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16년 해외직구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4-16 15:58|본문
중국, 2016년 해외직구 현황
[2017-04-16, 10:00:51]
- 주요 수입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호주 순 -
- 인기 품목: 화장품, 영유아분유(보조품), 건강식품 등 -
- 해외직구상품 품질문제 집중 조명, 당국의 규제강화 조속히 대비해야 -
□ 중국 해외직구 규모
ㅇ 직구족 급증과 더불어 중국의 해외직구 규모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
- 중국 IT 컨설팅사 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직구 소비자 수는 4100만 명, 전년대비 78.3% 증가
- 주요 수입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호주 순 -
- 인기 품목: 화장품, 영유아분유(보조품), 건강식품 등 -
- 해외직구상품 품질문제 집중 조명, 당국의 규제강화 조속히 대비해야 -
□ 중국 해외직구 규모
ㅇ 직구족 급증과 더불어 중국의 해외직구 규모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
- 중국 IT 컨설팅사 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직구 소비자 수는 4100만 명, 전년대비 78.3% 증가
- 지난해 중국 해외직구시장 규모를 전년대비 85.6% 증가한 2198억 위안으로 집계(현지 IT 컨설팅사 iResearch 통계)
- 2015년 1000억 위안을 돌파한 데 이어 일년 만에 2000억 위안 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음.
중국 해외직구 규모 및 증감률 추이
자료원: iResearch
ㅇ 제품의 다양성 및 품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중국산 제품만으로 충족시키기 어려워지고 있음을 시사
중국 해외직구 규모 및 증감률 추이
자료원: iResearch
ㅇ 제품의 다양성 및 품질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중국산 제품만으로 충족시키기 어려워지고 있음을 시사
- 해외직구는 가성비, 간편한 구매절차, 특히 '짝퉁이 아닌 정품 보장'으로 인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대인기를 누리고 있음.
- 이에 따라 고품질 수입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해외직구 업계는 급속한 성장기를 맞이했으며, 온라인 소비시장에서의 중요성도 날로 부각되고 있음 .
□ 수입상품,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ㅇ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은 최근에도 판매 호조를 이어가며 중국 소비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부상
- 이에 따라 고품질 수입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해외직구 업계는 급속한 성장기를 맞이했으며, 온라인 소비시장에서의 중요성도 날로 부각되고 있음 .
□ 수입상품,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ㅇ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은 최근에도 판매 호조를 이어가며 중국 소비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부상
- 최근 중국 소비의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판매채널의 변화임. 2016년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33조2316억 위안이 전년대비 10.4% 증가한 데 반해 온라인 소매총액은 전년대비 26.2% 증가
- 2016년 중국 온라인 소비시장 규모는 5조 위안 돌파해 5조1556억 위안을 기록
ㅇ 온라인 소비규모 중에서 해외직구의 비중도 증가세
- 2012~2013년 1%대에 머물던 비중이 2016년에는 4.4%에 도달
- 2017년은 5%를 돌파하고 2018년 7%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중국 해외직구 인기수입국과 인기품목
ㅇ 중국 최대 해외직구 플랫폼인 티몰글로벌(天猫國際)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으로부터 직구한 상품
ㅇ 온라인 소비규모 중에서 해외직구의 비중도 증가세
- 2012~2013년 1%대에 머물던 비중이 2016년에는 4.4%에 도달
- 2017년은 5%를 돌파하고 2018년 7%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중국 해외직구 인기수입국과 인기품목
ㅇ 중국 최대 해외직구 플랫폼인 티몰글로벌(天猫國際)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으로부터 직구한 상품
- 중국 소비자가 티몰글로벌에서 구입한 수입상품 중 19.3%가 일본 상품, 미국이 18.3%의 비중으로 바짝 뒤쫓고 있음.
- 한국은 13.6%의 비중으로 3위를 차지했으며 독일과 호주는 8% 내외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ㅇ 국가별 인기품목을 살펴보면 중국 해외직구 열풍은 유아용품, 화장품, 식품과 의류 등 제품에 집중
ㅇ 국가별 인기품목을 살펴보면 중국 해외직구 열풍은 유아용품, 화장품, 식품과 의류 등 제품에 집중
- 스킨케어 용품, 보디로션, 아로마 등 제품은 한국·일본산이 대 인기이며 양국이 경합을 벌이는 양상
- 하지만 화장품 중 색조화장품은 한국이 강세이며 한국 여성 의류도 인기상품으로 꼽혔음. 이는 주로 한류의 영향으로 분석됨(알리바바 산하 CBNData 연구결과).
- 보건식품은 주로 미국·호주·독일 등 국가의 제품을, 영유아용품은 일본산을, 영유아 조제분유는 유럽과 호주산을 선호
- 미국으로부터 가방을, 독일로부터 주방용품을 구입하는 원인은 '브랜드 파워*'때문
* 미국에서 COACH, MK 등, 독일 주방용품은 ZWILLING, WMF 등을 구입
중국 해외직구 인기품목(국가별)
자료원: CBN Data, 티몰
□ 해외직구 상품 품질안전 강화 필요성 대두
ㅇ 중국 중앙방송 CCTV가 '소비자의 날'을 맞아 저녁 8시에 방송하는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晩會)'*에서 해외직구 식품이 거론돼 큰 파장이 일고 있음.
중국 해외직구 인기품목(국가별)
자료원: CBN Data, 티몰
□ 해외직구 상품 품질안전 강화 필요성 대두
ㅇ 중국 중앙방송 CCTV가 '소비자의 날'을 맞아 저녁 8시에 방송하는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완후이(晩會)'*에서 해외직구 식품이 거론돼 큰 파장이 일고 있음.
* 중국 정부와 CCTV가 공동 주관으로 1991년부터 매년 3월 15일 '소비자의 날' 생방송으로 진행, 특정 제품에 대한 서비스 불량이나 속임수 판매 등 실태를 보도
- 2017년 '3.15 완후이'에서 원전사고 인접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판매하고 일본 방사능 오염지역이 원산지인 점을 속이기 위해 가짜 중문라벨을 부착한 사실을 폭로
- 중국의 해외직구업체를 고발대상 중 하나로 올리고 해외직구, 보세수입 과정에서 안전성 점검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
ㅇ '3.15 완후이' 방송 직후 '해외직구' 상품의 안전성 문제가 화두로 급부상
- 중국 품질관리당국 국가질검총국 리위안핑(李元平) 부국장은 3월 15일 시나닷컴과의 인터뷰에서 2016년 해외직구 상품(식품, 화장품) 2만6273건에 대해 점검한 결과, 불합격률이 4.6%로 집계됨. 이는 일반 무역의 5배에 달한다고 밝혔음.
- 또 국경 간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수입한 완구·기저귀·의류·주방용품에 대해 점검한 결과, 불합격률이 40%를 넘어섰다며 해외직구 상품의 품질에 큰 우려를 표시
· 총 추출점검 건수 1013건, 그 중 불합격 415건
· 총 추출점검 건수 1013건, 그 중 불합격 415건
- 광둥검험검역국이 최근 발표한 '2016 수입소비품 질량안전 정보'에 따르면 108건 수입소비품(의류, 식품, 식품포장용지, 유아용품 및 완구 등)에 대해 점검한 결과 72건이 불합격 판정을 받았으며 불합격률이 67%에 달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2017년 말까지 해외직구 통관정책이 유예됐지만, 2018년 1월 1일부터 통관신고서를 점검하는 등 규제강화에 대비가 필요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2017년 말까지 해외직구 통관정책이 유예됐지만, 2018년 1월 1일부터 통관신고서를 점검하는 등 규제강화에 대비가 필요함.
- 2017년 말까지 15개* 시범지역에 대해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관, 즉 보세판매 전자상거래 상품은 1선인 해관 특수감독관리지대 혹은 보세물류센턴(B형) 반입 시 통관신고서(通關單)를 점검하지 않음.
* 정책시행 유예 15대 시범지역: 상하이, 항저우, 닝보, 정저우, 광저우, 선전, 충칭, 톈진, 푸저우, 핑탄, 허페이, 청두, 다롄, 쑤저우, 칭다오 등
- 또 '국경 간 전자상거래 소매수입 상품 리스트' 발표에 따른 화장품, 영유아 조제분유, 의료기기, 특수식품(건강기능식품, 특수의학용 식품 등) 최초 수입허가증의 등록 혹은 비안(서류신청) 요구 조건을 2017년 12월 31일까지 잠정 중단
- 중국 상무부는 3월 17일 '각 부처에서 내년부터 시행될 구체적 감독관리조치를 연구 중'이라며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음.
ㅇ 중국의 해외직구분야에 대한 정책 우대 조치가 점점 축소되는 반면, 품질관리규제가 강화될 전망
ㅇ 중국의 해외직구분야에 대한 정책 우대 조치가 점점 축소되는 반면, 품질관리규제가 강화될 전망
- 중국 질검총국은 2016년 12월 항저우에 '해외직구상품 품질안전 리스크 국가감측센터'를 설립해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검험검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음.
- 일부 지방 검역관리 당국도 다양한 조치를 통해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임. 닝보(寧波)검험검역국의 경우, '해외직구 업체 등록, 해외직구 상품 추석시스템 구축' 등 방식을 통해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품질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음(중국질량신문망, 2017년 3월 15일).
자료원: CBNData(第一財經商業數据中心), 티몰글로벌(天猫國際), iResearch(艾瑞諮詢), iiMedia Research(艾媒諮詢), 중국질량신문망(中國質量新聞網)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원: CBNData(第一財經商業數据中心), 티몰글로벌(天猫國際), iResearch(艾瑞諮詢), iiMedia Research(艾媒諮詢), 중국질량신문망(中國質量新聞網)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