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 회칙, 규약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1-01-24 10:03|본문
정관, 회칙, 규약 얼마 전 어떤 창단모임에 참석하였는데 마침 회칙을 검토하고 의결하는 과정에서 정관과 회칙의 차이점을 질문 받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정관(定款)의 관(款)은 조문이나 조항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내용들을 조항으로 나누어 규정(定)한다는 의미로서 중국용어로는 장정(章程; 글 장, 법 정)이라고 하는데 풀이하면 ‘규칙을 문자로 정리’하였다는 뜻이다. 회칙(會則)은 말 그대로 ‘모임의 규칙’을 의미하며, 규약(規約)은 규정 규(規)와 맺을 약(約) 즉 약속을 규정화 하였다는 의미가 된다.
성격적으로는 계약(契約)이 두 사람 간(이를 법률용어로 당사자라 함)의 약속이라면 정관이나 회칙은 다수 간의 약속(규칙)을 의미하며, 일반계약이 상호 반대방향에 의사의 합치를 의미한다면 정관은 같은 방향에 의사의 합치를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으며, 3개의 용어는 모두가 같은 의미로서 현행법 상 어떠한 모임에 어떠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이 없으므로 제목에 어느 단어를 쓰던 관계가 없다.
현실적으로는 일반적인 모임 즉 동창회나 동호회에는 회칙이라는 제목을 사용하며, 종친회나 조합 등에는 규약이라는 용어를 쓰는데, 다만 정관은 법인설립 등의 법규에 용어와 필요적 기재사항이 규정되어 있는 관계로 비교적 규모가 큰 단체에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규정은 그 단체의 목적과 명칭. 사무소의 소재지. 활동(사업)내용. 조직과 임원의 구성. 정기 및 임시회의와 의결정족수. 회비와 자산의 운용 등이 기재되는데, 특별한 양식이 없으므로 인터넷의 각 종 단체에 회칙을 참조하여 작성하면 된다.
참고할 점은, 단체규정의 성격 상 제일 먼저 최고의결기구를 먼저 구상한 후 집행부와 실질적인 감사기구의 역할을 적당히 배분 함으로서 향후 운영에 있어서 상호 견제가 되도록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잡음을 피할 수 있는 예방책이 될 수 있다.
정관(定款)의 관(款)은 조문이나 조항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내용들을 조항으로 나누어 규정(定)한다는 의미로서 중국용어로는 장정(章程; 글 장, 법 정)이라고 하는데 풀이하면 ‘규칙을 문자로 정리’하였다는 뜻이다. 회칙(會則)은 말 그대로 ‘모임의 규칙’을 의미하며, 규약(規約)은 규정 규(規)와 맺을 약(約) 즉 약속을 규정화 하였다는 의미가 된다.
성격적으로는 계약(契約)이 두 사람 간(이를 법률용어로 당사자라 함)의 약속이라면 정관이나 회칙은 다수 간의 약속(규칙)을 의미하며, 일반계약이 상호 반대방향에 의사의 합치를 의미한다면 정관은 같은 방향에 의사의 합치를 의미한다는 차이가 있으며, 3개의 용어는 모두가 같은 의미로서 현행법 상 어떠한 모임에 어떠한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이 없으므로 제목에 어느 단어를 쓰던 관계가 없다.
현실적으로는 일반적인 모임 즉 동창회나 동호회에는 회칙이라는 제목을 사용하며, 종친회나 조합 등에는 규약이라는 용어를 쓰는데, 다만 정관은 법인설립 등의 법규에 용어와 필요적 기재사항이 규정되어 있는 관계로 비교적 규모가 큰 단체에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규정은 그 단체의 목적과 명칭. 사무소의 소재지. 활동(사업)내용. 조직과 임원의 구성. 정기 및 임시회의와 의결정족수. 회비와 자산의 운용 등이 기재되는데, 특별한 양식이 없으므로 인터넷의 각 종 단체에 회칙을 참조하여 작성하면 된다.
참고할 점은, 단체규정의 성격 상 제일 먼저 최고의결기구를 먼저 구상한 후 집행부와 실질적인 감사기구의 역할을 적당히 배분 함으로서 향후 운영에 있어서 상호 견제가 되도록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잡음을 피할 수 있는 예방책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