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을 통해 중국 프리미엄 개인위생용품 시장을 공략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11-15 01:07|본문
'온라인을 통해 중국 프리미엄 개인위생용품 시장을 공략하라'
친환경(Clean), 개인위생용품(Hygiene), 영유아용품(Infant), 농식품(Nutrition), 고령화(Aging) 등이 향후 중국 소비시장을 이끌 5대 트렌드로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는 'CHINA로 중국을 공략하라' 보고서에서 한중FTA를 활용한 대중국 수출유망품목 발굴을 위해 중국정부의 정책기조 및 소비시장 분석을 통해 향후 중국시장을 이끌 트렌드를 이 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정부가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구조전환을 모색하는 정책기조 변화로 소비시장 트렌드가 전환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35년간 유지돼온 산아제한정책 폐기와 도시화,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확대 등을 가장 큰 변화로 꼽았다.
이에 직접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5대 트렌드를 선정하고 한중FTA 양허수준을 고려해 유망품목을 제시했다.
5대 트렌드 중 화장품업계가 주목해야 할 것은 '개인위생용품' 분야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사스(SARS) 이후 중국의 샴푸, 린스, 바디워시, 치약, 비누 등 위생용품 수입규모는 약 10.6배 증가했다.
최근에는 위생관리 차원을 넘어 미용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화장품을 포함 바디, 헤어케어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보고서는 현재 글로벌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프리미엄급 시장 공략을 주문했다. 유망판매채널로는 소비패턴 변화를 분석해 온라인 유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중국 위생용품 시장이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판매채널 전환기를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한중FTA를 활용해 프리미업급 제품 중심으로 중국시장 진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방, 친환경 원료 등을 활용해 중국인에게 친숙하면서도 미국, 일본, 유럽과 차별화되는 한국제품의 특징을 부각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중국 개인위생용품이 화장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로 분류돼 판매되는 만큼 기존 화장품 시장 진출 경험과 유통망을 적극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소비패턴이 온라인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 못해 지난해 3, 4분기 연속 매출이 감소한 유니레버 사례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현황을 분석, 온라인 유통진출을 권했다.
이외에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자연유래성분 화장품, 베이비붐 전망에 따른 영유아용품, 고령화에 따른 중노년층 전용 화장품 개발 등을 화장품 관련 분야의 유망수출 품목으로 보고서는 제시했다.
한국무역협회는 'CHINA로 중국을 공략하라' 보고서에서 한중FTA를 활용한 대중국 수출유망품목 발굴을 위해 중국정부의 정책기조 및 소비시장 분석을 통해 향후 중국시장을 이끌 트렌드를 이 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정부가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으로 구조전환을 모색하는 정책기조 변화로 소비시장 트렌드가 전환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35년간 유지돼온 산아제한정책 폐기와 도시화,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확대 등을 가장 큰 변화로 꼽았다.
이에 직접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5대 트렌드를 선정하고 한중FTA 양허수준을 고려해 유망품목을 제시했다.
5대 트렌드 중 화장품업계가 주목해야 할 것은 '개인위생용품' 분야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사스(SARS) 이후 중국의 샴푸, 린스, 바디워시, 치약, 비누 등 위생용품 수입규모는 약 10.6배 증가했다.
최근에는 위생관리 차원을 넘어 미용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화장품을 포함 바디, 헤어케어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보고서는 현재 글로벌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프리미엄급 시장 공략을 주문했다. 유망판매채널로는 소비패턴 변화를 분석해 온라인 유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중국 위생용품 시장이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판매채널 전환기를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한중FTA를 활용해 프리미업급 제품 중심으로 중국시장 진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방, 친환경 원료 등을 활용해 중국인에게 친숙하면서도 미국, 일본, 유럽과 차별화되는 한국제품의 특징을 부각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중국 개인위생용품이 화장품과 유사한 카테고리로 분류돼 판매되는 만큼 기존 화장품 시장 진출 경험과 유통망을 적극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소비패턴이 온라인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 못해 지난해 3, 4분기 연속 매출이 감소한 유니레버 사례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현황을 분석, 온라인 유통진출을 권했다.
이외에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자연유래성분 화장품, 베이비붐 전망에 따른 영유아용품, 고령화에 따른 중노년층 전용 화장품 개발 등을 화장품 관련 분야의 유망수출 품목으로 보고서는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