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에 부는 창업열풍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07-28 16:28|

본문

중국에 부는 창업열풍


2018-07-28
                                                          
    
- 취업난 해소를 위한 정부 차원의 창업 지원 이루어져 -
- 비상장 스타트업 및 대학생 창업 사례 다수 출현 - 



□ 중국의 창업시대   


  ㅇ 창업 관련 정책 

    - 2014년 리커창(李克强) 총리의 ‘대중창업, 만인혁신(大众创业、万众创新)’이라는 정책 슬로건 발표 후, 중국은 혁신국가 도약의 일환으로 창업 지원 정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무원(国务院)은 ‘솽창(双创, 대중창업, 만인혁신)’ 촉진에 대한 지도의견을 연속해서 발표함.

     - 이를 통해 창업과 관련된 여러 규제들을 완화, 철폐하고, 창업 관계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대중창업공간 설립이 확대되고 있음.

    - 창업 정책은 국가경제 계획 및 국가과학기술혁신계획 가운데 언급되는 정책과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생 창업 지원 정책으로 구성됨.
 
    - 창투시장의 투자거래 사례 및 규모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2016년 투자 사례는 3,683건, 투자 금액은 1,312.6억 위안에 달함. 

     - 대중창업공간(众创空间)은 과학기술부가 베이징(北京) 선전(深圳) 등 지역에 종합 창업서비스 플랫폼(创客空间),  인큐베이팅 기지(孵化器基地)등 창업 서비스 기구를 토대로 창업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준 데서 유래됨. 

     - 2017년 말, 중국에는 총 5,500여 개의 대중창업공간이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창업 인큐베이팅센터는 4,000개를 넘어섬. 
 
  ㅇ 창업 현황

     - 2016년을 기준으로, 지역별로는 베이징(北京), 광둥(广东), 상하이(上海)가 창업 분포에서 각각 31%, 20%, 16%의 점유율을 보임.

    - 국가공상총국(国家工商总局)에 따르면, 2016년 중국에는 매일 평균 1.51만 개의 기업이 신규 등록되었으며, 한 해 동안 신설된 시장 주체(개인, 조직 모두 포함)는 1,651.32만 개로 전년 대비 11.6% 증가함.   


    - 2016년 창업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항목은 기업 서비스이지만, 문화 오락업계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점유율이 0.4%p 증가함. 
    -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SaaS 등 기술의 확산으
로, 공유경제 등 기업 서비스 영역 업체들의 응용범위가 확대됨. 문화 오락업계는 생방송, IP 등의 열풍에 따라 상승세를 보였으며, 지역 생활로 대표되는 O2O 플랫폼 기업들은 창업 기업 수는 증가하였으나 폐업 기업도 속출함. 


□ 비상장 스타트업들의 대거 출연
 
  ㅇ 유니콘기업 

    -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설립한지 10년 이하의 스타트업을 두자오서우(独角兽公司, 유니콘기업)라 칭함.

    - 2017년 6월을 기준으로, 중국에는 총 108개의 유니콘기업이 있으며, 이들 기업의 기업가치를 합산하면 4,456억 6,000만 달러에 달함.

     - 대표 기업으로는 식품 분야의 어러머(饿了么), 자동차·운송 분야의 디디추싱(滴滴出行), 산업·제조 분야의 샤오미(小米), 인터넷·IT 분야의 소고(搜狗), 소매·서비스 분야의 메이투안디엔핑(美团点评), 부동산·건설 분야의 리엔지아(链家), 금융 분야의 앤트파이낸셜(蚂蚁金服),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진르토우티아오(今日头条)등이 있음.


  ㅇ 하드 유니콘기업 

    - 잉두자오서우(硬独角兽)는 하드 유니콘이라는 뜻으로, 기업가치가 높지 않아도 과학기술 경쟁력을 갖추었으며, 산업 선두에 위치해 운영 수익을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는 유망 스타트업을 가리키는 말임. 주로 생물의약, 첨단제조 영역의 기업이 포함됨.

    - 2018년 4월 24일, 창업 지원 기업이 주최한 ‘2018 차이나 유니콘 서밋(2018独角兽峰会)’에서 촹예헤이마(创业黑马) 니우원원(牛文文) 회장이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니우회장은 하드 유니콘기업을 중국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업그레이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봄. 

    - 당일 각지 정부, 산업 투자자, 기술 전문가들이 추천한 비상장 스타트업 중 100개를 선정해발표한 목록에는 베이징(北京, 38개), 상하이(上海, 17개), 선전(深圳, 13개), 항저우(杭州, 7개), 광저우(广州, 3개) 등 5개 도시가 대부분을 차지함. 

    - 첨단기술 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하드 유니콘기업의 업종 분포는 다음과 같음. 


    - 각 분야의 대표 하드 유니콘기업으로는 하드웨어의 DJI(大疆创新), 반도체의 HiSilicon(海思半导体), 의료건강의 Mindray(万段医疗), 인공지능의 센스타임(上汤科技), 빅데이터/클라우드 컴퓨팅의 텐센트클라우드(腾讯云), 자동차 교통의 ofo, 물류의 징둥물류(京东物流), 기업 창업지원 서비스의 저팔계망(猪八戒网) 등이 있음.


□ 지역사회의 대학생 창업 지원
 
  ㅇ 대학생 창업 현황 

    - 중국 인민대학교(中国人民大学)가 2017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6%의 대학 재학생들이 창업 의향을 보였으며, 이는 전년대비 8%p 증가한 수치임. 그 중 3.8%의 학생들은 창업에 대해 강한 의지를 보임. 

    - 대학생들의 창업 동기로는 자유롭고 자주적인 근무와 생활 방식을 위해서가 31%를 차지함. 이어 26%는 돈을 벌기 위해서, 18%는 개인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창업에 도전함.

    - 중국 교육전문 연구기관 MYCOS(麦可思研究院)에 의하면, 2011년 1.6%에 불과했던 대학 졸업생 졸업 직후 창업률이 2017년 3.0%로 증가했으며, 창업자는 20만 명을 초과함.

    - 충칭(重庆)시는 대학생 창업을 지지하기 위해 여러 정책 지원을 실시함. 시급 창업부화기지(단지) 인정 및 관리방법(市级创业孵化基地(园区)认定和管理办法) 시행으로, 최대 200만 위안의 보충 자금을 지원함.

    - 고등교육기관 졸업생 등 10개 군(群体)에 인당 최대 10만 위안, 중소기업은 최대 200만 위안의 자금을 지원하고, ‘판하이양판(泛海扬帆: 충칭 대학생 창업 행동)’을 실시함. 

    - 충칭시 대학생 취업·창업 서비스 센터를 설립하고,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에게 인재 평가, 창업 교육, 창업 육성, 신용 융자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함. 

    - 현재 충칭에는 12개의 대학생 창업 인큐베이터가 있으며, 그 중 충칭대학 학생창업 부화기지는 국가급 창업 부화 시범기지로 선정됨. 충칭시의 4,958개의 부화 항목 중 대학생 창업 항목이 1,657개로 33.4%를 차지함. 
 
 □ 시사점
 
ㅇ 중고속 성장시대에 진입한 중국에 창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했을 뿐 아니라, 신규 고용 창출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음. 

    - 중국의 경우 신설기업에 대한 높은 선호도로 인해 다른 나라보다 신설기업당 취업자수가 많은 편임. 2017년 1~9월, 신설기업은 신규취업자의 25%인 274만 명 정도를 고용하는 등 신규 고용 창출에 기여함. 

    - 설립 1년 후 기업생존율은 약 70% 내외를 유지하며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음. 
 
  ㅇ 우리 스타트업도 한ᆞ중 공동 창업의 방식을 모색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할 경우, 빠른 성장과 자본 확보가 가능함. 

    -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스타트업 노르마의 정현철 대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술 콘셉트가 분명해야 하고 사업화 실적과 펀딩 등 국내에서 먼저 검증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고 강조함.정 대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독창적인 기술과 함께 한국에서 먼저 충분한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턱대고 뛰어들 시장이 아니라는 얘기다. 정 대표는 "중국의 창업 시장 규모가 크다고 하지만 정부의 허가 없이 외국 기업들에게 투자할 수 있는 달러 펀드는 규모는 훨씬 작다"면서 "기술 콘셉트가 분명하고 사업화 실적과 펀딩 등 국내에서 먼저 검증을 받는 것이 중국 시장 진출에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정 대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독창적인 기술과 함께 한국에서 먼저 충분한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턱대고 뛰어들 시장이 아니라는 얘기다. 
정 대표는 "중국의 창업 시장 규모가 크다고 하지만 정부의 허가 없이 외국 기업들에게 투자할 수 있는 달러 펀드는 규모는 훨씬 작다"면서 "기술 콘셉트가 분명하고 사업화 실적과 펀딩 등 국내에서 먼저 검증을 받는 것이 중국 시장 진출에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中, 외환 엄격관리 신정책 발표 인기글 中, 외환 엄격관리 신정책 발표2018-08-027월 26일, 인민은행 자금세탁방지기구가 강화된<자금세탁방지&융자테러공작방지 정책>을 발표했다. 이 신규정책에는 고객신분식별관리를 강조하였으며, 자금세탁을 비롯한 융자업무 등 금융범죄에 대한 대책, 해외송금 등외환에 대한 엄격한 관리, 선불신용카드 대리판매 조합의 관리, 교역기록보관 및 의심되는 교역에 대한 즉시 신고제도 등 5개 부분에 대해 강화된 내용이 포함됐다.《미디어 광장 정세민 학생기자》 다음은 중국인민은행이 발표한 신 정…(2018-08-02 14:18:08)
중국 공신부, 데이터 요금 30% 인하 올해 반드시 실행 인기글 중국 공신부, 데이터 요금 30% 인하 올해 반드시 실행2018.07.28지난 7월 1일, 차이나 모빌(中国移动), 차이나 유니콤(中国联通), 차이나 텔레콤(中国电信) 3대 통신사에서 중국 내 지역 이동시 적용되었던 데이터 로밍 요금을 폐지하였다. 이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 공업과 정보화부의 정보통신발전공사(信息通信发展司) 원쿠(闻库) 사장은 1차 추산에 따르면 이번 정책으로 7.8억 명…(2018-07-28 17:37:35)
광둥성 환경규제 강화, ‘휘발성 유기물(VOCs) 관리방안’… 인기글 광둥성 환경규제 강화, ‘휘발성 유기물(VOCs) 관리방안’ 발표2018-07-28 - 광둥성, 가장 강력한 휘발성유기물 정비 및 배출감축 업무방안 제시 -- 광둥성 소재 기업 대상 환경감독 더욱 강화될 전망 -□ 추진배경 및 목표 ㅇ 중국 광둥성 환경보호청은 2018년 6월 28일 《광둥성 휘발성 유기물(VOCs) 정비 및 배출 감축 업무방안(广东省挥发…(2018-07-28 16:56:33)
중국 소형가전 소비자대상 설문조사 결과 인기글 중국 소형가전 소비자대상 설문조사 결과2018-07-28□ (상품별 보급률) 중국 전망산업연구원(前瞻産業硏究院)은 베이징(北京), 지난(齊南), 항저우(杭州), 우한(武漢), 정저우(鄭州), 시안(西安), 청두(成都) 총 7개 도시 2,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소형가전 구매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음 -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요 소형가전 중 전기밥솥의 보급률이 약 97.6%로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는 전자레인지가 약 77.1%로 높았음. 이 외에, 보급률이 높은 상품은 주로 주방가전이었…(2018-07-28 16:51:11)
차이나 텔레콤, 5G 기술 백서 발표 인기글 차이나 텔레콤, 5G 기술 백서 발표2018-07-20 Friday 지난 6월 26일, 차이나 텔레콤은 <차이나 텔레콤 5G 기술 백서>를 발표하여 전 세계 통신사에 5G기술과 전반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고 둥베이망이 보도했다.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5G는 이미 국제표준 제정과 제품 개발의 중요한 단계에 진입했으며, 다양한 5G 기술방안 가운데 운영사는 가장 적합한 방안을 선택해야 하는 시점에 놓였다.5G는 향후 미래의 폭발적인 모바일 데이터 수요량의 증가, 수많은 설비와의 …(2018-07-28 16:48:15)
中 공유서비스 중심 인터넷산업 발전 가속화 인기글 中 공유서비스 중심 인터넷산업 발전 가속화2018-07-28 □ (인터넷 사용자 규모 확대) 7월 12일 개최된 2018년 중국 인터넷 회의 폐막 세미나에서 중국인터넷협회는 <중국 인터넷 발전보고 2018(中国互联网发展报告2018)>을 발표했음 -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말 중국 인터넷 사용자 총 규모는 7.7억명에 달했으며, 중국 전체 인터넷 보급률은 55.8%로 전년 동기대비 4,074만명 증가한 수치였음 - …(2018-07-28 16:39:44)
돈되는 의약 자원, 중국 바퀴벌레 뱀 모기 사육업 인기 인기글 돈되는 의약 자원, 중국 바퀴벌레 뱀 모기 사육업 인기2018-07-28말라리아 전염병 퇴치를 위한 모기공장 구축 바퀴벌레 중약 제품 및 친환경 용도로 활용무더운 여름철 ‘마마호환’보다 무서운 모기,바퀴벌레,뱀. 중국에서는 최근 혐오의 대상인 이들 곤충과 파충류들을 산업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나서 화제가 되고 있다.특히 습하고 더운 아열대 기후를 가진 광둥성의 중점 대학인 중산(中山) 대학은 모기를 통한 전염병 예방 차단을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모기 사육장’을 구축했다. 이처럼 중국의 학계 …(2018-07-28 16:36:38)
中, 10월 1일 부터 취업/창업 수수료 받으면 처벌 인기글 中, 10월 1일 부터 취업/창업 수수료 받으면 처벌2018-07-28 중국 정부는 17일 인력자원시장잠행조례《人力资源市场暂行条例》를 발표, 10월 1일 부터 취업과 창업 등 관련 업무에 대해 수수료를 받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따라서 공공인력자원서비스기관은 아래의 경우 돈을 받을 수 없다.인력공급과 요구, 시장월급지도금액, 직업교육 등 정보의 발표, 직업소개, 직업지도와 창업개업지도, 취직창업과 인재정책범에 대한 자문, 취업이 어려운 사람에게 취…(2018-07-28 16:32:19)
[열람중]중국에 부는 창업열풍 인기글 중국에 부는 창업열풍2018-07-28 - 취업난 해소를 위한 정부 차원의 창업 지원 이루어져 -- 비상장 스타트업 및 대학생 창업 사례 다수 출현 - □ 중국의 창업시대 ㅇ 창업 관련 정책 - 2014년 리커창(李克强) 총리의 ‘대중창업, 만인혁신(大众创业、万众创新)’이라는 정책 슬로건 발표 후, 중국은 혁신국가…(2018-07-28 16:28:57)
세계은행 GDP순위 미중 1,2위 차지 및 인도 약진 인기글 세계은행 GDP순위 미중 1,2위 차지 및 인도 약진2018.07.13 환구망(环球网)은 세계은행(World Bank) GDP 순위에서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이 세계 5대 경제대국 자리를 차지했다고 12일 보도했다.미국과 중국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세계은행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GDP는 19조 39억 달러(21,407조 9000억원)를 기록하며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임을 증명했다. 중국은 12조 237억 달러(13,544조 7000억원)로 그…(2018-07-13 16:08:57)
빚 4000억 위안의 중국 7위 갑부 왕젠린, 과연 갑부인가… 인기글 빚 4000억 위안의 중국 7위 갑부 왕젠린, 과연 갑부인가?2018.07.13올해는 포브스의 부자 순위에 따르면 왕젠린의 올해 임금은 255억 달러로 국내에서 7위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왕젠린은 4000억 위안이 넘는 부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시인했는데, 그렇다면 자산은 결국 마이너스가 아닌가? 이 대목…(2018-07-13 15:23:01)
중국 금융시장 개방 확대: 중국내 외국인 A주 투자 가능 인기글 중국 금융시장 개방 확대: 중국내 외국인 A주 투자 가능 2018.07.13중국 정부는 미·중 무역전쟁을 염두에 두고 꾸준히 대외개방 의지를 피력하며 중국이 자유주의 무역과 세계화 질서를 존중한다고 주장해 왔는데, 중국이 그동안 내국인에게만 허용했던 A주 투자를 중국에 있는 외국인들도 앞으로 중국 증권사를 통해 A주 투자…(2018-07-13 15:10:20)
중국의 상반기 경제성장률 6.7% 예상 인기글 중국의 상반기 경제성장률 6.7% 예상 2018.07.13중국통계청은 2018년 상반기 중국 경제 운용 데이터를 발표한다.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1분기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총생산(GDP)이 6.7%성장했다고 종합적으로 전망했다.업계에서는 상반기 경제 호황에 힘입어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하반기에는 중국 경제가 큰 폭의 쇠퇴 위험이 없어'끈기'가 여전하다.재정 정책은 정책 조정의 초점이 될 것이고, 주민 부문과 소규모 기업들은 이에 득…(2018-07-13 15:05:58)
미중 무역전쟁으로 무역량 급감ㆍ물가 인상, 증시 폭락 우려 인기글 미중 무역전쟁으로 무역량 급감ㆍ물가 인상, 증시 폭락 우려 2018.07.13미국이 6일(현지시간)부터 중국산 기계, 선박, 부품, 항공 ,부품, 통신장비, 철도장비,반도체 장비, 전기차등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교역의 급격한 위축과 세계 무역질서 붕괴가 예상되면서 이로 인한 경제적인 대혼란이 불가피하게 됐다. 관세율 25%가 고스란히 가격 인상으로 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의 제조 원가 상승, 수입가격 인상 등으로 양국의 주요 기업과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밖에 없을 것으…(2018-07-13 15:04:17)
中, 미용·건강(개인케어) 전자제품 산업 빠르게 발전 인기글 中, 미용·건강(개인케어) 전자제품 산업 빠르게 발전2018-07-13지난달 28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미용·건강(개인케어) 전자제품 업종위원회 설립 발표회 및 고위급 포럼에 따르면 중국의 미용.건강 및 전자제품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이징 상보는 미용·건강(개인케어) 전자제품은 모발케어(전동면도기, 제모기), 헤어케어(드라이기, 이발기, 아이론), 구강케어(전동칫솔, 구강세척기), 안면케어(클렌징기 등 미용기기), 두피케어(두피보호빗, 헤어조형빗), 손톱케어(손톱케어기) 등…(2018-07-13 14:32:0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