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상(商) 관습
중국의 상(商) 관습
현재 중국의 경제실력과 향후의 시장 잠재력이 나날이 커지고 있고 많은 기업인들이 중국 시장을 다시 찾고 있다. 그러나 최소한의 중국인과 중국기업문화에 대한 기초나 이해가 없이 진출한 연유로 인해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여기에서는 중국인들과 교류할 시 참고할 만한 에티켓(중국인들의 입장에서 본)과 중국기업 문화적인 요소를 정리해 보았다.
1. 약속하기
약속시간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비지니스 미팅은 말할 것도 없고 사교장에 있어 서도 결코 늦…(2015-07-20 09:37:54)
|
|
중국 공산당 당원수는 한국 인구의 1.5배
중국의 공산당 당원수가 우리나라 인구수(4,800만명)의 약 1.5배인 7,415만3,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반(半)관영 통신 중국신문사는 30일 중국공산당중앙당역사연구실 리중제(李忠杰) 부주임의 말을 인용해 "지난 2007년까지 중국의 공산당 당원은 모두 7,415만3,000명이었고, 연간 평균 1,000만명의 사람들이 입당을 신청하고 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2007년의 경우 모두 1,950만6,000명의 중국인이 공산당에 가입했으며, 공산당 조직은 모두 366만 …(2015-07-20 09:37:26)
|
|
중국 접대 문화의 이해...
중국의 접대문화는 우리의 그것과는 정말 다르다. 그런데도 중국에서의 우리네 접대문화는 한국에서와 너무 같다. 문제는 우리끼리라는 것이 문제인데, 그것이 바로 우리가 받는 비난의 주 요인이기도 하다. 밤이면 힘이 솟는 우리가 중국인들에게도 그것을 요구한다면 그것도 조금은 문제일 것 같다는 게 내 소신이기도 하다. 어느 정도는 우리 것을 요구하고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과 정면으로 충돌하거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면 자제를 하는 것도 좋다고 본다. 내가 처음에 이곳에 왔을 때…(2015-07-20 09:37:01)
|
|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술, 담배는
술과 담배는 중국인들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우리들이 술잔을 부딪치며 외치는 ‘건배’도 중국에서 건너온 말이다. 중국에서 술과 담배를 권한다는 ‘징주(敬酒)’, ‘징옌(敬煙)’이라는 말은 사회생활 중 윤활유 같은 기능을 한다. 그렇다면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술과 담배는 뭘까 살펴봤다. 우선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술은 뭐니뭐니해도 마오타이주(茅台酒)다. ◇백주의 한 종류=마오타이주는 보드카, 소주와 같은 증류주다. 중국산 증류주는 모두 백주(白酒)라 부른다. 마오타이주도 백주의 하나…(2015-07-20 09:36:29)
|
|
와인과 중국음식의 궁합은?
와인과 치즈 그리고 와인과 스테이크의 어울림과 그윽한 향은 생각만으로도 행복감을 가져다 준다. 음식에 와인을 곁들일 때 고기류는 레드와인, 흰살 생선류는 화이트와인과 함께 먹는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상식이다. 그렇다면 중국음식에는 과연 어떤 와인이 제격일까?위클리홍콩은 홍콩관광청이 Hong Kong Food & Wine Year를 맞아 홍콩주재 외신기자를 초청해 홍콩요리학교에서 가진 홍보행사에 참석, 20여 년간 와인 연구와 음식과 와인의 궁합에 대해 고민하고 조사해 온…(2015-07-20 09:35:05)
|
|
중국 역사 속 위인들의 지혜
운도 지지리 없는 놈이라고 하늘의 무심함을 탓하지 말라! 내가 수십년간 낚시를 벗하며 때를 기다리는 동안 조강지처마저 나를 버리고 도망가 버렸다. 검은 머리가 백발이 되고서야 문왕 서백을 만나 은나라 주왕(紂王)을 멸하고 주나라를 세웠다.나는 숱한 세월을 낚으며 늙은이가 되었지만 결코 하늘을 원망하거나 포기하지 않았고 그 인내의 결실이었던 단 한번의 기회로도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 주나라 태공망 강태공(姜太公) -용모가 볼품없어서 되는 일이 없다고 푸념하지 말라!나는 어렸을때 보잘것 없는…(2015-07-20 09:34:21)
|
|
황매 오조사, 중국 선(禅)문화가 피어난 곳
황매 오조사, 중국 선(禅)문화가 피어난 곳호북성(湖北省) 황매현(黃梅縣)은 중국 5대 전통극 중의 하나인 황매극(黃梅戲)원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실 이곳에는 또 다른 거대한 문화보물고 오조사(五祖寺)가 자리잡고 있다. 오조사는 중국 선종(禪宗)의 발원지이다. 오조사는 호북성 황매현 동쪽으로 12킬로미터 떨어진 동산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제5조 홍인선사의 수행처였고 제6조 혜능선사가 의불을 물려받은 곳이기도 하다. [음향1 일개법사(日開法師)] "오조사는 총 3개 …(2015-07-16 09:36:50)
|
|
문방오보 도장, 그 속에 깃든 한자이야기
문방오보 도장, 그 속에 깃든 한자이야기진위하의 작업대 신분의 식별과 상징이 점차 디지털화, 정밀화되면서 지문식별, 성문(聲紋)식별, 홍채식별 등등 안전한 시스템이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최근 자신을 증명하는 더욱 준확하고 효과적인 방식이 나타나면서 전통적인 신분 상징물이 자신의 최초기능을 잃은채 문화 혹은 예술의 부호로 남겨졌다. 중국의 도장문화가 바로 그 중의 하나이다. 도장조각 문화는 무형문화재로 남아 극소수 예술가들이 외롭게 전승하는데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고 서예전각예술가 진위하(陳威遐)가…(2015-07-16 09:35:50)
|
|
단오절 유래에 대한 5가지 설은?
단오절 유래에 대한 5가지 설은? 음력 5월 5일은 중국 민간 전통명절 단오절이다. 중화민족의 전통명절인 단오절은 춘추전국 시기부터 시작해 약2000여년간 지속되어 왔다. 단오절의 유래에 관한 가장 보편적인 설은 굴원설과 오자서(伍子胥)설이다. 사실 이외에도 민간에는 조아(曹娥)설, 삼대 하지절설, 독월악일(毒月惡日) 축출설, 오월민족 토템제설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전설들이 있다. 이런 전설은 중국의 일부 지역에서만 전해지고 있다. 전설1 동한 효녀 조아 기념설 절강 소흥(绍Ð…(2015-07-16 09:34:58)
|
|
축소형 고대건물, 역사의 기억을 남기다
축소형 고대건물, 역사의 기억을 남기다 유중 고대건물모형 제작기예전습실에서 정무명이 축소형 고건물의 변두리를 살펴보고 있다. 정무명(丁武明)은 감숙성(甘肅省) 유중현(榆中縣)에서 이름난 "솜씨꾼"이다. 유중현 하관영진(夏官營鎮)의 목수집안에서 태어난 정무명은 17세부터 어른들을 따라 목공일을 배웠다. 20세기 80년대 고층건물이 우훅죽순마냥 세워지는 것을 보고 정무명은 중국 고대건물 공예기법의 소중함을 피부로 느꼈다. 그때 축소형 고대 건물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그의 뇌…(2015-07-16 09:34:15)
|
|
중국 위구르족의 수놓이 전통복
중국 위구르족의 수놓이 전통복
위구르족은 꽃을 각별히 좋아한다. 그들은 꽃을 기르고 심을 뿐만 아니라 꽃무늬를 옷에 수놓아 생활에 정취를 더하고 있다. 위구르족의 수놓이 전통복을 위구르어로 "칸시트리커쿼이나이크"라고 부른다. 부녀들이 입는 긴 상의와 짧은 상의, 조끼, 치마, 속옷, 바지 등 모든 옷에는 꽃무늬가 수놓여져 있다. 심지어 남자가 입는 복장에도 꽃무늬가 수놓여져 있다. 위구르족 부녀들의 복장은 디자인이 다양하며 수놓은 꽃무늬도 풍부하고 화려하다. 옷 소재는 실크, 무명벨벳, 골…(2015-07-16 09:33:38)
|
|
외강내유의 백년 "오산철자(吳山鐵字)"
외강내유의 백년 "오산철자(吳山鐵字)" "오산철자" 무형문화재 전승인 정서산(鄭書山)이 작업실에서 철자(鐵字)를 수식하고 있다. "오산철자(吳山鐵字)"는 안휘성(安徽省)의 무형문화유산이다. 안휘성 장풍현(長豐縣) 오산진(吳山鎮)에서 발원된 "오산철자"는 백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철자의 제작공예는 망치로 붓을 대신하고 철로 묵을 대신해 두드려 완성한다. 수공 냉간 단조로 지묵서예 중의 들기, 누르기, 꺾기, 마르기 등 전통기법을 철공예제작과 결부해 독특한 서예 예술효과…(2015-07-16 09:32:54)
|
|
마윈 모교 장강상학원 총장 "중국의 세계화 아닌 세계의 중국…
마윈 모교 장강상학원 총장 "중국의 세계화 아닌 세계의 중국화가 목표"▲ 샹 빙 장강상학원(Cheung Ko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총장“많은 사람들이 중국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안다고 생각하는 내용조차 편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 많습니다.”중국의 명문 비즈니스스쿨(MBA) 장강상학원(Cheung Ko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을 이끌고 있는 샹 빙(項兵) 총장의 이야기다. 장강상학원은 아시아 최고…(2015-07-16 09:23:50)
|
|
복달임 음식’이 필요한 중소기업
복날은 여름철 중에서도 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시기로 7월에서 8월 사이에 열흘 간격으로 찾아오는 초복, 중복, 말복의 삼복을 복날이라고 한다. 이러한 복날은 고대 중국의 진(秦) 시대에 왕이 신하들에게 고기를 나누어 주던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먹을 것이 마땅치 않았던 농민들이 무더위를 잘 견디고 농사를 열심히 지을 수 있도록 육식을 하던 풍습이 굳어져 지금의 모습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우리의 조상들은 복날이 되면 보신을 하고자 삼계탕이나 육개장과 같은 특별한 음식을 장만하여 먹거나 더위를…(2015-07-16 09:21:44)
|
|
중국의 황제가 좋아하는 숫자 "9"
중국 고대에서 9는 홀수중 가장 큰 수자로서 보통 제왕과 관련된 모든 사물은 9와 관계되었다. 제왕의 지위를 "九五"라고 하고 제왕을 "九五之尊"이라고 부른다. 그 외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九"와 관련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청동기는 "九鼎"이 있고 황제주위에는 "구경(九卿)"을 설립한다. 조정의 관원들은 지위가 "九品中正"으로 나뉘어 있고 고대 중국의 수도는 九門이 있다. 자금성의 방은 모두 9990.5칸으로 이루어졌다.
중국 자금성 및 황가원림, 행궁의 대문 등은 모두…(2015-07-13 09:3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