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개혁개방 30년, 中 예술품시장 발전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0-11-18 09:58|

본문

원동력, 지원력, 잠재력-개혁개방 30년 중국 예술품시장 발전사

화가 쩡판즈曾梵志)의 유화《면구계열(面具系列: 가면 시리즈) 1996 No.6》이 2008년 5월 24일 홍콩 ‘크리스티스(Christies) 2008 춘계 경매회’에서 6704만위안이라는 천문학적인 가격에 거래되어 화제가 되었다.

‘난세에는 금이 제일이요, 태평성세에는 골동품과 서예작품 수집이 최고’라는 말이 있다. 개혁개방 바람과 함께 중국 예술품시장은 활기를 되찾았다. 특히 최근 십 년 동안 중국 예술품시장에는 화랑업, 경매업, 예술박람회가 삼위일체가 된 시장경영 구조가 확립되었으며,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고, 무에서 유를 창조하며, 경험이 전무한 상황에서 규범화가 이루어져 국제예술품시장에서 그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개혁개방 : 예술품시장 번영의 원동력

개혁개방 전 중국 예술품시장은 1950년대 ‘공사합영(公私合營: 국가와 민간이 공동으로 투자, 경영)’과 ‘문화대혁명(1966~1969년)’을 거쳐 극도의 침체기에 들어섰으며, 골동품 상점도 한때 자취를 감추었다. 오랜 시간 동안, 중국에는 서예 작품과 문방구를 다루는 룽바오자이(榮寶齋), 둬윈쉬안(朵雲軒) 등 소수의 국유 서예작품 점포와 문화재 수집 및 대외판매를 담당하는 국영 문화재 상점만이 있었다. 문화재와 예술품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거래될 수 있었고, 수 천년 동안 지속되어왔던 골동품 및 서예작품 수집 풍습은 민간에서 겨우 명맥을 유지했다.

개혁개방은 이러한 중국 예술품시장에 새로운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어 주었다.

1980년 대에 중국 관광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전국 중대형 도시 특히 동부연해지역 개방도시와 관광도시에 서예작품과 장식화를 전문 경영하는 중소형 화랑이 나타났다. 외국 관광객의 선호를 받으면서, 중국 서예작품은 중요한 외환 창출 제품이 되었다. 대외 문화예술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고, 공예 미술품 및 유명 화가 서예 복제품이 수출되면서 중국 예술품 수출시장이 발전하게 되었다.

1990년대는 중국 예술품시장이 대대적으로 발전한 시기였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출범으로 중국 예술품시장은 호황기를 맞이했다.

△1991년 호주인 Brian Wallace는 최초로 베이징에 현대적인 화랑 ‘훙먼화랑(紅門畫廊)’을 개설했다. △1992년 10월 3일 선전시동산경매점(深圳市動産拍賣行)은 선전박물관에서 ‘제1회 당대 중국 유명 화가 서예작품 경매회’를 개최하여 중국 예술품 경매의 서막을 열었다. △1992년 10월 11일 국가문물국과 베이징시문물국의 비준을 받아 ‘1992년 베이징 국제 경매회’가 개최되었으며, 중국 문화재 경매시장의 서막이 열리게 되었다. △1993년 5월 중국 최초의 경매주식회사 중국자더국제문화진품경매유한회사(中國嘉德國際文化珍品拍賣有限公司)가 베이징에서 설립되어 현대적인 경매 기업제도 구축을 향한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 △1993년 11월 16일 ‘제1회 중국 예술 박람회가
광저우중국수출제품교역회빌딩(廣州中國出口商品交易會大厦)에서 개최되었다. 이처럼 중국 예술시장의 새로운 시대가 서서히 열리게 되었다.

2001년 말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였고, 중국의 대외개방은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였다. 중국경제의 고도성장과 함께 중국에서 유화 및 영상 전시회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예술품 가격도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중국 예술품시장은 짧은 조정기를 거친 후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예술품시장이 발전하자 관련 경영제도와 법률/법규도 先 실천 後 이론화, 先 시장화 後 규범화 현상을 보이며 점차 완비되었다.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경매법》이 발표된 후 중국 경매기업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으며, 2002년 새로운 《중화인민공화국문물보호법》이 시행되면서 민간 골동품과 서예작품 수집이 나날이 활발해졌고 민영기업이 대거 예술품시장에 진출했으며 시장수요가 증가했다.

시장번영: 예술 발전의 지원력

전체 중국의 시장경제에서 예술품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지만, 객관적 의미에서 경제 발전 구조를 변화시켰으며, 특히 문화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선 시장을 통해 중국 예술품의 국제시장 진출, 중국 문화예술의 국제화, 중국 문화예술의 세계 전파가 이루어졌다.

해마다 경매회사는 정교한 컬러 경매 도록을 대량 인쇄하여, 국내외 소장가와 문화재 매니아들에게 무료로 송부하고, 경매회가 열릴 때마다 사흘간 전시회를 동반 개최하여 사람들을 끌어들였다. 도록 열람과 전시회 참관을 통해, 사람들은 중국역사, 회화, 서법, 공예 및 예술품 감정 관련 지식을 얻고 문화재와 예술품의 가치를 알게 되었다. 중국의 문화예술은 폭 넓게 전파되었고 대중의 문화수준과 문화재 보호 의식도 은연중에 제고되었다. 또한, 언론 매체의 시장 홍보도 문화재 지식 및 문화재 정책의 홍보와 교육 확대에 일조했다.

예술품시장을 통해 국가박물관도 진귀한 골동품과 서예작품을 발견하고 소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민영 박물관과 민영 예술소장기관의 발전이 촉진됐다. 특히, 전 세계적인 경매업의 문화재 수집으로 해외로 유실된 문화재를 되찾게 되었다.

이전에 중국 국영박물관 소장 문화재는 주로 국가조달, 민간인 기증, 고고학 발굴을 통해 얻어졌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 상황에서 이와 같은 방식의 한계가 두드러졌으며, 예술품 시장이 박물관 문화재 소장의 새로운 루트를 마련해주었다. 고궁박물원(故宮博物院)은 예술품 경매시장에서 1995년 《십영도(十詠圖)》, 2003년《출사송(出師)》을 구입했으며, 국가문물국도 2002년 예술품 경매시장을 통해 《연산명(研山銘)》을 구입했다. 상하이박물관은 1997년 해외에서 반입된 ‘옹씨장서(翁氏藏書)’ 등의 문화재를 구입했다. 10여 년 간 경매시장을 통해 구입한 문화재가 8만 여 점에 이르며, 여기에는 돈황막고굴(敦煌莫高窟)에서 분실된 문화재 등 진귀한 보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예술품 소장 붐은 매번 관련 예술창작 발전을 촉진했다. 현재 번성하고 있는 예술품 시장도 예외가 아니다. 경매시장으로 예술가는 물질적으로 풍요롭게 되었고, 현대 예술의 발전도 촉진되었다. 1970년대 말 유명화가의 서예작품 경매가격은 1평방미터당 10여위안에 그쳤으나, 현재는 수 만위안 심지어 10여 만위안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최근 30년 간 중국화의 경매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화안(畵案) 한 장에서 수십 평방미터의 화실, 심지어 바로 화랑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독립 작업실로 변화되었으며, 30년 동안 중국 미술가의 생활과 작업 여건은 상전벽해의 변화가 일어났다. 명예와 부를 모두 얻은 예술가가 많아졌으며, 개혁개방 이전에 화가들이 급한 일 때문에 그림을 종이로 바꿨던 비참한 일은 더 이상 상상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대적 의미의 화랑은 일급 예술시장의 주체로서 포지셔닝 및 경영 이념에 따라 미술가를 발굴, 양성, 보급하는 사명을 안고 있다. 현재 베이징에는 전문적인 화랑이 500개가 넘어 집약적인 경영 형태를 보이고 있다. 798, 쑹좡(宋莊), 쒀자춘(索家村), 페이자춘(費家村) 등 지역은 화랑과 예술가의 집산지가 되었다. 2005년 이후 외국의 고급 화랑이 속속 들어오면서 베이징 화랑이 국제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해외 화랑이 상호보완 되면서 예술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고 중국 예술가들에게 더 넓은 예술안목과 많은 발전기회를 가져다 주었다. 미술 창작작업은 이러한 외부환경이 촉매로 작용하여 더욱 활성화되었다.

학술규범: 시장 발굴의 잠재력

중국 예술품시장은 10여 년간의 고도성장을 거쳐 베이징을 중심으로 상하이, 항저우(杭州), 광둥(廣東)으로 뻗어나갔으며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현재 중국 예술품시장에는 국유기업, 민영기업, 외자기업, 합자기업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들이 병존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화랑, 경매회, 예술박람회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또한, 예술품 에이전트의 활동이 날로 활발해지고 있으며, 소장 품목 범위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예술품시장에는 규모화, 명품화, 다원화 발전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예술품시장에서 학술계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시장은 ‘양날의 검’이다. 현재 예술품 투자는 주식, 부동산 투자와 더불어 3대 투자로 불리지만, 중국 예술품시장의 성격은 이미 소장에서 투자로 전환되었고, 투기적 색채가 더욱 짙어지고 있다.

눈 앞의 이익에 급급하여 시장에는 가짜 사진작품과 이미테이션이 난무하고 있으며, 심지어 해외에서 반입된 문화재 중에도 이미테이션이 적지 않다. 사재기, 조작, 빈번한 거래 등 투기행위도 비일비재하다. 또한, 일부 학술계 인사와 기관이 학술적 양심을 버려 독립적이고 공정하며 객관적인 문화재/예술품 감정 및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대 예술이 소비화, 오락화, 복제화, 동질화의 경향을 보이면서 예술 창작능력이 저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 운영이 규범화 되지 않아 1급과 2급 작품이 뒤바뀌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관련 법규도 미비하여 소장가, 경영자, 학자들은 중국 예술품시장을 가까이하지 않고 있다. 경영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유감스러워 하고, 학자들은 애석해 하고 있다. 현재 중국 예술품시장이 초호황기를 지나 한파를 맞고 있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지난 10여 년 간 중국 예술품시장의 괄목할만한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중국 경제 발전을 내다보았다. 현실에 입각하여 서구 예술품시장 발전 규칙에 대한 참조를 기반으로, 이성적인 조정 및 학술적 규범화를 거쳐 거대한 시장 잠재력을 발굴해야만 중국 예술품시장은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혼인을 전제로 한 증여 인기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A사장은 몇 년 전에 부인과 사별했다. 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자 마음의 여유를 갖게 된 A사장은 활발하게 사업을 확대시켜 나갔다.그러던 중 소규모 중국 독자기업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상대편 회사의 법률팀에 소속되어 있던 王양을 알게 됐다.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했다.A사장은 한참 동안 고민에 빠지기도 했지만 주위의 따가운 시선을 무시하고 결혼을 결정했다. 그런데 상대방 부모들이 두 사람의 나이 차이가 20년이라는 것을 이유로 들어 반대하고 나섰다.그런데 王…(2010-11-29 10:21:45)
훼손된 위안화와 위조지폐 인기글 한국인 유학생 A군은 지갑을 가지고 다니기가 귀찮아서 돈을 호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닌다.그런데 어느 날 바지 주머니에 런민삐(人民幣) 500위엔(元)이 들어있는 채로 바지를 세탁기에 넣어 빨아버렸다. 그런데 다행히 호주머니에 있던 돈은 훼손되지는 않고 변색이 돼있었다. A군이 상점에서 물건을 사고 이 돈을 내밀었을 때 상점에서 위조지폐라며 받기를 거절할 경우 중국의 현행법에 근거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는지 알아보자.첫째, 중국인민은행에서 발표한 입법예고에 의하면 (1)지폐의 4분3 …(2010-11-29 10:19:57)
자전거 수리 인기글 며칠 전에 방학을 맞이한 유학생 A군은 자전거를 타고 이허위엔(頤和園)을 가던 도중에 자전거가 고장이 났다. 근처의 자전거포에 수리를 맡기니 20위엔(元)이었다. 돈은 다음날 찾을 때 주기로 했다.그런데 그날 저녁 갑자기 일이 생겨 한달 이상 자전거를 찾지 못하다 자전거포를 찾아 갔더니 주인이 웃으며 하는 말이 약속을 지키지 않아 자전거를 처분했다는 것이었다.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은 사실이었지만 황당하기 그지 없었다. 이런 경우 자전거포 주인의 행위가 정당한지의 여부를 중국 관…(2010-11-25 09:36:10)
필름 분실의 손해배상 인기글 베이징(北京)에 유학 중인 A군은 여행을 좋아한다. 그는 중국 서부의 다소 이국적인 모습을 느껴보기 위해 우루무치(烏魯齊木) 여행을 감행했다. 우루무치를 다녀와서 베이징의 한 필름 현상소에 필름을 현상비와 함께 맡겼다.그 다음날 사진을 찾으러 갔을 때 현상소 주인이 필름을 분실했다며 죄송하다는 사죄의 말과 함께 현상비와 필름 값을 배상하겠다고 했다.A군은 베이징에서 우루무치를 언제 다시 가게 될지도 모를 일이거니와 자기만의 추억이 가득 담긴 사진을 분실했다는 생각을 하니 억울하기 그지없었다.이런 …(2010-11-25 09:35:24)
강아지의 이름 짓기 인기글 북경에서 유학하는 A군은 요 며칠 발생한 황당한 일로 인해 고심을 하고 있다. 며칠 전 평소 사이가 좋지 않은 옆방의 중국학생이 강아지를 구입한 후 강아지 이름에 A군의 이름을 붙여 부르는 것이었다. 중국 학생은 공개적인 장소에서 고의적으로 강아지 이름을 부른다거나, 강아지를 꾸짖는 말과 행위 속에서 A군 자신을 공개적으로 모욕하고 우롱하는 것으로 생각됐다.이러한 경우 A군은 중국 현행법률에 따라 중국학생을 명예훼손죄로 고소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첫째, 중국민법통칙 제101조 규정에 의하면 “공민…(2010-11-25 09:34:40)
영수증 발급을 거절할 때 인기글 북경에 거주하는 A주부는 어학공부를 위해 녹음기를 사러 백화점에 갔다. 가전제품이나 음향기기 등을 저렴하게 판다는 가전제품 할인마트로 가서 550위엔(元) 하는 녹음기를 골랐다. 녹음기를 사고 가게주인에게 영수증을 요구했다.가게주인은 영수증을 발부하면 상품가격의 6%에 해당하는 인민폐 33위엔을 별도로 지불해야만 영수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이러한 상점주인의 행위는 합법적인지 알아보자.첫째, 중국 소비자 권익 보호법 제21조의 규정에 의하면“경영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당연히 규정이…(2010-11-25 09:33:46)
부당경쟁 방지법 인기글 중국에서 독자기업을 경영하는 A사장은 생산품을 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A사장이 생산하는 제품은 중국에서 아직 생소한, 희소가치가 있는 제품이다. 현재 A사장과 유사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쟝쑤성(江蘇省)에 소재한 중국 ○○○유한공사뿐이다.기술이나 품질 면에서 중국 ○○○유한공사의 제품은 A사장의 제품에 비해 훨씬 뒤떨어진다고 한다.최근 들어 이 제품의 한국 수출이 저조해지고 중국 내수시장 수요가 확대될 기미가 보여 중국 내수시장 판매전략을 강구하고 있던 A사장에게 뜻하지 않은 일이 발생했다.풍부…(2010-11-25 09:32:46)
中國 국가 지도자 음식메뉴 인기글 (사진설명: 해물요리) 매일 25가지 음식물을 가지고 육류보다는 야채를, 정밀가공 음식보다는 잡곡에 비중을 많이 두면서 심플한 건강식을 설계하는 것이 중국 국가 지도자들의 메뉴이다. 1. 육류; 다리숫자가 적은 육류 우선시 중국의 영양학자는 육류의 섭취순서에 대해 "네 개의 다리를 가진 것보다는 두 개의 다리를 가진 것이…(2010-11-22 10:08:26)
중국의 도량형 인기글 [중국의 도량형]3. 공제여시제계량단위적절산(公制與市制計量單位的析算)1. 기본절산(基本折算)1공근(公斤: 1kg)=2시근(市斤)=1000극(克: 1000g)1극(克: 1g)=1000호극(毫克: 1000mg)2. 십육진위시제여공제적절산(十六進位市制與公制的折算)1근(斤)=16량(兩)=500극(克: 500g)1량(兩)=10전(錢)=31.25극(克: 31.25g)1전(錢)=10분(分)=3.125극(克: 3.125g)1분(分)=10리(厘)=0.3125극(克: 0.3125g)=312.5호극(毫克: 312.5…(2010-11-20 19:45:32)
중국 기독교 바람 거세다… 성도 7000만명 이상 추산 대부… 인기글 미국 일간지 시카고트리뷴은 공영방송 PBS와 함께 ‘중국에 있는 예수-기독교의 빠른 성장’이라는 심층 보도를 통해 중국의 기독교 성장세와 그에 따른 중국 사회의 변화를 집중 조명했다.이 신문은 “억압받고 사회적으로 무시받고 지난 반세기 동안 불법으로 간주돼온 기독교가 (중국) 전국을 휩쓸고 교회가 넘쳐나게 하고 공식적으로 무신론인 중국 공산당에 민감한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기독교의 급성장이 신을 부정하는 사회주의 나라 중국의 정치와 사회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보도에 …(2010-11-18 10:07:13)
中 中南민족대학, 56개 민족 다 모였다 인기글 개교 59년만에 최초..전국선 3번째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 중국 후베이(湖北)성 성도 우한(武漢)에 있는 중난(中南)민족대학은 올해 개교이후 처음으로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을 합쳐 56개 전 민족의 학생들을 맞이해 축제 분위기가 고조돼있다. 이달부터 시작된 새 학기에 허저(赫哲)족 출신 두 명의 신입생이 등록을 마쳐 56개 민족의 학생들이 한 캠퍼스에서 공부를 하게 됐다고 중국 반관영통신인 중국신문사 13일 보도했다. 인구가 4천600여명에 불과하고 북방 유일의 어로 민족인 허저족…(2010-11-18 10:02:17)
[열람중]개혁개방 30년, 中 예술품시장 발전사 인기글 원동력, 지원력, 잠재력-개혁개방 30년 중국 예술품시장 발전사화가 쩡판즈曾梵志)의 유화《면구계열(面具系列: 가면 시리즈) 1996 No.6》이 2008년 5월 24일 홍콩 ‘크리스티스(Christies) 2008 춘계 경매회’에서 6704만위안이라는 천문학적인 가격에 거래되어 화제가 되었다. ‘난세에는 금이 제일이요, 태평성세에는 골동품과 서예작품 수집이 최고’라는 말이 있다. 개혁개방 바람과 함께 중국 예술품시장은 활기를 되찾았다. 특히 최근 십 년 동안 중국 예술품시장에는 화랑업, 경매업, …(2010-11-18 09:58:57)
中 '신귀족' 연 평균 소비액 190억원 돌파 인기글 전년比 7.8% 증가한 5만5000명달해 중국 최상위 부자들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5일(현지시간) 이른바 ‘신귀족'이라 불리는 중국 최상위 부자들의 연 평균 소비액이 전년 대비 22% 늘어난 1억1000만위안(약 193억원)에 달해 처음으로 1억위안을 돌파했다고 후룬리서치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판 ‘포브스지'인 후룬리서치는 최근정자산과 소비총액 등을 근거로 중국 신귀족의 생활상을 분석한 ‘2010년 후룬 신귀족 소비기준'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후룬의 신귀족…(2010-11-18 09:52:44)
中유일한 여 황제 무측천(武则天) 인기글 (2010-11-18 09:48:59)
점점 커져가는 중국의 ‘핵심이익’ 인기글 제갈량(諸葛亮)이 죽으면서 후주(後主) 유선(劉禪)에게 읽도록한 책이 ‘한비자(韓非子)'라고 한다. 실권을 가진 군주가 신하들을 좌지우지하는 강력한 통치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한비자는 오늘날까지 유세하려는 자들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아왔다. 신중국 후에도 마찬가지다. 마오쩌둥(毛澤東)이 그랬듯이 중국의 지도자들은 거의 예외없이 한비자를 즐겨 읽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한비자 ‘세난(說難)'편 말미에는 ‘역린(逆鱗)'이라는 말이 나온다. “용이란 동물은 유순해서 길들이면 탈 수있다. 그러나…(2010-11-15 11:47:11)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