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학(中医学)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30 15:21|본문
중의학은 중국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고전의학의 총칭으로, 현대에 와서도 서방의 발달한 서양의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현재 중의학은 중국의 의료, 교육, 연구 및 위생관리 등의 여러 면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변 나라와 심지어 유럽까지 전해졌다.
중의학은 원시사회로부터 오늘까지 줄곧 누적되면서 전해 내려온 의료 경험을 종합한 것으로 명확한 시작점을 찾아볼 수 없다. 전설에 따르면 5000년 전 원시사회 때부터 중국인 선조가 이미 여러 가지 약재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였으며, 의학에 관련된 가장 이른 역사기재는 하(夏)나라 때에 나타났으며 질병 및 인체 구조에 대한 연구 결과가 기록되었다.
하, 상, 주 시기에는 의약학과 우술(巫术)이 병존하여 의학의 틀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춘추전국시기에 와서부터 다양한 의학이념과 의학학파가 나타났다. 다양한 의학문화가 오랫동안 융합되고 변신하면서 수(隋)나라 전까지 진맥학(诊脉学), 침구학(针灸学), 약물학(药物学), 외과(外科), 양생보건학(养生保健) 등 면에서 놀라운 진보를 가져왔다.
수(隋)나라 때부터 중의학이 본격적인 가속화 발전단계에 들어서 풍부한 의학 성과를 거두었으며 송나라 때에 이르러서는 정부에서 전문적인 중의학원을 설치하여 의학인재를 양성하였다.
명나라, 청나라 때에 와서는 서방의 과학적인 의학지식이 전해지면서 중의학이 더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천화, 페스트를 비롯한 전염성 질병을 치료할 수 있었다.
중의학 원리
중의학은 주나라 초기에 출판된 의경(易经)을 기본으로 간직하며 세상만물을 음과 양으로 구분, 황제내경(黄帝内经)에 적힌 의료이념을 최고의 제강으로 지킨다. 주로 5행(五行), 운기(运气), 장항(张康), 경락(经络) 등에 대한 관찰을 통해 질병을 판단하며 주로 침구(针灸), 약물(药物), 안마(按摩)를 비롯한 방법으로 치료한다.
학설
5행학설(五行学说):
목, 화, 토, 금, 수 등 5요소로 구성된 중국 고대의 철학을 이르는데 각 요소간의 변화 및 반응을 인용하여 인체 5장 6부의 관련성을 표현하며 인체 기관의 변화를 표시한다.
운기학설(运气学说):
중의학의 운기학설을 또 5운 6기하고도 부르는데 주로 자연계의 기상, 기후의 변화로 인한 인체의 변화를 판단하는 학설이다. 운기학은 1년을 춘, 하, 장하(长夏), 추, 동 등의 5계절로 나뉘며 토운, 금운, 수운, 목운, 화운 등 5개 운으로 개괄, 풍(风), 한(寒), 서(暑), 습(湿), 조), 화() 등 6개의 기후요소를 덧붙여 기후의 변화에 의한 질병 및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장부학설: 인체의 5장 6부 및 기타 기관의 생리적 기능과 질병을 연구한다.
경락학설:
경락은 인체의 혈액과 기를 운행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온몸에 분포되어 있으며 질병을 만날 경우 경락 시스템에서 일정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일부 징조를 드러낸다. 이에 따라 경락학설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기타 방법에 비해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경락은 인체의 혈액과 기를 운행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온몸에 분포되어 있으며 질병을 만날 경우 경락 시스템에서 일정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일부 징조를 드러낸다. 이에 따라 경락학설로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기타 방법에 비해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진단방법
(1) 망진: 얼굴, 혀 등 인체의 각 기관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건강상황을 판단.
(2) 문진: 말소리, 골격 소리 등의 여러 가지 소리에 근거하여 진단.
(3) 절진: 절진은 또 진맥이라고도 부르는데 주로 맥을 재는 방법으로 진단한다.
(2) 문진: 말소리, 골격 소리 등의 여러 가지 소리에 근거하여 진단.
(3) 절진: 절진은 또 진맥이라고도 부르는데 주로 맥을 재는 방법으로 진단한다.
치료방법
(1) 중약: 식물, 나무껍질, 짐승 뼈 등의 특수한 약재를 가리킨다.
(2) 침구: 침으로 직접 인체의 신경과 근육을 자극한다.
(3) 안마: 안마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근육과 신경을 자극한다.
(2) 침구: 침으로 직접 인체의 신경과 근육을 자극한다.
(3) 안마: 안마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근육과 신경을 자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