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中 섬서성 제조업과 연계한 로봇산업 진출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2-08 21:53|

본문

中 섬서성 제조업과 연계한 로봇산업 진출 방안
[2017-02-08, 09:08:58] 

- 중앙정부정책 변화에 따른 섬서성 로봇산업정책 및 관련 기업 주목 -
- 자동차, 항공, 식품가공 등 섬서성 주요 산업과 연계한 로봇기술이 유망 -
- 핵심부품 등 섬서성 취약 분야에서 협력기회 발굴 

□ 섬서성 로봇산업 발전정책 방향
 
  ㅇ 중국 정부는 ‘중국제조 2025 정책’을 통해 제조업분야 업그레이드 및 인터넷 융합 정책을 시행 중이며, 제조업 4대 과제(혁신능력 제고, 품질 제고, 제조업과 정보화의 결합, 녹색성장)와 10대 중점산업을 적극 추진 중임.
    - 10대 중점산업 중 로봇산업발전과 응용범위 확대가 포함돼 있으며, 최근 인구구조 고령화, 노동력 감소 및 인건비 상승 추세와 맞물려 제조업의 구조적 혁신과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음.
     · 10대 중점산업: 차세대 정보기술,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전력설비, 선진궤도교통설비, 항공우주장비, 해양장비 및 첨단기술 선박, 신소재, 고정밀 수치제어 및 로봇, 농업기계장비, 에너지절약 및 신에너지자동차 
 
  ㅇ 섬서성은 <과학기술 혁신추진 로봇산업발전 행동계획>에 의거, 아래와 같이 주요 지원정책 및 방향을 추진 중임.
    - 중점 발전 기술: 정밀감속기, 서브 모터, 음성인식, 화상처리 등
    - 주요 응용분야: 산업용 로봇 핵심 부품, 스마트가구, 의료, 건축, 농업용 로봇, 무인기 등
    - 2020년까지의 발전 목표 
     · 섬서성 내 로봇산업 제조 클러스터 2~3개 육성
     · 산업로봇 핵심기능 부품 및 세계에서 선두적인 서비스용 로봇제품 4~6개 창출
     · 국내외 영향력이 있고 시장 점유율이 높은 로봇기업 5~10개 육성 
     · 세계적 선진 기술과 혁신, 창업, 창의력을 가진 플랫폼 혹은 R&D센터 구축
  
  ㅇ 섬서성 바오지시(宝鸡市)에 로봇 및 스마트제조 산업단지 건설 중
    - 본 산업단지는 섬서성 주요 로봇 제조기업과 R&D 기업을 입주시켜 국가급 생산기지를 만들 예정으로, 2016년 12월 바오지 로봇 및 스마트제조 산업단지 구축 유관업체 MOU 체결 
    - 특히 산업용 로봇 핵심부품의 생산은 기존 제조기반 위에서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전체 역량을 향상시키고, 생산규모를 확대시키고자 함.
             

□ 섬서성 로봇산업의 취약점


 1) 기초 부품 제조 능력 미약

  ㅇ 섬서성은 산업용 로봇과 관련된 기초 부품의 제조에서 비록 좋은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지만 품질, 제품 계열화 및 대규모 생산에서 해외 제품과 차이가 큼. 특히 교류(AC)서브 모터와 고정밀 감속기의 품질 차이가 가장 두드러짐. 
  


 2) 기업 자체 창의성 및 자체브랜드 시장 영향력 부족

  ㅇ 섬서성 로봇 기업은 자체 브랜드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소수 기업이 로봇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지만 규모가 작고 브랜드 인지도 면에서 로봇시장에서 국내외 로봇업체들에게 뒤쳐져 있음.
 
 3) 로봇 연구개발 및 산업화에 관련 지원 부족
 
  ㅇ 유럽, 미국의 선진국들은 기업들의 로봇 제조 및 사용을 독려하기 위해 여러 가지 육성 및 장려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로봇산업 발전과 산업용 로봇의 실제 응용에 커다란 촉진제가 되고 있음.
 
  ㅇ 현재 중국 다수 도시와 지역에서도 로봇산업을 중점지원발전 산업으로 정하고 로봇 생산기지 건설, 우대정책 실시, 대표적 우수기업 육성, 핵심기술 연구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섬서성의 정책 수립과 자금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함.


  


 4) 핵심적인 기술 연구 상대적 낙후
 
  ㅇ 현지 섬서성은 다수 대학 및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로봇 핵심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각 기관 간 연구가 분산돼 있고, 연구에 있어 후발자적 위치에 있고 기관 간 교류 및 연합이 비교적 적은 편임.
 
  ㅇ 창의 이념과 독창적 성과가 미비하고, 핵심 부품과 신뢰성, 제품 설계 디자인, 소재, 운용기술, 시스템 통합 기술 등에서 외국과의 격차가 큼.

                    


□ 섬서성 주요 제조업 현황과 로봇기술 융합 유망 분야
 
  ㅇ 섬서성은 항공우주, 자동차제조, 에너지, 디지털제어 공작기계, 의료 관련 풍부한 산업 기반이 있음. 향후 스마트 제조로 산업 업그레이드가 이뤄질 경우 로봇 산업과의 융합이 기대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음.
 
 1) 항공우주산업
 
  ㅇ 항공산업 관련, 섬서성은 현재 이미 군용 폭격기, 전투기 제조, 민용기, 대형 운송기, 엔진, 랜딩 기어 등 부품제조와 교육, 과학연구, 설계디자인, 강도 테스트 및 시험 비행 등 비교적 완비된 산업 체인을 가지고 있음.
 
  ㅇ 항공우주산업의 고정밀도, 다품종 소량생산 등의 발전방향에 근거해볼 때 품질 제고와 제조원가 인하 등은 항공기 및 우주선 제조업체들의 시장경쟁 및 산업발전을 위한 중요 과제임.
    - 이러한 측면에서 산업용 로봇은 항공기업의 생산모델 업그레이드와, 장비의 선진 제조능력 제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발휘할 것임. 


 2) 제조공정 디지털화 관련한 공작기계산업 
 
  ㅇ 섬서성의 QINCHUAN MACHINERY DEVELOPMENT(秦川机械制造公司), HAN CHUAN(汉川机械制造公司)은 모두 중국 디지털 제어 공작기계 제조 10위권에 드는 기업임.

  ㅇ 중국 정부의 공급측 개혁 등 중국 장비 제조업의 업그레이드 정책에 따라, 시장수요 및 기술 향상 등이 복합 작용해 산업용 로봇과 디지털 제어 공작기계의 통합응용 발전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공작기계의 스마트화 추세를 선도하고 있음.

 
 3) 자동차 제조산업
 
  ㅇ 섬서성의 주요 자동차 기업으로는 Shanxi Automobile Group(陕西汽车集团), BYD, Shaanxi fast auto drive Refco Group(陕西法士特集团, 중국 최대 기어 생산업체)을 들 수 있음. Shanxi Automobile Group은 2016년 쌍용자동차와 LOI를 체결하면서 한국에도 알려지게 된 기업으로, 연 매출액이 약 300억 위안에 달하며 중국 내에서 트럭제조분야 상위 5위 안에 드는 기업임.
 
  ㅇ 하지만, 섬서성 자동차 산업의 수익성 및 전반적 제조 효율성이 중국 내 기타 자동차 및 동력기계 업체들에 비해 저조함.
    - 2020년까지 엔진, 변속기, ABS 안전부품 및 자동차 IT부품 등 핵심적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자동화 및 생산성 개선을 해야 하는 상황
    - 상기 분야 외에 자동차 기업의 용접 로봇 수요는 매년 30% 이상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4) 석탄 채광산업 

  ㅇ 중국 석탄 생산량은 세계 35%를 차지하고 있으나, 광산사고 사망자 수는 세계의 80%에 달함. 탄광 구호 수준이 낙후된 것도 사망률을 낮추지 못한 중요 원인 중 하나임.
 
  ㅇ 석탄 채광은 섬서성의 에너지 산업 중 중요한 분야로서 위린시, 옌안시 등 섬서성 북쪽 지역에 대량의 석탄기업이 있고, 미래에는 무인채광 및 재난 구조 등이 중요한 발전 추세가 되고 있음.
    - 이와 관련, 궤도식 석탄 운반로봇과 탐측 로봇, 위험재난구조 로봇 견본품을 개발하는 등 이 분야에서 광범위한 연구개발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됨.

 
 5) 식품가공 및 포장 산업 


  ㅇ 전 세계 사과 7개 중 1개는 섬서성에서 생산될 정도로, 섬서성은 사과를 포함한 포도 키위 대추 등 농산물 생산량이 중국 내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곳임. 이에 따라 과일, 야채 등 농산품 저장 가공 산업, 곡류 및 식용유 가공 산업, 유제품 가공 및 포장산업, 술 담배 제조업 등이 성(省) 중점 발전 산업으로 지정된 바 있음.
 
  ㅇ 섬서성은 식품 가공산업 분야에서 Yinqiao Dairy(银桥乳业集团), HENG TONG(陕西恒通果汁集团) 등 유명 기업들이 있으며, 식품 포장 산업 관련해 포장설비의 품질 및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 농산품 채취와 가공 포장 등에서 로봇 및 자동화 기술이 응용될 가능성이 높음. 


 6) 전기 설비 및 기자재(Electrical Equipment) 제조산업
 
  ㅇ 섬서성은 모터 제조, 고압 및 초고압 교류 전송설비(高压及超高压输变电设备, 즉 전기 수송 시 고전압, 저전류로 송전하는 설비로 변압기에 해당), 공업용 전기난로, 산업용 EAF(Electric Arc Furnace) 저압전기 및 제어 장비, 전선 및 전력케이블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ㅇ 대표적 기업으로는 XD(西电集团, 전력기계 제조에서 중국 1위), YINHE(陕西银河集团, 변전소 자동제어시스템 관련 기업)를 들 수 있음.
 
  ㅇ 전기산업 관련 로봇의 응용은 주로 전기 설비와 기자재 제조 영역에서 설비제조와 조립의 고정밀도, 고효율 생산을 실현해 전기 기자재 조립가공설비의 정밀도 수요를 만족시키고, 자동화 가공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임.

□ 로봇산업 진출방안 및 시사점 

  ㅇ 중국은 현재 전국적으로 공급측 개혁 및 제조업 업그레이드, 인터넷 융합을 추진 중이며, 제조업 기반이 강한 도시별로 로봇분야 육성과 진흥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ㅇ 섬서성 로봇 발전현황에 대한 현지 업체의 의견 
    - 산업용 로봇 핵심적 기술 연구 및 창의성이 부족하고 기초 부품 제조에서 부품 품질과 설계디자인 역량이 미약하고, 핵심기술이 낙후돼 부품의 안정성, 사용 수명, 제어기술, 부품소재 등이 취약한 관계로 상기 발전이 필요한 분야에서 섬서성 로봇기업들의 기술 협력 수요를 발굴할 필요가 있음.
 
  ㅇ 2016년 5월 11일, 이탈리아의 산업용 로봇 전문기업인 코마우(Comau)와 섬서 OBOT(陕西诺贝特)사 간에 MOU를 체결함. 양 사는 섬서성 지역의 로봇과 자동화 분야 연구개발, 더 나아가 전통 제조업을 스마트 제조로 업그레이드 하는데 협 력하기로 함. 이는 섬서성 로봇기업들이 선진 기술을 가진 로봇기업과의 협력에 높은 의향을 보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로봇산업은 환경산업 이후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따라 외국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판단됨.
 
  ㅇ 중국의 성별 중점산업과 제조업의 현황과 발달수준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로봇기술 융합에 대한 수요에 근거해 협력 수요를 발굴해야 함.
    - 섬서성의 경우, 자동차제조, 식품가공, 공작기계 설비, 전기장비 제조업과 에너지 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분야별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로봇기술 진출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섬서성 13차 5개년 과기발전계획, 중국제조 2025 섬서 실시의견, 섬서성 로봇산업 과기발전전략연구(섬서성 교통대학교) 및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상하는 中 양로 서비스산업 인기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상하는 中 양로 서비스산업[2017-02-08, 09:40:44] - 중국인 3명 중 1명은 노인 –- 2040년 양로 서비스산업 시장규모 17조5000억 위안에 달할 것 -□ 중국 노인인구 현황 ㅇ 3명 중 1명이 노인이 될 중국 - 중국은 세계 제1의 노인인구가 1억 명을 넘은…(2017-02-08 22:39:08)
중국도 '나 혼자 산다', 1인 소비시장이 뜬다 인기글 중국도 '나 혼자 산다', 1인 소비시장이 뜬다[2017-02-08, 09:28:12] - 중국 1인 가구 비중 급증, 관련 시장 성장 -- 현지에서 소형화, 간편성, 외로움 등 1인 가구의 니즈를 공략하는 상품들 출시 -- 독일, 일본, 한국 등 1인 소비시장 강국에서 아이템 발굴하는 전략 필요 – …(2017-02-08 22:31:03)
가장 영향력있는 中 여성경제인 1위는? 인기글 가장 영향력있는 中 여성경제인 1위는? [2017-02-08, 10:39:34] …(2017-02-08 22:15:31)
[열람중]中 섬서성 제조업과 연계한 로봇산업 진출 방안 인기글 中 섬서성 제조업과 연계한 로봇산업 진출 방안[2017-02-08, 09:08:58] - 중앙정부정책 변화에 따른 섬서성 로봇산업정책 및 관련 기업 주목 -- 자동차, 항공, 식품가공 등 섬서성 주요 산업과 연계한 로봇기술이 유망 -- 핵심부품 등 섬서성 취약 분야에서 협력기회 발굴 □ 섬서성 로봇산업 발전…(2017-02-08 21:53:19)
中 신선식품시장 키워드 ‘수입’과 ‘온라인’ 인기글 中 신선식품시장 키워드 ‘수입’과 ‘온라인’[2017-02-08, 09:23:50] - 신석식품 온라인 판매 점유율 60% 넘어 -- 종합 유통채널 및 전문 유통채널의 동시 발전, 한국 상품 진입 가능한 유통채널 많아져 - □ 중국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비약적 발전 ㅇ 최근 신선식품 전자상거래가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2017-02-08 21:49:51)
중국 온라인쇼핑 업계 '스마트 물류' 구축 전쟁 돌입 인기글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이미 글로벌 1위 규모입니다. 그럼에도 성장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중국 젊은층의 소비가 45%에서 2020년 5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젊은층일수록 소비 욕구가 높고 온라인 소비를 선호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시장도 함께 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2015년 기준 4조위…(2017-02-03 15:53:26)
중국인구 13억8000만명, 남자가 3300만명 더 많아 인기글 중국인구 13억8000만명, 남자가 3300만명 더 많아 [2017-02-3, 10:37:56] ‘두 자녀 정책’ 후 전년대비 131만명 늘어지난해 중국의 첫 ‘두 자녀 정책’ 시행 이후 인구 구조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 최근 국가…(2017-02-03 14:07:41)
“휴일엔 역시 배달이죠” 중국 배달앱 이용 가이드 인기글 “휴일엔 역시 배달이죠” 중국 배달앱 이용 가이드[2017-02-3, 06:58:26] 기나긴 춘절 연휴, 특별한 계획이 없는 이들에게는 ‘매 끼니 해결’이 큰 숙제다. 외식을 하려 해도 문을 닫는 곳이 많아 일일이 확인하기가 어렵고, 길게는 열흘 이상 쉬는 동안 집에서 전부 만들어 먹기도 번거롭다.…(2017-02-03 14:04:23)
중국 네티즌 7억 명 돌파, 인터넷예약택시 사용자 1억700… 인기글 중국 네티즌 7억 명 돌파, 인터넷예약택시 사용자 1억7000만 명[2017-02-3, 09:54:41] 중국의 네티즌 수가 7억 명이 넘어 유럽 전체 인구 수에 버금가며, '.CN'은 전세계 도메인네임 중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는 22…(2017-02-03 14:01:09)
전세계 외환보유고의 30% 3조달러 가진 중국의 엄살 인기글 3조달러 가진 중국의 엄살중국의 2016년 수출입통계가 나왔다. 8% 감소해 2015년에 이어 2년연속 감소다. 한국 언론에서는 중국은 거의 끝난 것 같은 논조의 헤드라인이 뽑혔다. 사드문제로 대중국 수출이 부진한 탓에 한국의 정서는 중국이 큰 일 난 것 같은 분위기다. 중국의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흑자가 5100억 달러에 달했다. 무역흑자는 역대 2번째로 크다. 중국의 수출, 잘 들여다 봐야 한다. 지금 전세계 무역1위국가는 미국이 아닌 중국이다. 중국이 수출이 마이너스라면 전세계도…(2017-02-03 13:52:37)
중국 설 춘절에 대해 얼마나 알고계세요 ? 인기글 중국에서는 설을 춘절(중국어 간체: 春节, 农历新年, 정체: 春節, 農曆新年, 병음: Ch&#363;nji&eacute;, N&oacute;ngl&igrave; x&#299;nni&aacute;n, 춘졔, 농리신녠[*])이라고 한다. 대규모 귀성객이 고…(2017-01-27 00:00:01)
마윈이 본 2017년 中 경제 전망은? 인기글 마윈이 본 2017년 中 경제 전망은? "향후 3~5년 내 경제는 모든 사람의 상상을 뛰어넘을만큼 어려워질 것", "중국 정부는 반드시 구조조정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성장속도는 둔화돼야 한다", "미래 글로벌화는 기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 중소기업과 혁신형 기업이 주가 될 것이다"중국 …(2017-01-26 22:20:54)
중국에서 건강검진 받기 인기글 중국에서 건강검진 받기 [2017-01-25, 04:46:55] 새해 시작은 건강 검진부터장기간 해외 생활 하면서 가장 불안한 것이 자신과 가족들의 건강이다. 매번 한국을 갈 때도 꽉 짜인 일정 때문에 시간을 내어 건강 검진을 받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1년, 2년 시간이 쌓여갈수록 불안감은 점점 더 커져간다. 그럴 때…(2017-01-25 23:37:14)
中, 20개 외자규제 완화 조치 발표 인기글 中, 20개 외자규제 완화 조치 발표 [2017-01-25, 17:14:56] - 서비스업·제조업·광산업·금융업 분야의 외자진입 문턱 대폭 낮춰 -- 내·외자에 동일 기준 적용 방침 -- 외환보유고 유출 방어, 외자유치 확대가 목적 - □ 중국 당국: 외자기업 중국 증시상장 지지 ㅇ 1월 17일, 중국 국무원은 ‘…(2017-01-25 23:32:43)
中, 2018년 의료미용 시장규모 8,500억 위안 예상 인기글 中, 2018년 의료미용 시장규모 8,500억 위안 예상[2017-01-25, 17:03:13] □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는 ‘2013~2018년 중국 의료미용산업 투자 전망 분석보고서’를 통해 2018년 의료미용 시장규모가 8,5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음 o 중국미용성형협회는 2019년 중국의 의료미용 산업규모가 1조 위안을 초과하며, 중국은 브라질을 추월하여 세계 2대 의료미용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음 o 의료미용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자본 투자도 …(2017-01-25 23:20:5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