 열린다. 비즈니스에 ‘무슨무슨 주(周)'를 잘도 동원하는 중국사회지만 이것 역시 착안만으로도 대단한 비즈니스 감각이라 하겠다. 어떻든 이때마다 시나(sina), 소후(sohu) 등 웹사이트들이 마련한 ‘중국미인 토론장'이 후끈하다. 한국의 젊은 네티즌들이 특정 여성 연예인들을 거명하며 어느 부위가 어떻고 이미지가 어떻고 하는 등 품평을 늘어놓는 것과 마찬가지 현상이다. 
미인의 조건을 두고 상하이푸퉁대학(上海普通大學)의 심리학과 쟈밍교수는 “중국인과 외국인의 미인에 대한 기준은 서로 다르다. 중국인들은 서구적인 미인형을 선호한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동양적 매력의 영화배우 장쯔이를 들 수 있다. 오래 전 그는 ‘피플’지 선정 세계 미인 50명 중에 포함되었지만 많은 중국인들은 그 결과에 동의하지 않았다. 세계인들은 동양적 미에 경탄하고 있지만 정작 중국인들은 서구적인 미를 선호한다는 반증이다. 서로간 자기에게 갖추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연모이리라.
그런 한편 한때 인터넷상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모은 푸룽(Furong)양은 새로운 형태의 미인상을 보여주었다. 누가 봐도 평범한 용모의 그는 자신의 사진과 자신감으로 가득 찬 문장을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해 강한 자신감을 가진 당당한 현대적 개념의 미인을 선보였다. 또한 한때 중국 전역을 달구었던 ‘수퍼 걸(超級女聲)' 프로에 등장하는 프로가수 뺨치는 젊은 여성들을 보고 있노라면 강한 생동감이 화면 밖에까지 뻗친다는 느낌을 받는다. 아무래도 현대적 미인상은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디자인해 가며 앞날을 개척하는 개성미에서 찾아야 될 듯하다.
우리가 ‘성형’이라 부르는 의료파트를 중국에선 ‘정형(整容)’이라 부르며 전문의 자격을 갖추지 않은 자들도 미비한 법률 틈새를 비집고 부분적으로 많이들 나서고 있다. 우리가 정형외과라 부르는 파트는 여기선 ‘뼈과(骨科)’라 부르고 있다. 호칭의 차이는 그렇다치고 한국의 성형의술이 중국에서 각광을 받은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이러한 움직임은 매우 의미있어 보인다. 
한때 너무 지나친 쏠림현상을 보였기에 일부 무자격자로 인한 부작용도 있었고, 이에 따라 지나친 붐을 규제하려는 움직임까지도 있었다. 중국 아가씨들이 한국의 성형의술에 기대어 바꾸고자 하는 자신의 용모는 필경 서구형 미인이다. 그걸 한국 의료진이 맵시있게 잘 해 낸다는 이야기이겠다. 사실과는 물론 다르지만 한국 여성들이면 다들 성형을 하는 줄로 착각하고 있는 중국인들도 그 동안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었다.
잘 알려져 있듯 한국의 의학과 의료수준은 세계적이다. 오랜 기간 우수한 인적자원들이 대거 의대로 몰려드는 등 사회적 투자가 광범위하게 진행되더니 마침내 이루어 낸 우리의 남부럽지 않은 사회적 자산이다. 이로 인해 우수한 의료인력이 포화를 넘어 과잉으로 치닫는 등 의료계 내부에서 그들 사이의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해졌지만, 한국 내에서의 의료 수혜환경은 의료파트를 불문하고 세계 어느 나라 못지 않은 수준에 이르렀다. 모자라면 수입, 넘치면 수출이니 중국을 향한 특정 의료분야 진출에 기대되는 바가 자못 크다. 이미지 구축이 이만한데 더 이상 별도로 홍보비용을 계산할 필요도 없지 않겠는가. 이제 남은 건 단추를 꿰는 일일 것인데…….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에서 제대군인 채용, 이것을 주의해야 인기글 군생활을 했던 사람과 하지 않았던 사람은 써보면 대체적으로 군 경력이 있는 사람이 조직에의 적응이 빠르고 상사의 지시에 순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신입사원이지만 입사할 때 경력을 일부 인정하여 호봉을 추가해 주는 회사도 있다.중국도 마찬가지로 제대군인을 써보면 믿음직하고 회사 규율을 준수하는 경향이 강하고 사내에서 말썽을 일으키는 경우도 비교적 적다. 그러나 중국에서 제대군인을 채용할 때는 주의할 점이 있다.40여 년 전 중국정부 재정이 어려울 때 제대하는 군인들에게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 없…(2011-01-17 10:38:24)
서비스와 복무의 차이 인기글 한국 대구의 대구백화점 건너편 골목길의 삼락식당. 장찌개로 유명한 곳이다. 역사가 오랜 음식점 대부분이 그러하듯 국물 맛에 그 집 특유의 맛깔이 배어있는 곳이다. 동성프라자 건물이 들어서기 전에는 약간의 공터를 끼고 있어 수더분한 입구의 모양새마저 좋았는데, 아쉽게도 지금은 빌딩 한 구석에 콕 처박혀 있다. 입지가 다소 안쓰러워 보이긴 하나 ‘맛자랑 멋자랑' 프로에 등장하지 않아서 그런지 쓰잘 데 없이 요란한 입간판 따위가 없어서 더욱 마음 편한 곳이다.어느 날 혼자서 늦은 점심을 먹게 되었는데,…(2011-01-17 10:35:51)
중국학교에 다니는 한국학생들의 고충 인기글 중국의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들여다보면 한국과는 많은 차이가 난다. 우선 인문계 과목에서 한국의 '일반사회'과목과는 전혀 다른 특유의 이데올로기적 '정치'과목이 있고, 수학을 비롯 물리, 화학 등 주요 자연계 과목은 매우 중요시되어 난이도가 한국의 그것과 비교할 때 대충 한 학년 정도 앞서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물론 '어문'과목은 중국어를 말한다.모국어로 배우는 한국어도 사실 그리 쉽지만은 않다. '구개음화'나 '자음접변', '으' 변격이니 '르' 변격이니 하는 것들도 꽤나 골치를 썩이는 판국에…(2011-01-17 10:33:58)
중국어 한글표기법, "따지지 말자" 인기글 이곳 선양 땅에 처음 발을 내디뎠을 때다. 당시만 해도 중국과의 수교 기간이 짧은 탓이었던지 중국어 표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기자들이 꽤나 있어서 일간지에서조차 ‘선양’과 ‘센양’이 혼용되고 있었다. 그래서 둘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 중국어 발음에 가까우냐고 대외한어(對外漢語)를 담당하는 교수 양반에게 물어 보았다. 중국어 병음(拼音)으로 표기할 때의 ‘sh' 발음이 한국어에는 없는 탓에 감을 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둘 다 아니라는 답변이었다. 내 귀엔 아직도 오히려 ’션양‘이 더…(2011-01-17 10:32:21)
학부모회와 家長會 인기글 아이 학교 학부모회에 들렀다. 이곳에서는 ‘자장후이(家長會)'라고 한다. 한국과 다른 점은 불가피한 경우 외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모두 다 참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 절반 가량은 아버지들이다. 부모가 오지 않는 아이는 여러모로 소외될 수밖에 없는 분위기다.학부모회에 대부분 참석하는 것 못지 않게 하교 때면 상당수 학부모들이 아이를 맞으려고 무리를 이루어 교문 앞을 서성대는 모습을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다. 중학교, 고등학교라 해서 별반 다르지도 않다. 인원수에서만 차이가 있을뿐 전반적인 분…(2011-01-13 11:51:58)
중국, 근로자 '고르는' 시대는 가고 '모시는' 시대로 인기글 중국 저장성에 있는 어느 회사에서 사장을 비롯한 간부 직원들이 매일 아침 출근하는 사원들에게 아침 인사하는 광경이다.이 회사는 약 7개월 전부터 아침인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사진을 보면 20여 년 전 한국에서 몇몇 회사 공장에서 공장장 이하 간부사원들이 직원들 보다 30분 정도 일찍 출근해서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인사를 했던 기억이 난다. 사진이 뜻하는 바는 중국도 이제는 회사가 직원들을 소모품 다루듯이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도 생산직 사원 구하기가 힘들어 졌고 사원을 면접을 해서 골라 …(2011-01-13 11:42:07)
중국어 한글표기법, "따지지 말자" 인기글 이곳 선양 땅에 처음 발을 내디뎠을 때다. 당시만 해도 중국과의 수교 기간이 짧은 탓이었던지 중국어 표기법에 익숙하지 않은 기자들이 꽤나 있어서 일간지에서조차 ‘선양’과 ‘센양’이 혼용되고 있었다. 그래서 둘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 중국어 발음에 가까우냐고 대외한어(對外漢語)를 담당하는 교수 양반에게 물어 보았다. 중국어 병음(拼音)으로 표기할 때의 ‘sh' 발음이 한국어에는 없는 탓에 감을 잡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둘 다 아니라는 답변이었다. 내 귀엔 아직도 오히려 ’션양‘이 더…(2011-01-13 11:40:13)
13억의 고단한 중국! 아~ 사람아, 사람아 인기글 가도 가도 인적 하나 발견하기 어려운 초원이나 사막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서로가 반갑게 마련이다. 사람을 그리워하던 나머지 마침내 만나게 된 사람이니 어찌 반갑지 않으랴. 한국에서 꽤나 먼 해외관광지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한국사람들 사이도 그러하다. 사람 자체는 많을지언정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없거나 적었기에 그걸…(2011-01-13 11:39:17)
[열람중]중국인이 인정하는 '미인'에 대한 분석 보고서 인기글 내가 어릴 때부터 느껴 왔고 또 지금도 느끼고 있는 잘 생긴 남자에 대한 기준과 요즘 젊은이들이 느끼고 있는 그것은 사뭇 다르다. 예전에는 이른바 ‘남자답다’라는 개념이 보편적 기준으로 작용해서 기본적으로 오관이 뚜렷해야 했으며 그런 가운데 균형이 잘 잡혀 있어야 했다. 말하자면 신성일이나 안성기 스타일이어야 미남형으로 간주되었고, 또 영상 매체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따라서 요즘 입에 오르내리는 이른바 ‘꽃미남’형의 인물들은 전에는 ‘곱상하게 생겼다’라고 표현되었을지는 몰라도 적어도 미남의…(2011-01-13 11:37:00)
인공 임신중절 수술 인기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중국인을 배우자로 얻었다. 오랫동안 자식을 기다리던 A사장은 중국인 아내가 임신을 하자 매우 기뻤다. 결혼 후 A사장과 감정불화가 생긴 중국인 부인은 A사장의 동의 없이 인공 임신중절 수술을 했다. 이에 화가 난 A사장은 생육권을 주장하며, 배우자의 동의 없이 인공 임신중절 수술을 한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중국 법률상 병원의 책임 여부를 알아보자.첫째, 중국 ‘인구와 계획생육법’에 의하면, “공민은 생육권을 가지며 법률에 의거해 가족계획을 할 의무가 있…(2011-01-10 09:54:12)
최종 해석권 인기글 중국에 유학중인 A군은 친구들과 음식점에 갔다가 마침 개업 5주년 행사로 20% 할인 행사를 한다는 공고를 발견했다. 공고 마지막에 5주년 기념행사 공고에 대한 최종 해석권은 음식점에 있다고 돼 있었다. 그리고 식사 후 요금을 지불할 때 최종 해석권을 주장하며 몇몇 음식은 할인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음식점의 이런 행위는 중국법에 합당한지 알아보자.첫째, 중국계약법 제40조와 제41조 규정에 의하면, 약관계약에서 정한 강제성 규정은 무효다. 둘째, 소비자권익보호법 제24조 규정에 의하면, “경영자…(2011-01-10 09:50:58)
이혼소송 금지 인기글 중국인과 결혼한 A사장은 최근 부인과 불화가 많았다. 비록 아내가 임신 3개월이지만 아이를 출산하면 아이가 불행해질 것으로 예상하게 됐다. 생각 끝에 이혼하기로 결심했다. 법원에 이혼신청을 한 A사장은 법원으로부터 거절당했다. 이러한 경우 중국혼인법의 규정을 살펴보자.중국혼인법 제24조 규정에 의하면, 아래의 경우 남편은 이혼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첫째, 여자가 임신 중일 경우둘째, 여자가 출산 후 1년 이내인 경우셋째, 여자가 임신이 중지돼 유산한지 6개월 이내인 경우위의 A사장의 경우 여자와 …(2011-01-10 09:49:04)
혼인 방해죄 인기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외동딸의 혼인문제로 걱정이 많았다. 중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딸이 중국 남자친구와 결혼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분노한 A사장은 딸의 외출을 금지시키고 버릇을 고치기 위해 폭력을 행사했다. 이에 반발한 외동딸은 남자친구와 함께 중국경찰에 혼인방해죄로 고소했다. 이런 경우 A사장은 중국형법에 저촉되는지 알아보자.첫째, 중화인민공화국 형법 제257조에 의하면, 폭력으로 타인의 혼인의 자유를 간섭하면 2년 이하의 유기징역에 처할 수 있다.둘째, 이런 혼인방해죄는 친고죄이므로 당…(2011-01-10 09:47:47)
가짜 상품 판매장소 제공 인기글 베이징(北京)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점포를 여러 개 운영하다, 가짜 상품을 취급하는 친구의 부탁으로 점포를 임대해 주었다.A사장의 점포에서 가짜 상품을 판매하던 친구가 진짜 상품의 상표권을 가진 회사로부터 상표권 침해로 고소를 당했다. 상표권을 가진 회사는 판매의 편의를 제공한 A사장에게도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이런 경우 A사장은 어떤 책임을 지는지를 ‘중화인민공화국상표법’과 실시세칙을 통해 알아보자.첫째,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한다는 사실을 알거나 명확히 알 수 있으면서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해…(2011-01-10 09:46:50)
차량 소유자의 민사책임 인기글 중국에서 회사를 경영하는 A사장은 회사 소유의 차량이 여러 대 있었다. 중국인 친구가 잠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차량을 빌려달라길래 빌려주었다. 물건운반 도중 운전자의 실수로 교통사고가 발생해 피해자가 사망했다. 유족은 운전자와 차량 소유자인 A사장의 회사에 연대책임을 주장하며 사망보상금을 요구했다. A사장의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알아보자.첫째, 과거 ‘도로교통사고 처리법’ 제31조에 의하면, 차량 소유자는 차량 운전자가 교통사고로 인한 손해를 배상할 경제적 능력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 소유자가 배상…(2011-01-06 09:35:2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