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중국 역사 총정리 (요약 )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9-11 09:08|

본문

중국의 역사 총정리
 
 
 
1.중국문명의 기원

  자바 원인 (猿人)과 함께 알려져 있는 `베이핑(北平)원인`의 뼈는 지금으로부터 약 40∼50만년 전의 구석기시대 초기의 것이라고 한다. 황허(黃河)의 유역에는 오랜 옛날부터 인류의 선조가 살고 있었다. 한(漢)민족의 고향도 역시 황허의 유역이었다. 그들은 비옥한 황토와 물이 풍성한 상류 지방에서 일찍부터 농업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최초에 황제(皇帝)가 나와 나라를 이룩하고 요(堯) 순(舜)등의 명군(名君)이 나타나고, 그 다음엔 황허의 치수 사업을 환성한 우왕(禹王)이 하(夏)나라를 만들었다고 한다. 중국의 확실한 역사는 같은 황허 중류에 일어난 나라 은(殷)으로부터 시작한다.


2.중국의 고대문명

  은(殷)문화와 한자의 발명

  은이란 나라도 오랫동안 수수께끼 속에 싸여 있었다. 은문화의 유적(은허 殷墟)으로부터 나온 궁전이나 주택의 터, 무수한 토기 도기(陶器) 청동기 보석류가 `황하문명`의 모습을 상상케 해주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귀중한 것은 거북의 등 과 짐승의 뼈 따위에 새겨진 갑골(甲骨)문자였다. 한자(漢字)는 이 갑골문자로 시작되어, 주대(周代)의 금문(金文 동판에 새긴 문자)을 거쳐 완성되었다.

  주(周)에서 춘추전국 시대로

  은나라가 번영하고 있을 때, 그 서쪽의 웨이수이(胃水)근처에 주(周)가 일어났다. 일설에 의하면 기원전 1125년에 건국되었는데, 무왕(武王) 때에 동쪽으로 세력을 뻗쳐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그 문화를 이어받아 최초의 봉건국가를 건설하였다. 주나라는 기원전 777년, 도읍 뤼양(洛陽)으로 옮기고 동시에 차차로 쇠퇴하여 춘추시대(기원전404년)으로 들어가고, 각지의 제후가 천하통일을 다투는 전국(戰國)시대(기원전 1112년)를 이루었다. 춘추전국시대는 약 550년간에 걸쳐 문자 그대로 세상이 혼란하던 약육강식의 시대였으나 한편으로는 많은 학자들이 가지가지 학설을 들고 나와 천하국가를 다스릴 길을 설파하였으니 이 때의 학자들을 `제자백가(諸子百家)`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인물은 유교를 편 공자(孔子 기원전 6∼5세기)와 도교(道敎)의 시조가 된 노자(老子 기원전 6세기)였다. 노(魯)라는 작은 나라에서 태어난 공자는 `인(仁)`의 사상을 근본으로 한 도덕을 이상으로 한 세상을 만들려고 생각하여, 나라를 돌아다니며, 제후에게 그 가르침을 전하였다. 이에 반하여, 노자는 `무위(無爲)하면서도 다스린다`는 자연의 도를 설파하였다. 이 가르침은 상당히 어려운 철학적인 것으로서, 후세의 중국 사람들의 마음에서 살아갔다. 공자나 노자에 있어서는 서양인의 사고방식과는 전혀 다른 동양인의 사상과 지혜와 도덕이 있다. 그러나 공자나 노자는 당시의 봉건사회 위에 서서 성인군자의 길만을 설파하였기 때문에 참다운 의미로 서민을 구하고, 사회를 진보시키는 것은 없었다고 비판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중국에서의 최초의 농민 반란은 주나라의 여왕( 王 9세기)때에 일어났다. 왕은 수도로부터 쫓겨나고 주공(周公)과 소공(召公) 두 사람이 정권을 다투었다. 그러나 이 두 사람도 얼마 지나자 다시 농민들에게 무거운 질곡을 씌우게 되었다. 이리하여 중국사에 허다한 농민의 반란은 언제나 어떤 야심가에 이용되어 버리고, 성공하지 못한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3.진한의 통일국가와 문화

  최초의 통일국가 진(秦)나라

  춘추시대에 백 수십을 헤아리던 진 초 연(秦 楚 燕), 제(齊), 조(趙), 한(韓), 위(魏)의 7대국으로 뭉쳐졌다. 그 중에서 가장 강한 진(秦)나라가 처음으로 통일국가를 세웠다. 이 사이에 월(越)나라의 구천(勾踐)을 도와 회계지치(會稽之恥)를 씻은 범라(기원전 5세기)의 이야기가 생기고, 또 진(秦)나라에 대해 여러 나라가 `합종(合縱) 연형(連衡)`의 전술을 외친 것도 역사상 유명하다. 자유경제와 국토개발로 국력을 기른 진나라는 기원전 1149년에 통일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진(秦)나라왕 정(政)은 천하를 손아귀에 쥐자 스스로 진시황(秦始皇)이라 자칭하였다. 그는 그 때까지의 봉건제를 없애고 군현제(郡縣制)를 펴고 중앙 집권적인 정치를 행하였다. 그러나 권력을 마음대로 정치를 휘두르던 시황제(始皇帝)는 비위에 거슬리는 학자들을 잡아 생매장을 하고, 대나 명주에 쓰인 수많은 책들을 불살랐다. 도 70만이라는 죄인과 보통의 농민들을 몰아서 만리장성과 아방궁(阿房宮) 등의 대공사를 시켰다. 이와 같은 학정(虐政)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은 반란을 일으켜, 각지에 번지자 진(秦)나라는 단 2대 15년만에 망해버렸다.
  이 때 다음의 천하를 쥐려고 다툰 두 사람이, `홍문(鴻門)의 회전`과 `사면초가(四面楚歌)`의 고사(故事)로 알려져 있는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서로 다투던 이 두 사람 중 유방이 천하를 얻어 한(漢)을 세웠다.

  한의 발전과 문화

  기원전 202년 한(漢)을 세운 유방, 즉 한의 고조는 장안에 도읍을 정하고 봉건(封建)과 군현(郡縣)을 합쳐, `군국(郡國)의 제도`를 폈다. 차차 발전한 한나라는 7대 무제(武帝)때에는 북쪽의 흉노(匈奴) 동쪽의 조선 남쪽의 안난(安南) 서남쪽의 이민족 등을 쳤다. 그밖에도 서역(西域)의 여러 나라 안식(安息) 대월씨(大月氏) 대하(大夏) 로부터도 공물(貢物)을 징수하였다. 그 결과 한(漢)민족의 세계는 현저하게 팽창됙, 민족의 영예가 높여짐과 동시에 동서세계를 연결하는 길도 열렸다. 서방측의 진귀한 물질 문화가 수입되고 중국의 명주며 칠기 등이 서방세계로 들어갔다. 유럽인이 이름 붙인 `비단의 길`은 이 때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황제들의 사치와 환관(宦官) 외척들의 횡포로 한나라는 얼마 안 가서 왕망(王莽 기원전 45∼113년) 때문에 정권이 무너졌다. 이 때까지를 전한(前漢)이라고 한다.
  그 후 광무제(光武帝)가 `녹림(綠林)의 도(徒)`라는 농민비적의 도움을 얻어 한(漢)을 부흥(後漢)시키고 유교에 의한 정치로 한 때는 평화로운 시대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후한(後漢)도 궁정 안의 싸움과 대지주들의 힘이 강해지자 차차 쇠퇴하여 황건적(黃巾賊)의 난이 계기가 되어 또다시 전란의 시대로 들어갔다. 황건적의 난이라는 것도 당시의 폭정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의 반란의 하나이다.
  한나라 시대의 두드러진 문화는 미술건축의 진보 천문학의 발달 한자 한문의 완성 사마천(司馬遷)의 `사 기(史記)`를 비롯한 역사책, 불교의 전래, 거기에 종이의 발명 등을 들 수 있다. 종이는 기원전 1000년경에 채륜(蔡倫)이 발명하였다고 한다. 재료는 삼베 대 보리짚 누에고치 나무껍질 등 여러 가지 물질이 사용되었다.


4.삼국분열과 문화

  두 번째의 전란(戰亂)시대

  기원 1210년에 망한 후한의 다음은 `삼국사(삼국지)`의 시대 (1210∼1165년)이다. 위(魏) 촉(蜀 오(吳)의 세 나라에 각지의 호족과 농민들의 이해관계가 상반되어 또다시 약육강식의 세상이 되었다. 위(魏)의 조조(曹操)와 촉(蜀)의 유비(劉備)가 다투고 있을 때, 가지가지 묘한 술책으로 유비를 도운 사람이 제갈공명(諸葛孔明)이었다.
  삼국의 뒤에는 진(晉)과 5호(胡) 16국의 시대(265∼420년)가 온다. 5호라는 것은 몽골계 티베트계 등의 다섯 이민족을 가리킨다. 이들은 통일 상태가 헝클어지자 이를 기회로 중국 본부에 침입하여 16개국이나 되는 작은 나라를 세웠다가 멸망시키곤 하였다. 이 때 한나라의 무제(武帝)에 쫓긴 흉노(匈奴)가 흑해 지방을 거쳐 기원 400년 경 멀리 유럽까지 침입한 일이 있다.

  수(隨)에서 당(唐)으로

  삼국(三國)으로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의 서로 다투는 시대는 370년간 계속되었다. 기원 589년이 되어 겨우 북조(北朝)측의 수(隨)도 2대 30년 정도로 망하고 말았다. 수나라시대에 가장 눈에 띄는 일은 양제(煬帝)때에 완성된 황허(黃河)와 창장(長江)을 연결하는 대운하의 건설이다. 양제는 그런 사업을 완수하면서 사치한 생활에 날이 지고 새고, 조선 원정에 실패하곤 하여 스스로 나라를 망치고 말았다.
  수나라를 이은 당(唐)나라(618∼907년)는 처음에는 훌륭한 황제가 나서서 새로운 세제(稅制) 균전제(均田制) 징병제(徵兵制)등을 마련하여 중앙집권적인 정치로 나라를 잘 다스렸다. 그 중에서도 특히 태종(太宗 627∼649년 재위)은 절도사(節度使)로 나라를 지키게 하는 한편, 군사를 보내어 조선, 티베트, 돌궐(突厥)등을 치고, 또 서아시아, 인도, 동남아시아와의 교통 무역을 성하게 하였다. 이 때문에 당나라의 문화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정도로 높아져 이백(李白 701∼762년), 두보(杜甫 712∼770년), 왕유(王維 699∼759년), 백낙천(白樂天 772∼846년)등의 대시인이 연이어 나오고, 장안(長安)의 수도는 국제적인 도시로 번창하였다. 이 때`서유기(西遊記)`가 나온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당나라도 해가 갈수록 어지러워지기 시작하였다. 775년에 미녀 양귀비(楊貴妃)에 혹한 현종(玄宗)황제에 대하여 안록산(安綠山)이 난을 일으키고, 875∼84년에 걸쳐서는 `황소(黃巢)의 난`이라고 불리는 큰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5.중국의 중세와 문화

  오대와 송(宋)의 시대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나니 통일은 또다시 헝클어지고 오대(907∼960년)의 전란이 게속되었다. 이 시대에는 당나라의 귀족들이 영락하여 지방의 방위에 당하고 있던 절도사(節度使)들의 힘이 강해졌다. 오대 즉 다섯 나라가 연이어 흥망한후, 후주(後周 950∼60년)의 절도사 조광윤(趙匡胤)이 제위에 오르고 송나라(960∼1279년)를 일으켰다. 오랫동안 평화가 계속되니 산업도 진흥하고 상업 자본도 발달하였다. 문화상으로는 당나라의 귀족문화에 대체하여 서민적인 문화가 성하였다. 서양의 르네상스의 3대 발명이라고 하는 나침반 화약 인쇄 등이 중국에서는 송나라시대에 이미 알려져 있었다는 사실은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몽골 대제국 원(元)

  이 때쯤 해서 북방의 고원에는 새로운 몽골족이 일어났다. 12세기에 들어서 징기스칸이 나타나자 곧 민족을 통일하고, 1219년에는 웅대한 정복의 길로 나섰다. 징기스칸은 도중에 죽었으나, 단 몇 십 년 동안에 중앙아시아, 북서인도, 러시아, 동유럽까지 짓밟고 역사상 가장 큰 유목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리하여 쿠비라이가 제위에 오른 1271년에는 제국의 이름을 원으로 고쳐 베이징으로 도읍을 정하였다. 한민족을 지배한 원은 언제나 몽골 제일주의를 취하고 중국인의 전통과 문화를 짓밟았다. 그 때가지 중국에 침입한 이민족은 모두 중국문화에 동화되었으나 원은 그렇지 않았다. 대제국 건설로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통이 열리고, 마르코폴로를 비롯한 서양 사람이 기독교를 가지고 중국에 오게 되었다. 그러나 원제국도 백 년이 못되어 멸망하게 되었다. 패망의 원인은 정치하는 방식에 무리가 있었고, 관리들의 부정이 불어갔고, 아니 무엇보다도 한민족이 스스로의 증지를 찾아 반항의 불길을 올린 것이다.


6.중국의 근세와 문화

  명(明)에서 청(淸)의 시대로

  몽골족을 쫓아내고, 한민족을 위한 중국을 부활시킨 것은 1368년의 일이다. 이것이 명나라다. 최초의 황제가 된 주원장(柱元章)은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자라나서 거지 노릇을 하던 때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제위에 오르자 농민의 일은 잊어버리고 전제정치를 강화하고 수만 명의 신하와 학자들을 죽였다. 이 때문에 연왕(燕王) 체( )가 군사를 일으켜서 1402년에 제위를 빼앗아 수도를 난징으로부터 베이핑으로 옮겼다. 명나라시대의 문화적인 업적으로는 2천명의 학자를 모아 대박과(大百科) `영락대전`을 만든 사실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중국과 서양의 발걸음을 비교해 보지 않으면 안 된다. 수 당 송나라 시대의 문화는 확실히 서양에 앞서 있었다. 서양이 중세의 암흑시대에 있던 때에 중국은 이미 높은 문화를 건설하였다. 명나라가 성립한 무렵이 서양의 근세에 해당한다.
  동양과 서양의 지위는 르네상스를 경계로 하여 거꾸로 되었다. 과연 16세기가 되자 유럽인이 와서 중국인이 모르는 문명을 보여 주었다. 1537년에는 포르투칼인이 마카오에 식민을 시작하였다. 이 무렵에 동북의 땅에 있던 금나라의 뒤를 이은 만주 사람의 후금(後金)이 일어나, 1662u년에는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청(淸)을 세웠다. 이리하여 한민족은 다시 이민족의 지배를 받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청의 발전과 아편전쟁

  청나라는 원나라보다 훨씬 오랜 1911년까지 250년을 다스렸다. 그러나 소수의 만주 사람이 중국을 어떻게 오랫동안 지배할 수 있었을까? 그것은 한민족의 사회가 낡은 중세적인 신분에 얽매여 서양 같은 국민 국가로서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8세기 중엽에 가장 강하였으며 당시 인구는 1억을 넘었다. 나라 재정도 윤택해지고 외국에 상품도 많이 수출하여 많은 은화도 획득하였으나, 이것이 곧 근대화의 길은 아니었다. 청나라는 그저 겉치레의 번영을 이루고 있을 뿐이었다. 19세기로 들어서자 서양의 여러 나라는 날로 발전하여 동양에 침략의 손을 뻗쳤다. 당시 중국으로부터 많은 물건을 사들이고 있던 영국은 산업혁명의 결과 넓은 해외시장이 필요해지자 중국과의 일방적인 수입무역을 하고 싶다고 제의하였다. 청나라의 반대에 불구하고 영국은 영국의 면제품을 인도로, 인도의 아편을 중국으로, 중국의 명주와 차등을 영국으로 하는 식의 삼각 무역을 시작하였다. 아편이 갑자기 중국으로 밀려들었다. 중독환자가 늘고 중국인은 마음도 육체도 좀먹어 갔다. 애써 벌어 놓은 외국의 은화는 잠시 동안에 다시 외국으로 흘러 나갔다. 1831년 청나라는 아편수입을 금지하고, 1838년에는 영국 상인이 가진 아편을 몰수하고, 영국 무역선의 출입을 금지하였다. 이에 대해 영국은 무역보호라는 이유로 전화(戰火)를 일으켰다. 이것이 소위`아편전쟁`이다.
  아편전쟁은 비참하였다. 영국의 군함과 대포앞에 청나라 군대는 모래밭의 누각처럼 대패했다. 난징 조약으로 전쟁은 끝났으나, 청은 자유무역과 외국인의 특권을 인정하게 되자, 이로부터 유럽 여러 나라는 차차로 침략의 마수를 뻗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1850년 지상천국을 만들기 위해 청나라를 타도하자는 기치 아래, 기독교도 호수전(洪秀全)이 우두머리가 되어 태평천국의 난을 일으켰다. 이 난에 가담한 사람은 토지를 잃은 농민, 실직자들을 비롯한 청나라에 불만을 가진 대중들이었다. 이 난은 14년이나 계속되었다. 이 난리는 실패로 끝났으나 이것이 계기가 되어 중국의 민족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난을 평정한 것은 청의 지배계급과 결탁한 제국주의의 힘이었다. 이 난리 중에 영국과 프랑스는 자기들에게 유리한 텐진(天津)조약과 베이징(北京)조약을 체결시켜 침략의 발판을 굳건히 하고 있었다. 이들 외국 제국주의 세력은 중국에서 여러 가지 권리를 획득하는 한편, 자본가 대지주 관료 등의 뒷받침으로 백성의 반항을 눌렀다.

  손문(孫文)의 혁명까지

  얼마 지나자 일본도 침략자의 무리에 끼게 되었다. 1894년에 일어난 청일전쟁은 일본이 대륙에 손길을 뻗칠 계기가 되었다. 이제 무력해진 청은 침략에 몸을 맡길 도리밖에 없었다. 분함을 참지 못한 중국 백성들은 의화단(義和團)을 조직하여, 외국인을 습격하였다. 이 때문에 철도부설권 광산부설권 등 모두 외국의 손에 넘어가고 독립국이란 말은 이름뿐이었다. 그러나 시대는 20세기를 맞이할 전야였다.
유럽 여러 나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에 신음하던 아시아에서 독립의 싸움이 시작된 때였다. 이 때 새로운 중구그이 아버지로 나타난 사람이 손문(孫文)이었다. 그는 광동에서 혁명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널리 지식인 농민들에게 호소하여 혁명운동을 추진하더니, 1911년 `신해(辛亥)혁명0의 결과 마침내 청을 넘어뜨렸고 다음 해 새로운 중국이 탄생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중국은 완전히 구각을 탈피한 것은 아니었다. 초대 대통령이 된 원세개(袁世凱)는 엉뚱한 생각을 품은 야심가로서 손문 계통의 혁명파를 누르려고 하였다. 국내에는 많은 군벌이 다투고 있었다. 군벌은 봉건적인 제도와 습관이 뿌리 깊이 남아 있었다. 손문은 그가 창도한 삼민주의의 이상도 실현하지 못하고 죽었다. 그 후 국민당과 공산당의 대립과 중일전쟁을 거치는 등 현대의 중국역사는 험한 길을 밟아왔다.


0

중국경제동향 목록

중국경제동향 목록
전족(纏足)과 천족(天足) 인기글 천족(天足)이란 전족(纏足)을 한 여성들의 발을 해방시킨다는 뜻이다. 고대중국 여성들이 발을 동여매는 관습인 전족은 당(唐, 서기 618-907년) 왕조시대의 궁중에서부터 유래됐다. 당나라의 궁중에서부터 시작된 전족은 오대십국(五代十國.907-979년)과 송(宋,960-1279년)왕조시대에 이르러 귀족가정에까지 전해졌으며 원(元,1279-1368년).명(明.358-1644년)시대에는 전국적으로 보편화되기에 이르렀다. 결과 중국 고대사회에서는 발을 동여매지 않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2015-09-14 09:54:33)
추석 -중국인들의 송편 `월병` 인기글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이 원나라 전복을 위해 최후의 일전을 준비할 때다. 그는 8월 15일을 결전의 날로 잡았다. 문제는 원나라 감시망을 피해 각 지역에 어떻게 군령을 전하느냐였다. 고심 끝에 '월병(月餠.둥근 모양의 작은 케이크)'에 착안했다. 월병 속에 '8월 15일 밤 봉기(八月十五日夜起義)'라고 적힌 쪽지를 넣어 선물이라며 돌렸다. 군령은 신속하게 전달됐고 봉기는 성공했다. 중국인이 중추절 때 월병을 선물로 돌리게 된 유래다.우리가 추석에 송편을 먹는다면 중국인은 월병을 즐긴다. 월병은 오리…(2015-09-14 09:54:11)
이백(李白)의 주량에 대한 오해 인기글 이백(李白, 리바이, 701~762)는 당나라 시기 시인으로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고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이라 불리고 있음.약 1,100여 편의 작품이 현존하고 있으며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었음.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많은 작품에 술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이백의 주량이 얼마나 되었을지 궁금해 하는…(2015-09-11 09:11:05)
여자에게 절대 쓰면 안되는 단어: 破鞋 인기글 破鞋는 직역하면 해진 신발이란 의미이지만 함부로 입에 담으면 안되는 단어임.특히 여자에게는 절대 쓰면 안되는 단어로 풍기문란한 여성 혹은 화냥년 등으로 여성을 욕하는 말인데 이는 2가지 설이 있음. 과거 북경에는 사창가로 번화한 8대 골목이 있었는데 기생들은 대문 밖에 꽃을 수놓은 신발(绣花鞋) 을 매달아 표기를 하였음. 바람이 불고 시간이 흐르면 이 신발은 해지고 망가져 破鞋가 된데서 유래한 말이라는 설.다른 하나는 옛날 대도시에서 생활고에 시달려 기생 노릇을 해야 했던 등급이 낮은…(2015-09-11 09:09:15)
[열람중]중국 역사 총정리 (요약 ) 인기글 중국의 역사 총정리 1.중국문명의 기원 자바 원인 (猿人)과 함께 알려져 있는 `베이핑(北平)원인`의 뼈는 지금으로부터 약 40∼50만년 전의 구석기시대 초기의 것이라고 한다. 황허(黃河)의 유역에는 오랜 옛날부터 인류의 선조가 살고 있었다. 한(漢)민족의 고향도 역시 황허의 유역이었다. 그들은 비옥한 황토와 물이 풍성한 상류 지방에서 일찍부터 농업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최초에 황제(皇帝)가 나와 나라를 이룩하고 요(堯) 순(舜)등의 명군(名君)이 나타나고, 그 다음엔 황…(2015-09-11 09:08:58)
가시 많은 장미, 중국시장에서 넘어야 할 3가지 고개 인기글 잘나가는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서 고전하는 이유와 해법 1 정부·언론의 집중 견제 - 기부액 적었던 맥도날드 식품관리 규정 걸려 곤욕 돈만 벌어가는 게 아니라 中사회 기여 이미지 중요 2 외국기업 기피 풍조 - 소황제로 큰 中엘리트들 힘든일 못 견뎌 잦은 이직 고위직 승진 기회주는 등 차별 없이 끌어안아야 3 권리주장 강한 소비자 - 소비자 불만 대처 잘못해 지멘스, SNS서 난타당해 한국 회사가 만든 게임은 현지 취향 캐릭터로 히트1 2009년 펩시콜라는 매장 내 진열비 명목으…(2015-09-11 09:08:28)
중국 고대 스승의 날, 특정 절기 "명절선물"로 경의 표달 인기글 중국 고대 스승의 날, 특정 절기 "명절선물"로 경의 표달 오늘은 중국 스승의 날 "교사절"이다. 제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은사에 대한 고마움과 경의를 표한다. 사실 일찍 고대에도 "스승의 날"과 흡사한 명절이 있었다. 바로 성인공자의 탄생일과 훈장의 생일이다. "공자의 탄생일과 훈장의 생일이 되면 주인집에서는 사숙 선생께 절경(節敬, 옛날 명절에 주인이 초빙된 사람에게 주는 재물)을 바쳤습니다." 베이징 사범대학 국학경전교육연구센터 서재(徐梓) 교수는 고대에 교육을 매우 중시했고 스승도 존경…(2015-09-11 09:00:59)
마작의 역사와 기원 인기글 마작의 역사와 기원마작은 마조 (麻雀) 라는 놀이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마조 별명이 마장 (麻將) 이었기 때문에 그 소리대로 지금까지 마작 또는 마장이란 이름으로 불린다. 마작은 중국말로 참새를 뜻하기도 하는데, 마작을 할 때 패가 섞이는 소리가 마치 참새들이 모여 앉아 지저귀는 소리와 흡사하다 해서 붙인 이름이다. 마작은 약2000 년전 우 (禹) 임금 때에 궁중에서 하던 파림 (巴林) 이라는 패를 사용하던 놀이가 마작의 '시초' 라고 한다. 당시는 궁중에서만 하였으며, 일반 백성들이 하는 것…(2015-09-07 08:59:22)
중국 전통극-경극 인기글 중국 전통극-경극경극은 서피(西皮)와 이황(二黄)2가지의 곡조를 기초로 하므로 피황희(皮黄戏)라고도 한다. 발전과정에서 경극은 곤곡(昆曲)과 진강(秦腔)의 일부 곡목과 곡조의 표현방법을 받아들였으며 민간곡조도 일부 받아들여 완전한 예술품격과 표현체계를 형성했다. 경극은 현재까지 200여년의 역사가 있으며 중국의 4대 국수(国粹 한 국가나 민족에게 고유한 문화의 정화)의 하나이다. 경극은 종합적인 공연예술로서 "노래,읽기,액션,무용"등의 일체화로 일…(2015-09-07 08:58:46)
고대 양궁 운동 인기글 고대 양궁 운동 "射"는 중국 고대 6예(六藝)중의 하나로서 체육활동일 뿐만 아니라 군자의 풍도를 키우는 좋은 방법이라고도 했다. 역사자료의 기재에 의하면 중국 고대의 "사예(射藝, 쏘기 기술)"는 양궁과 탄공(彈弓, 탄알을 쏘는 활) 등 두가지 주요 운동을 포함한다. 그중 양궁은 군사와 수렵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사람들의 중시를 더욱 많이 받아왔다. 양궁은 중국에서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으며 2만8천여년 전에 이미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중국 고대 스포츠 종목의 원조라 할 …(2015-09-07 08:57:44)
월하노인 인기글 월하노인 월하노인은 중국 민간전설중에서 사람들의 혼인을 전문 관리하는 신으로 전해진다. 월하노인이 혼인을 맺어주는 전설은 다양한 버전으로 민간에 널리 전해지고 있다. "부생육기浮生六记)"에서는 월하노인의 모습에 대해 "한 손에는 붉은색 실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혼인기록부를 들고 있으며 백발홍안이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중국 많은 지방에는 월하노인사당이 있어 사람들의 행복과 사랑을 비는 제1 선택지로 주목받고 있다. 항주 서호 백운암 우측의 월노각(月老阁)에는 …(2015-09-07 08:57:02)
그릇과 젓가락에 담긴 문화(2) 인기글 그릇과 젓가락에 담긴 문화(2)동양 지혜의 정수- 젓가락 젓가락 지혜는 중국의 독특한 문화로서 중국 유구한 문명을 상징하며 중화민족의 5천년 역사를 농축한 것이다. 젓가락은 저(箸)라고도 불리며 세계적으로 공인하는 독특한 식기 중의 하나이다. 포크와 나이프를 주로 사용하는 유럽인들에 있어서 젓가락 사용은 일정한 난이도가 있지만 일단 그 사용법을 장악하면 커다란 재미를 느끼게 된다. 때문에 서양 학자들은 젓가락을 동양문명의 오래된 대표로 여기고 있으며 화하민족 지혜의 결정체라고도 한다. 중국은 젓가…(2015-09-07 08:56:03)
그릇과 젓가락에 담긴 문화(1) 인기글 그릇과 젓가락에 담긴 문화(1)중국은 일찍 신석기시대 그릇을 사용할 줄 알았다. 중국인이 사용하는 그릇은 주로 골회자기이며 그중 붉으색 "만수무강" 및 푸른색과 흰색 무늬 그릇은 집집마다 갖춰져 있기에 중국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거의 모두 전통식 그릇을 소유하고 있다. 그릇은 사람들의 일상행활에 필수적인 식기로서 신석기시대의 도자기 그릇과 여전히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외형상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은 반면 그릇은 재료와 공예기술 및 장식수단이 줄곧 변화발전해 왔다. 최초의 그릇은 도자기로 만…(2015-09-07 08:55:22)
중국 위구르족의 수놓이 인기글 중국 위구르족의 수놓이 전통복위구르족은 꽃을 각별히 좋아한다. 그들은 꽃을 기르고 심을 뿐만 아니라 꽃무늬를 옷에 수놓아 생활에 정취를 더하고 있다. 위구르족의 수놓이 전통복을 위구르어로 "칸시트리커쿼이나이크"라고 부른다. 부녀들이 입는 긴 상의와 짧은 상의, 조끼, 치마, 속옷, 바지 등 모든 옷에는 꽃무늬가 수놓여져 있다. 심지어 남자가 입는 복장에도 꽃무늬가 수놓여져 있다. 위구르족 부녀들의 복장은 디자인이 다양하며 수놓은 꽃무늬도 풍부하고 화려하다. 옷 소재는 실크, 무명벨벳, 골드 …(2015-09-07 08:54:15)
홍콩, 마카오 언론 습근평 주석의 연설 높이 평가 인기글 홍콩, 마카오 언론 습근평 주석의 연설 높이 평가 습근평(習近平)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 총서기, 국가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전쟁승리 70주년 기념대회에서 한 연설과 관련해 홍콩과 마카오 언론들은 연일 가장 유표한 자리를 할애해 보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도는 연설은 대국의 품위를 보여주었음은 물론 역사를 명기하고 치욕을 잊지 말아야 함을 표현했고 또 세계평화를 수호하려는 강한 의지도 보여주었다고 높이 평가했습니다. '대공보'는 논평에서 습근평 주석이 기념대회에서 …(2015-09-07 08:53:13)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