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전통문화놀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11-02 09:59|

본문

중국전통문화놀이|  
1) 춘지에(春節) 
춘지에(春節)는 음력 1월1일로 고대에는 ‘위엔단(元旦)’, ‘위엔르(元日)’, ‘위엔차오(元朝)’, ‘정단(正旦)’, ‘신정(新正)’ 등으로 불려졌고 민간에서는 ‘구워니엔(過年)’, ‘구워신니엔(過新年)’ 이라 칭했으며 정월(正月) 초하루를 ‘1년의 으뜸이요, 1월의 첫날이요, 時의 시작이다’라고 하여 “싼위엔(三元)”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춘절의 이칭(異稱)으로 사용된 ‘元日’에서의 ‘元’은 개시한다는 의미로 ‘元日’은 첫날을 의미한다. 또한 ‘朝’와 ‘旦’은 새벽을 뜻하는 글자로 하루의 시작을 함축하고 있고 ‘正’은 표준, 즉 준칙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초저녁에 북두칠성이 떠 있는 위치가 계절의 정확한 표준방위가 된다고 하여 斗建 혹은 同建 이라 칭한 것처럼 ‘正旦’의 의미는 1년의 기준이 되는 새벽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元日’은 주로 先秦時期에 주로 사용되었던 춘절명칭이고 西漢時期에 이르러서는 ‘三朝’, ‘正月’, ‘正旦’이라 불려졌으며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新正’, ‘元旦’ 이라는 명칭은 위진남북조시대에 처음 사용되었던 것이 明代까지 지속적으로 불리워지다가 청대에 이르러 ‘元旦’으로 통일되었다. 
그렇다면 春節이란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되었을까? 동한의 문헌에 따르면 춘절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봄을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춘절과 관련이 없으며, 남송 文天祥이 기록한 ≪文山集≫ 권 20에 기록된 <二十四日>이란 詩에 ‘춘절 전 3일을 강남에서는 小年이라 한다’라고 하여 춘절이란 표현이 있으나 이 또한 입춘을 나타내고 있어 음력 1월 1일과는 관련성이 없다. ‘춘절’이란 용어가 중국인 사이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게 된 계기는 1912년 1월 2일 손중산(孫中山)이 각 성에 보낸 통지문에서 ‘중화민국은 양력을 사용하되 황제기원 4691년 11월 13일을 중화민국 元年 元旦으로 한다’라고 선언하였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후, 1949년 12월 23일 개최된 12차 정무회의에서 ‘신년(公曆元旦)’, ‘春節’, ‘勞動節’, ‘國境紀念日’을 제정함에 따라 ‘元旦’은 양력 1월 1일을, 그리고 춘절은 정월 초하루를 지칭하게 되었다.1) 
춘절 전날 밤을 ‘츄시(除夕)’라 불렀는데 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단오(5.5), 중추(8.15), 제석(12.30)을 1년 중 3대 중요한 장부결산 날로 삼아 손익의 실태를 조사한 후 다음 해를 계획하는 중요한 절목으로 생각했다.2) 
제석날 밤에 가족들이 둘러앉아 밤을 지새며 즐기는 것을 ‘쇼우쑤이(守歲)’라 하였고, 자정 무렵이 되면 폭죽을 터뜨리면서 액막이 놀이를 하였다. 초하룻날 폭죽을 터트리는 풍속은 중국 민간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인들은 초자연적 존재, 즉 신(神), 귀(鬼), 조상들이 인간을 초월하는 능력을 가지고서 이승의 인생에 간섭할 수 있다고 여겼다.3) 
이에 돌아가신 조상을 섬겨 복을 받고자 하였고, 신령의 호감을 사서 악의를 품지 못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중국인들은 귀를 악의에 찬 영혼으로 보았기 문에 경멸의 대상으로 여겼다. 
고대 중국인들은 산귀신이 사람을 잡아먹고 전염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 많은 사람들의 고민거리가 되었다. 일명 ‘니엔(年)’이라 불린 이 산귀신이 폭죽소리를 무서워했기 때문에 대나무를 태워 산귀신을 좇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대나무가 터지며 나는 소리라고 하여 ‘빠오쥬(爆竹)’ 라 불렸던 액막이 방법은 이후 대나무통에 화약을 넣어 터뜨리는 방법이 활용되면서 보편화되었고, 이후 결혼식과 같은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액을 막는 한 방법으로 정착되었다. 
한편 정초에 행하는 액막이 행위 중에 ‘츈리엔(春聯)’이란 습속이 있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입춘 날에는 봄에 합당한 글자를 써서 문에 붙인다’라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츈리엔을 붙이는 행위가 민간인들 사이에 폭 넓게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문에 붙이는 글자로는 귀신을 쫓는 신(神)인 션다(神茶), 위레이(鬱壘)와 복숭아나무로 만든 타오푸(桃符)등을 활용하였고, 그림으로는 닭과 호랑이를 그려 액이 물러나기를 빌었다. 
2) 위엔시아오지에(元宵節) 
위엔시아오지에는 음력 정월 15일로 ‘上元節’, ‘元夜’, ‘元宵節’ 등으로 불렸으며 위엔시아오지에(元宵節)날 ‘등(燈)’을 밝히는 풍습이 있어 ‘燈節’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원나라 위엔시아오카이(袁世凱)가 민정을 시찰하던 중 백성들이 ‘元宵, 元宵’하는 소리를 내었는데 위엔시아오카이는 이것을 ‘袁宵, 袁宵(원세개는 멸망할 것이다)’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元宵’라는 칭호를 금지하고 ‘湯圓’으로 바꾸었다. 
위엔시아오지에(元宵節)에 등을 거리에 밝히는 풍속은 언제부터 유래된 것일까? 여기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에 션으어(神鵝)라는 새가 인간세계에 왔다가 사냥꾼이 쏜 화살에 맞아 부상을 당했다. 옥황상제는 격노하여 정월 15일에 인간세계에 천병(天兵)을 파견하여 불로 벌을 내리라고 하였다. 이 때 천상세계에 있던 착한 선녀가 이 소식을 인간들에게 전해 주었고 인간들은 옥황상제에 대항할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다. 정월 14,5일 전후 3일 동안 집집마다 문 앞에 홍등을 밝히고 불꽃놀이를 하였다. 천병들이 인간세계에 불을 놓기 위해 천상세계를 열고 인간계를 보니 곳곳에 불이 지펴져 있는 것을 보고 옥황상제에게 임무를 마쳤다고 보고하였다. 정월보름 날 등불을 밝히고 폭죽놀이를 하는 것은 그 날의 승리를 기념하고 인간세계를 도와준 선녀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의 표시를 하기 위해서였다.4) 
위엔시아오지에(元宵節)에 등을 밝히고 달맞이하는 풍속을 백성들이 좋게 여겼기 때문에 당나라에서는 정월 보름날 전후 하루씩 통금을 완화하는 放夜를 시행하였다. 옹낙(雍洛)의 『영이록(靈異錄)』에 의하면 ‘당나라에서 정월 보름날 밤을 중심으로 한 전후 3일 저녁을 야행하도록 했더니 남녀들의 놀러 다니는 거마(車馬)가 길을 메웠다’라고 전하고 있고, 육계굉의 북경세화기(北京歲華記)에 ‘정월 보름날 밤에 부녀자들이 모두 집에서 나와 거리를 거닐었다’라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위엔시아오지에(元宵節)에 행해진 답교(踏橋)놀이는 시대를 막론하고 오랫동안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리 밟기가 민중들의 습속으로 가리 잡게 된 데는 정월 보름날 다리를 밟으면 모든 병을 물리칠 수 있다는 조우바이삥(走百病), 즉 액막이(度厄)에 대한 믿음과 소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3) 한스으(寒食) 
한스으(寒食)란 한자어에서 알 수 있듯이 차가운 밥을 먹는 날이다. 그렇다면 한식날 왜 불을 피우지 않고 차가운 식사를 하게 됐을까? 이러한 한스으(寒食)의 기원은 중국 진(晋)나라의 충신 찌에투이(介子推)의 혼령을 위로하고자 하는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晋나라 문공(文公)이 공자로 있던 시절 아버지 헌공(獻公)에게 추방당하여 국외에서 생활하던 중 궁핍한 생활로 인해 문공이 병이 들자 찌에투이(介子推)는 자신의 다리 살을 베어 문공을 살려냈다. 이후 문공이 그의 의형인 진(秦)나라 목공(穆公)의 도움으로 왕위에 오른 후 현신(賢臣)을 등용하고 상을 내리는 과정에서 찌에투이(介子推)를 잊고 상을 내리지 않았다. 실망한 찌에투이(介子推)는 어머니와 함께 면산(綿山)에 들어가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후 이 사실을 알게 된 晋文公은 찌에투이(介子推)를 할고봉군(割股奉君)의 현신(賢臣)이라 칭하고 사람을 보내 찾아오도록 했다. 끝내 찌에투이(介子推)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자 진문공은 찌에투이(介子推) 가 효자인 만큼 산에 불을 지르면 어머니를 살리기 위해 산에서 내려올 것으로 생각하고 불을 질렀다. 그러나 찌에투이(介子推)는 끝내 나오지 않고 어머니와 함께 버드나무 아래에서 불에 타 죽었다.5) 
이후 중국인들은 찌에투이(介子推)를 기리기 위해서 매년 칭밍지에 전날 불을 피우지 않고 차가운 음식을 먹었으며 문에 버드나무를 꽂는 풍속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 다른 설로는 한스으(寒食)의 풍속을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파악하여 매년 봄에 신화(神火)를 만들어 쓸 때에 구화(舊火)를 일 체 금하던 예속(禮俗)에서 나온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6) 
그렇다면 한스으(寒食)날 찬밥을 먹는 것은 신구화의 교체기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었던 의식적 행사를 찌에투이(介子推)의 고사와 연계시켜 중국인들 사이에 구전되어 온 것으로 보는 것이 보다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스으(寒食)날 조상의 묘를 다듬고 제사지내는 풍속은 당나라 현종 개원(開元)년간에 칙령으로 한스으(寒食)날 산소에 오르는 것을 하락하면서부터 비롯되었다. 당나라 정정칙(鄭正則)의 「사향의(祠享依)」에 ‘옛날에는 산소에서 제사 지내는 기록이 없었는데 쿵쯔(孔子)가 묘를 바라보며 때에 따라 제사 지내는 것을 허락했으므로 묘제(墓祭)가 여기에서부터 비롯되었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스으(寒食)절 날 조상의 묘에 제사 지내는 풍속은 후대에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4) 칭밍지에(淸明節) 
24절기의 하나로 동지 이후 106일째 되는 날로서 양력 4월 5일 전후가 된다. 
칭밍지에(淸明節)에 중국인들은 교외에 나가 즐거운 한 때를 보내는데 이를 ‘답청(踏靑)’이라 한다. 칭밍지에(淸明節)은 한스으(寒食)절과 거의 붙어있는 관계로 조상의 묘에 성묘하는 풍속이 비슷하게 전해져 오고 있다. 
옛날에는 한스으(寒食)절과 같은 날 이거나 아니면 전날인 칭밍지에(淸明節)에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로 불을 일으켜 각 관청에 나누어주었고 이러한 의식은 주대에서 비롯되어 당송(唐宋)까지 계속 계승되어 왔다. 주례(周禮) 권 30 사관조에 봄에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서 불을 얻고, 여름에는 대추나무와 은행나무, 늦은 여름에는 뽕나무와 석류나무, 가을에는 갈참나무와 도토리나무, 겨울에는 느티나무와 박달나무에서 불을 취한다7)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칭밍지에(淸明節)의 불(火)의 제공은 누대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뚜안우지에(端午節) 
음력 5월 5일로서 ‘중우(重午)’, ‘뚜안양(端陽)’, ‘티엔중지에(天中節)’ 등으로 불려졌다. 뚜안(端)은 초(初)의 뜻이고, 우(午)는 옛날 우(五)와 상통하던 글자이니 뚜안우(端午)는 ‘초닷새’라는 뜻이 된다. 重午도 五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므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8) 
완서잡기(宛暑雜記)에 의하면 ‘연도(燕都-북경)에서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작은 아씨들이 모양을 내어 아주 예쁘고, 이미 출가한 여자도 친정에 근친을 가므로 이 날을 여아절(女兒節)이라 한다’라고 하였고, 대대례(大戴禮)에 ‘五월五일에 축란(蓄蘭-창포)으로 목욕한다.’고 했으며, 세시잡기(歲時雜記)에 ‘뚜안우지에(端午節)에 창포와 쑥을 다듬어 작은 인형이나 혹 호로(葫蘆)의 모양을 만들어 차는 것은 액을 물리치기 위함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는 점을 보아 중국인들이 뚜안우지에(端午節)에 창포에 목욕하고 꾸미는 풍속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음력 5월이 되면 더위가 시작되어 음식이 부패하고 전염병이 창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액을 막기 위해 대문에 창포를 꼽고 호로를 사용하는 풍속이 생겨나게 되었다. 뚜안우지에(端午節)날 쫑쯔를 먹는 풍습은 긿긿 투신하여 죽어서 세상의 모범이 되고 자살로써 간(諫) 하겠다는 결의를 밝힌 취위엔(屈原)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초(楚)나라 회왕(懷王)의 충신이었던 취위엔(屈原)은 제(齊)나라와 동맹하여 강국인 진(秦)나라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진나라의 장의(張儀)와 내통하였던 정적과 왕의 애첩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축출되었다. 이후 왕이 진나라에서 객사하였고 뒤를 이어 경양왕(頃襄王)이 즉위하였을 때 아버지 죽음에 책임이 있는 재상 자란(子蘭)을 비난하다 추방되어 비분함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였다. 단오절 날 강에 용선(龍船)을 띄우고 북을 치며 쫑쯔를 던지는 것은 물고기들이 취위엔(屈原)의 시신을 먹지 못하도록 하려는 데서 비롯된 풍속이라 할 수 있다. 
6) 중추지에(仲秋節) 
음력 8월 15일로 중국에서도 중추절은 그리 큰 명절로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당대(唐代) 중추지에날 달을 보는 풍속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흥미가 적어서 한스으(寒食)이나 뚜안우(端午)와 비교가 되지 않았다. 송대(宋代)에는 당보다 성대히 치러졌으나 사부(祠部)의 축일(祝日) 휴가에 입추, 칠석, 중양(9.9)은 있으나 중추지에은 빠져 있는 것으로 보아 축일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뚜안우에 1일 휴가가 있었으니 중추는 뚜안우보다도 쓸쓸한 명절이였다고 할 수 있다. 
전통시대 중국에서는 달을 표시할 때 1,2,3월로 표시하지 않고 春, 夏, 秋, 冬 사시 앞에 孟, 仲, 季를 붙여 1월을 孟春, 2월을 仲春, 3월을 季春이라고 불렀다. 7, 8, 9월의 경우 孟秋, 仲秋, 季秋라 불렀기 때문에 8월을 중추라 불렀고, 음력 8월 15일을 仲秋節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중추지에 날 중국인들은 달맞이를 하고 月餠(위에삥)을 먹으면서 한 해의 소원을 빌고 가족들의 우의를 다지기도 하였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유가 학파 창시동의어 중국의 전통 문화를 집대성하다 인기글 유가 학파 창시동의어 중국의 전통 문화를 집대성하다 춘추 시대 공자에게서 비롯된 유가 사상은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중국의 사회, 사상, 정치, 문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사상이다. 춘추 시대 제자백가 중 가장 먼저 성립되었으며, 전국 시대의 맹자가 대표적인 사상가이다.공자는 노(魯)나라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조상은 송(宋)나라의 몰락한 귀족이었다. 그는 조실부모했지만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었으며, 17세에 노나라의 말단 관리 신분으로 《시경(詩經)》과 《서경(書經)》, 《예(禮)》를 익혀 …(2015-11-02 10:03:55)
중국 전통 차 문화 – 차도(茶道) 인기글 중국 전통 차 문화 – 차도(茶道)(1) 중국 차사(中国茶史) 1. 야생 약용 시기: 차는 처음엔 약의 재료로 사용을 했는데 &lt;신농본초경&gt;에 “신농이 모든 식물을 맛보았는데, 하루에 72종 독에 중독되었어도 차로 해독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다. 진(秦)나라 시기에 차는 이미 사천, 협서, 감숙, 하남 일대에 재배를 하였고, 도교와 불교에서는 차의 음용을 제창하여 차의 소비가 늘었고 천대산, 아미산과 노산 등지의 승려들도 사원 주위에 차를 재배하였다. 2. 승려와…(2015-11-02 10:01:30)
[열람중]중국전통문화놀이| 인기글 중국전통문화놀이| 1) 춘지에(春節) 춘지에(春節)는 음력 1월1일로 고대에는 ‘위엔단(元旦)’, ‘위엔르(元日)’, ‘위엔차오(元朝)’, ‘정단(正旦)’, ‘신정(新正)’ 등으로 불려졌고 민간에서는 ‘구워니엔(過年)’, ‘구워신니엔(過新年)’ 이라 칭했으며 정월(正月) 초하루를 ‘1년의 으뜸이요, 1월의 첫날이요, 時의 시작이다’라고 하여 “싼위엔(三元)”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춘절의 이칭(異稱)으로 사용된 ‘元日’에서의 ‘元’은 개시한다는 의미로 ‘元日’은 첫날을 의미한다. 또한 ‘朝’와 ‘…(2015-11-02 09:59:40)
중국-몽골-러시아, 다국경 관광지 공동 개발 인기글 중국-몽골-러시아, 다국경 관광지 공동 개발 제1회 중국-몽골박람회에서 입수한데 의하면 중국과 몽골, 러시아가 한층 협력해 국경관광코스를 개발하고 다국경관광지를 함께 개척해 국내 장거리시장과 국제시장에 특색있는 국경관광제품을 선보이게 됩니다. 이번 박람회에서 3개국은 관광협력상담행사를 마련해 다국경 관광협력프로젝트 10개를 체결했으며 의향 자금은 13억9천만원에 달합니다. 이런 프로젝트에는 다국경 관광코스개발과 호텔건설, 관광인재양성, 관광기획, 관광리조트건설 등 분야가 포함됩니다. 현재…(2015-10-29 09:15:29)
중국에는 중국만의 인사관리 방식이 있다 인기글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하기 무려 90여년 전, 중국의 명나라는 정화장군으로 하여금 일곱 차례(1405~1433년)에 걸쳐 동남아, 인도, 중동, 아프리카에 이르는 대항로를 개척하게 했다. 인류 최초의 세계화 시도다. 그리고 새로운 천년이 시작된 지난 10여년간 중국은 다시 글로벌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엄청난 수의 인구, 광활한 땅과 자원, 그리고 유구한 문화적 유산을 가진 중국을 매니지먼트 관점, 특히 인사관리 관점에서 어떻게 …(2015-10-29 09:14:55)
도약식 발전 이룩한 중국의 첨단장비제조업 인기글 도약식 발전 이룩한 중국의 첨단장비제조업 세계는 현재 장비제조업 전환과 업그레이드에 속력을 내는 중국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차 5개년"계획 실시기간인2006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전반 장비제조업 수준은 중하급수준이였고 전반 제조업중 첨단 장비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비중은 "12차 5개년"계획 실시기간인 2011년부터 2015년에는 약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럼 다가오는 "13차 5개년"계획기간 중국의 제조업은 어떻…(2015-10-29 09:10:13)
중국가정농장 변형기 인기글 중국가정농장 변형기 지난 1년반 동안 중국에서는 일 평균 1만여개 회사가 창설되었고 이극강 중국 총리의 호소하에 '대중창업,만인혁신'의 붐이 중국 경제운행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대중창업과 만인혁신'의 붐을 타고 중국여성들도 보다 행복한 생활을 누리기 위해 중국경제에 일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국의 여성들은 창업과정에 어떤 도전과 문제에 직면해 있고 이런 걸림돌은 어떤 루트를 통해 해결되고 있을까요? 며칠전 이정표적 의미가 있는 제4차 세계여성대회 베이징 개최 30주년에 즈음해 본 …(2015-10-29 09:09:33)
중국에서 하는 전통놀이 인기글 중국에서 하는 전통놀이 폭죽놀이 폭죽은 원래 대나무를 불에 태워 껍질을 터뜨리는 식이었지만, 화약이 발명된 이후 다양한 촉죽이 개발되었다. 이는 귀신을 쫓고 풍년을 기원하며, 명절의 분위기를 돋구는 의미를 지닌다. 수세와 연야반 수세란 음력 12월 31일 '제석'때 밤새도록 전 가족이 모여 먹고 노는 것을 말한다. 저녁 무렵이면 집집마다 등불을 밝히고 저녁을 먹는데 식사가 끝나면 바둑이나 마작 등을 즐기고, 12시 제야의 종이 울리면 일제히 폭죽을 터트린다. 연화 붙이기 사의 라고 부르는 이것은 …(2015-10-29 09:08:08)
중국의 3대 명절음식 인기글 중국의 3대 명절음식 ‘월병’ 가족의 화목 상징. 역사 오랜 전국민적 명절음식 중국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명절 중 하나인 중추절은 어떤 시대적 상황에서도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춘절 다음으로 큰 명절이다. 음력 8월 15일이 가을에 중간에 있다 하여 중추절(中秋节)이라 불린다. 가을의 밝고 맑은 빛의 둥근 달이 단결과 화목의 상질이라 여겨 단원절(团圆节)라고도 불렀다. 중추절에 월병을 만들어 먹는 것은 당대(唐代:618-907)부터 시작했다. 둥근…(2015-10-29 09:04:30)
치파오(旗袍)의 원류 인기글 치파오(旗袍)의 원류 한국은 한복, 일본은 기모노가 있듯이, 중국은 치파오라는 전통의상이 있다. 선이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는 듯 하고, 모양이 우아한 치파오는 중국 여인들이 특히 즐겨입는 복장이다. 이 치파오는 16C 중엽, 만족의 민족의상이었다.이런 치파오를 누가 설계했으며, 어떻게 보급되었는지에 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 징뽀후라는 동북부 지역에 만족 어민집 딸이 있었다. 어릴 때부터 부모와 같이 고기잡이를 했는데, 매일 햇볕에 그을리고 바닷물에 젖다 보니 얼굴이 까맣게 타서 사…(2015-10-29 09:01:05)
"끈질긴 중국 공안"..은행강도 16년만에 모두 체포 인기글 "끈질긴 중국 공안"..은행강도 16년만에 모두 체포 중국 공안이 1992년 발생한 은행 무장강도 사건 용의자들을 16년 만에 모두 체포했습니다.사건 당시 은행 CCTV가 꺼져 수사가 한때 벽에 부딪혔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결과입니다.선양에서 홍창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중국에서 16년 전 발생한 은행 무장강도 사건 용의자들이 경찰의 끈질긴 추적 끝에 모두 체포됐습니다.중국 허난 성 정저우 시 공안국은 1999년 12월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무장강도 은행탈취사건의 용의자 5명을 이번에 체포했…(2015-10-29 08:56:45)
"안전으로 발전 추진" 중국-아세안 집법안보협력 장관급 대화… 인기글 "안전으로 발전 추진" 중국-아세안 집법안보협력 장관급 대화 &lt;베이징선언&gt; 통과 "안전으로 발전 추진" 중국-아세안 집법안보협력 장관급 대화가 23일 도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대화는 &lt;베이징선언&gt;을 통과했습니다. 회의 참가 각측은 현재 지역의 집법안보협력행정이 관건적인 역사단계에 처해있다면서 평등과 상호신뢰, 개방과 포용, 공동건설과 공유, 호혜상생의 정신에 따라 더욱 높은 차원의 실무적이고 전방위적이며 입체화한 지역집법안보협력체계를 함께 구축해 본 지역의 안보와 공동…(2015-10-26 09:49:13)
전문가, 중일경제무역관계 향후 3대 기회 포착 강조 인기글 전문가, 중일경제무역관계 향후 3대 기회 포착 강조 위건국(魏建國)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부이사장은 제11차 베이징-도쿄포럼에서 중국경제의 전환업그레이드와 일대일로 창의의 제출은 중일 양국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며 쌍방은 응당 경제무역협력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표했습니다. 위건국 부이사장은 중일 양국은 "제13차 5개년계획"과 중국이 제출한 일대일로 창의를 비롯한 발전전략, 서비스업종 등 3대 기회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위건국 부이사장은 중국경제가 공업 위주에서 서비…(2015-10-26 09:47:28)
중국, 지난해 3월부터 일평균 신증기업 1만여개 인기글 중국, 지난해 3월부터 일평균 신증기업 1만여개중국상사제도개혁으로 기업 등록이 손쉬워져 대량의 기업이 신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국빈(辛國斌) 공업과 정보화부 부부장이 10일 밝힌데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말까지 중국 신증 기업등록수는 600만개로 일평균 1만 900개가 신증했으며 이중 중소기업이 대부분입니다. 신국빈 부부장은 10일 광동성(廣東省) 광주(廣州)에서 열린 중국 중소기업 정상포럼에 참석해 중소기업개발 추진과 "기층"혁신 지원을 위해 국가는 일련의 지원정책을 출범했으며 정…(2015-10-26 09:45:43)
중국, 소비품수입조치 보완에 나서 인기글 중국, 소비품수입조치 보완에 나서중국은 지난 6월 1일부터 의류와 신발, 화장품, 기저귀 등 일부 일용소비품 수입관세 세율을 인하했으며 세율 인하 세수항목은 14개로 상품 관세 평균 인하폭이 50% 이상에 달했습니다. 관세인하의 주요원인은 중국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수요를 만족시키고 국내소비를 진작하려는데 있습니다. 관세 인하 외에도 중국은 향후 무역 편리화를 위한 정책과 입경통상구내 면세점 증설을 비롯한 부대 정책도 연이어 출범할 계획입니다. 올해 초 중국인들이 일본에 가 변기뚜겅을 사재기 한 소…(2015-10-26 09:44:29)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