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근로자 '고르는' 시대는 가고 '모시는' 시대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01-13 11:42|본문
중국 저장성에 있는 어느 회사에서 사장을 비롯한 간부 직원들이 매일 아침 출근하는 사원들에게 아침 인사하는 광경이다.
이 회사는 약 7개월 전부터 아침인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사진을 보면 20여 년 전 한국에서 몇몇 회사 공장에서 공장장 이하 간부사원들이 직원들 보다 30분 정도 일찍 출근해서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인사를 했던 기억이 난다.
사진이 뜻하는 바는 중국도 이제는 회사가 직원들을 소모품 다루듯이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도 생산직 사원 구하기가 힘들어 졌고 사원을 면접을 해서 골라 뽑는 시대는 작년 중반부터 사라졌다.
이제는 생산직 사원들이 어느 지방의 최저임금이 더 높은지, 또 같은 지역이라도 이 회사, 저 회사로 다니면서 어느 회사의 급여가 높은지, 어디가 작업환경이 좋은지를 살펴보고 회사를 고르는 시대로 바뀌었다 .
각 지방정부는 농민공들을 자기 지방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듯하다. 물론 지방정부가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급여가 급등하는 물가를 따라 잡도록 하고 내수진작의 목적이 있기는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농민공들이 어느 지방의 최저임금이 높은지를 손바닥 들여다 보듯이 잘 알게 된 사정도 한 몫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시는 지난 12월 27일 2011년 1월 1일부로 월 최저임금을 기존 960위안에서 20.8% 인상한 1,160위안으로 올린다고 밝혔다. 또한 파트타임 근로자의 1일 최저임금도 시간당 현행 11위안에서 13위안으로 조정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베이징의 최저임금 1,160위안은 사회보험료를 공제한 후의 최저임금이기 때문에 다른 도시의 최저임금 계산방법으로 환산하면 1,400에 해당하고 톈진의 현재 최저임금 920위안과 비교하면 약 52%가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올해 베이징을 시작으로 각 지방도시마다 최저임금의 경쟁적 인상이 잇따를 전망이며 이같은 현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질 것이다.
이제는 중국에서 내수 사업을 하거나 고객사의 중국 진출로 동반 진출한 회사 외 저렴한 인건비를 바라고 사업을 하는 분들이나 단순 위탁 가공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재검토해 볼 시기가 된 것 같다.
지난 1월 4일 크레디트스위스그룹이 중국의 미래 5년간 변화를 전망하면서 중국의 임금수준이 매년 19%씩 올라 5년 뒤 임금증가율이 139%에 달하면서 GDP증가율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중국 노동시장은 노동력 증가율이 대폭 감소해 지난 10년간 증가율이 1.3%였던 것이 이후 5년간 매년 0.3%수준에 그칠 것이라면서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예고했다.
이 회사는 약 7개월 전부터 아침인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사진을 보면 20여 년 전 한국에서 몇몇 회사 공장에서 공장장 이하 간부사원들이 직원들 보다 30분 정도 일찍 출근해서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인사를 했던 기억이 난다.
사진이 뜻하는 바는 중국도 이제는 회사가 직원들을 소모품 다루듯이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도 생산직 사원 구하기가 힘들어 졌고 사원을 면접을 해서 골라 뽑는 시대는 작년 중반부터 사라졌다.
이제는 생산직 사원들이 어느 지방의 최저임금이 더 높은지, 또 같은 지역이라도 이 회사, 저 회사로 다니면서 어느 회사의 급여가 높은지, 어디가 작업환경이 좋은지를 살펴보고 회사를 고르는 시대로 바뀌었다 .
각 지방정부는 농민공들을 자기 지방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적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듯하다. 물론 지방정부가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급여가 급등하는 물가를 따라 잡도록 하고 내수진작의 목적이 있기는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농민공들이 어느 지방의 최저임금이 높은지를 손바닥 들여다 보듯이 잘 알게 된 사정도 한 몫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시는 지난 12월 27일 2011년 1월 1일부로 월 최저임금을 기존 960위안에서 20.8% 인상한 1,160위안으로 올린다고 밝혔다. 또한 파트타임 근로자의 1일 최저임금도 시간당 현행 11위안에서 13위안으로 조정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베이징의 최저임금 1,160위안은 사회보험료를 공제한 후의 최저임금이기 때문에 다른 도시의 최저임금 계산방법으로 환산하면 1,400에 해당하고 톈진의 현재 최저임금 920위안과 비교하면 약 52%가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올해 베이징을 시작으로 각 지방도시마다 최저임금의 경쟁적 인상이 잇따를 전망이며 이같은 현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질 것이다.
이제는 중국에서 내수 사업을 하거나 고객사의 중국 진출로 동반 진출한 회사 외 저렴한 인건비를 바라고 사업을 하는 분들이나 단순 위탁 가공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재검토해 볼 시기가 된 것 같다.
지난 1월 4일 크레디트스위스그룹이 중국의 미래 5년간 변화를 전망하면서 중국의 임금수준이 매년 19%씩 올라 5년 뒤 임금증가율이 139%에 달하면서 GDP증가율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중국 노동시장은 노동력 증가율이 대폭 감소해 지난 10년간 증가율이 1.3%였던 것이 이후 5년간 매년 0.3%수준에 그칠 것이라면서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