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집중적 연구 올해 총 200여편 제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06-20 09:37|본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영화계에도 민영자본들이 들어오고 있어 침체된 분위기가 반전되고 있습니다.”
중국 영화인협회(電影家協會) 캉젠민(康健民·49) 부주석은 199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 할리우드 대작들의 공세와 TV, 컴퓨터 게임 열풍 등으로 영화산업이 최대 고비를 맞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는 “영화산업 육성에 대한 중국 정부의 확고한 정책으로 중국 영화계가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중 영화합작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며 “중국 영화인들은 왜 중국인들이 한국 영화를 좋아하는지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중국 영화계 현황은.
-전국적으로 영화산업 종사자는 약 30만명이다.90년대 매년 평균 100편 정도의 영화가 제작됐으나 지난해는 146편, 올해는 200편이 넘을 것 같다.
그동안 국영기업에서 영화를 제작했지만 2000년부터 민영기업에서 영화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현재 3분의1 정도가 민영기업에서 제작된다. 앞으로도 국영기업의 비율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지난해 매표 수입은 10억위안(1500억원)이다.
중국 영화의 특징은.
-한마디로 민족성과 전통 문화에 기반을 두고 다양성을 추구한다고 보면 된다. 관중들의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 한국 영화가 역동적이라면 중국 영화는 문화·예술성을 강조해 왔다. 최근 들어 ‘관중과 현실에 접근한다.’는 원칙이 중국 영화의 새로운 제작 방향이다. 이런 의미에서 장이머우(張藝謀) 등 5세대를 잇는 6세대 신예 감독들은 개성과 현실을 추구하고 있다.
영화에 대한 심사 기준은.
-국유기업의 경우 상급기관에서 기획해 작가들이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국가심사위원회에 제출, 심의를 통과해야 영화가 만들어진다. 제작자가 허가증을 받고 나서 감독과 배우를 모아 영화를 찍고 일반인들에게 상영되는 수순을 밟는다.
심사위원회에서 체제와 성(性)·폭력의 표현 정도 등에 따라 상영 여부를 결정한다. 심사위원회를 통과하지 못한 영화를 ‘지하영화’라고 하는데 외국시장에 유통되거나 상영될 경우 책임자를 엄격하게 처벌한다.
중국 영화인협회(電影家協會) 캉젠민(康健民·49) 부주석은 199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 할리우드 대작들의 공세와 TV, 컴퓨터 게임 열풍 등으로 영화산업이 최대 고비를 맞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그는 “영화산업 육성에 대한 중국 정부의 확고한 정책으로 중국 영화계가 서서히 기지개를 켜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중 영화합작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며 “중국 영화인들은 왜 중국인들이 한국 영화를 좋아하는지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중국 영화계 현황은.
-전국적으로 영화산업 종사자는 약 30만명이다.90년대 매년 평균 100편 정도의 영화가 제작됐으나 지난해는 146편, 올해는 200편이 넘을 것 같다.
그동안 국영기업에서 영화를 제작했지만 2000년부터 민영기업에서 영화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현재 3분의1 정도가 민영기업에서 제작된다. 앞으로도 국영기업의 비율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지난해 매표 수입은 10억위안(1500억원)이다.
중국 영화의 특징은.
-한마디로 민족성과 전통 문화에 기반을 두고 다양성을 추구한다고 보면 된다. 관중들의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 한국 영화가 역동적이라면 중국 영화는 문화·예술성을 강조해 왔다. 최근 들어 ‘관중과 현실에 접근한다.’는 원칙이 중국 영화의 새로운 제작 방향이다. 이런 의미에서 장이머우(張藝謀) 등 5세대를 잇는 6세대 신예 감독들은 개성과 현실을 추구하고 있다.
영화에 대한 심사 기준은.
-국유기업의 경우 상급기관에서 기획해 작가들이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국가심사위원회에 제출, 심의를 통과해야 영화가 만들어진다. 제작자가 허가증을 받고 나서 감독과 배우를 모아 영화를 찍고 일반인들에게 상영되는 수순을 밟는다.
심사위원회에서 체제와 성(性)·폭력의 표현 정도 등에 따라 상영 여부를 결정한다. 심사위원회를 통과하지 못한 영화를 ‘지하영화’라고 하는데 외국시장에 유통되거나 상영될 경우 책임자를 엄격하게 처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