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남성 소비시장을 주목하라
2018-04-04
□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인 中 남성 소비시장
ㅇ 여성을 추월한 남성 온라인 소비액
- Boston Consulting과 Alibaba가 발표한 2017년《중국 소비 신 트렌드(中国消费新趋势)》에 의하면, 중국 남성의 소비패턴이 다양화되면서 금액도 증가하고 있음. 특히 2017년 남성 1인당 연간 온라인 소비액은 10,025위안으로 여성을 추월하였음.
- EUROMONITER 조사 결과, PC를 통한 온라인 소비규모에서 남성과 여성은 각각 57%, 43%를 차지하였으며, 모바일은 53%, 47%를 차지함.
ㅇ 과소비를 좋아하는 중국 남성
- 모바일 결제 활성화로 과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 대비 남성의 과소비 비율이 높음. KKCredit(卡卡贷)에 의하면, 여성의 과소비 비율은 27.2%인 것에 비해 남성의 과소비 비율은 72.8%에 달함.
- 중국 인터넷금융 선두기업 지에따이바오(借贷宝)가 발표한 《2017년 광군제 소비대출 빅데이터(2017年“11.11”消费借贷大数据)》에 의하면, 행사기간 중 소비대출자의 65%가 남성으로, 이는 남성의 높은 과소비 비율을 반영함.
ㅇ 프리미엄 소비의 주체인 남성
- 중국 남성의 소비는 품질을 중시하고, 브랜드 충성도가 높으며, 소비 빈도는 적지만 소비 단가가 높은 특징이 있음. 실제로 Forbes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 명품 50대 브랜드 중 남성을 주요 고객으로 하는 브랜드가 32이며, 이중에서 남성 전용 브랜드는 10개임.
- 중산층의 증가와 SNS사용으로 다양한 상품 정보 습득이 쉬워지면서 남성 소비자들의 취향 역시 고급화되고 있음. 《중국 사치품 온라인 소비백서(中国奢侈品网络消费白皮书)》에 의하면, 프리미엄 소비층 중 남성의 1인당 평균 소비액은 여성에 비해 6% 높고, 연간 3회 이상 소비하는 남성 역시 여성보다 3% 많음.
□ 중산층 남성 소비시장 특징
ㅇ 상류층 화이트칼라 중 남성 비율 63.4%
- iResearch에 의하면, 2017년 중국 상류층 화이트칼라 중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각각 63.4%, 36.6%임. 연령별로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34.1, 32.8세임.
- 남성 비율이 높은 중산층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이 소비에 “익숙”해질 경우 시장 잠재력 또한 비교적 클 것으로 보임.
ㅇ 주요 소비 품목
- JD닷컴(京东) 조사 결과, 남성은 남성복, 전자기기, 주류, 컴퓨터부품, 스마트기기 관련 소비가 두드러짐. 특히, 남성복과 전자기기는 남성의 “생활필수품”으로 소비액이 월등히 높으며, 그 외 주류, 영상, 음향장비, 화장품 등도 소비액이 높음.
ㅇ 연령대별 구매선호품목
- 80~90년대생은 공통적으로 간식, 휴대폰 액세사리, 청결용품의 구매빈도가 가장 높음. 반면, 90년대생은 남성복, 스킨케어 제품을, 70~80년대생은 쌀, 식용유, 조미료 등 가정 조리용품을 선호함. 한편, 70년대생은 80~90년대생에 비해 주류를 특히 선호함.
ㅇ 남성 소비액 30세부터 급증
- 남성은 30세 이후 경제력이 강해지면서 월간 패션 용품 소비액이 6,000위안 수준으로 증가함. 24~29세 남성의 월간 소비액은 3,000위안 미만으로 가장 적고, 3,000위안 이상 소비하는 비율은 5%에도 미치지 못함.
ㅇ 남성 위주로 운영되는 SPA브랜드(패스트 패션)
- 중국 남성의 패션 소비는 남성복, 신발, 화장품, 미용, 액세서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이름. 특히, 《2017년 SPA업종 핫 이슈 보고서(2017年SPA行业热点报告)》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에서의 SPA브랜드 남성 구매 비율은 52%로, 의류 시장 전체 남성 구매 비율 37.2%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냄.
□ 中 남성 소비의 새로운 트렌드
ㅇ 온라인 커뮤니티로 운집하는 남성 소비자
- 현재 중국 젊은 남성들의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고 있음. 최근 왕이옌쉬엔(网易严选)의 베이징 팬 미팅에 참가한 남녀성비는 4:1이며, 다수 온라인 커뮤니티의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한 남성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음. 이는 남성 패션 관련 1인 미디어들의 약진에 기반함
- 남성이 핵심 고객층인 온라인몰들은 제품 체험, 패션 코디 등의 오프라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혀가고 있음. 예를 들어 왕이옌쉬엔, 요우후오(有货)와 같은 종합 온라인 플랫폼은 물론 남성용품 전문 플랫폼인 XY, 라오예후이(老爷会) 등을 꼽을 수 있음.
- 두샤오페이(杜绍斐), 디아오스싱거(屌私型格) 등의 팔로워수가 많은1인 미디어에서 유통 플랫폼을 운영하기 시작함. 30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두샤오페이는 2017년 4월 산하 패션 브랜드 라오예후이를 런칭함. 라오예후이는 젊은 남성을 타깃으로 유럽 고급 원단 맞춤 정장을 판매하고 있음
ㅇ 전통 남성복 브랜드의 약진
- 신규 브랜드 외에도 중국 전통 남성복 브랜드 역시 젊은 고객층을 집중 공략하고 있음. 중국 10대 패션 브랜드인PEACEBIRD는 최신 트렌드 남성복 전문 브랜드 “Amazing Peace”를 런칭하였음. 2017년 인기브랜드 Polaroid, Snoopy와 콜라보를 통해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고 있음.
- 중장년이 주요 타깃인 하이란즈지아(海澜之家), 치피랑(七匹狼)도 이미지 변신을 꾀하고 있음. 하이란즈지아의 광고 모델은 점차 젊어지고 있으며, 치피랑은 3.2억 위안을 투자해 패션 트렌드 선도 브랜드 Karl Lagerfeld의 지분 80.1%를 인수하여 중화지역 경영권을 확보함.
ㅇ 참고 사례: 남성 종합 라이프스타일 편집샵 MR.COMPANY
- MR.COMPANY는 각종 브랜드 및 대리상과 직접 계약하여 남성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제품을 판매하는 종합 라이프스타일 편집샵으로, 2016년 5월, 2017년 9월 각각 상하이 후빈다오점(湖滨道店)과 완샹청점(万象城店)을 오픈함.
- 현재 MR.COMPANY에는 400~500여 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그 중 20%는 맞춤형 정장, 신발 등 자체 제작 제품임. 해당 매장의 1인당 평균 매출액은 비교적 높은 수준임. 예를 들어,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맞춤형 정장의 객단가는 약 10,000위안임.
- MR.COMPANY외 magmode(名堂), champzee(垂衣), JUNbyYO 등 또한 최신 중국 남성복 시장의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남성복 전문 브랜드임. 지난 3~4년간 남성복이 전체 의류 시장의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구매량은 매년 12~20% 증가하고 있음. 또한 객단가는 여성복에 비해 약 20% 높음.
□ 현지 전문가 인터뷰
ㅇ 남성 소비시장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기업의 시장진출을 위해 KOTRA 우한무역관은 우한시 소재 우한중심백화유한책임회사(武汉中心百货有限公司) 남성복 총 책임자 李耀宗 씨를 취재함.
Q 우한중심백화유한책임회사(武汉中心百货有限公司)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림
A 우한중심백화유한책임회사(武汉中心百货有限公司)는 1937년 우한시에서 최초로 출범한 백화점 계열의 회사로 7개의 백화점을 운영하고 있음. 그중 우한중심백화유한책임회사(武汉中心百货有限公司)는 우한시에서 가장 오래된 백화점이며, 현재 우한시 강한로(江汉路) 보행가에 위치해 있음.
Q 최근 귀사 백화점 남성용품 시장현황은?
A 전체 매출액은 여성용품시장이 보다 높으나, 증가율 면에서는 남성용품시장이 더 가파름. 특히 남성복, 신발 및 가방은 남성용품시장의 주력상품이고, 화장품, 액세서리, 라이터, 담배 등도 가파른 성장을 보이고 있음.
Q 최근 남성용품 브랜드 입점은 증가추세인지?
A 전문 백화점의 신규 입점 남성 브랜드 수와 영업면적은 증가추세임. 특히 젊은층 타깃 남성복 브랜드가 그러며, 남성용품은 연계 판매효과가 매우 강해 소비자가 양복을 한 벌 구매했을 경우 연달아 구두, 셔츠, 넥타이 등을 구매할 확률이 높음.
Q 귀사가 주목하는 남성용품 종류와 한국 기업에 건의하고 싶은 사항은?
A 빠른 경제 성장으로 중국 남성 소비 시장은 현재 성장세임. 젊은층들뿐만 아니라 중노년층들의 시장도 성장하고 있음. 현재 35~45세, 50세 이상을 타깃으로 하는 패션, 캐쥬얼 의류 브랜드는 아직 정장 브랜드에 비해 적지만, 이 시장은 미래의 기회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생각됨.
□ 시사점
ㅇ 경쟁이 치열한 여성 소비시장 대비 남성 소비시장은 여태껏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 중산층 증가, SNS 및 개성추구의 보편화로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외면 받던 남성 소비시장이 살아나고 있음.
ㅇ 젊은 남성은 개성 있는 스타일을 추구하지만, 다수의 남성복 브랜드 및 타오바오(淘宝) 제품들은 해당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임. 이에 독특한 디자인을 선보이는 소수의 브랜드가 패션 유행을 선도하고 있으며, 디자이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ㅇ 패션 및 문화산업이 발달한 한국 역시 중국 남성 소비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특히 소비시장 세분화를 통해 브랜드 포지셔닝을 명확히 하고, 상기 중산층 남성 소비시장의 최신 트랜드를 반영한 마케팅툴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