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성의 "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30 11:06|본문
베이징은 "里"자가 들어가는 지명이 많은데 가장 유명한 것은 "和平里"와 "平安里"이다. 이러한 지명은 "오래된"것이면서도 "젊은" 특징을 갖고 있다. "오래" 되었다는 것은 "里"자가 중국 지명중의 통용명으로 된 역사가 2000여년이 되었기때문이고, "젊은" 원인은 베이징시 구역의 "里"자가 들어가는 지명이 대부분 50~60년의 역사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里"는 중국 고대 도시 주민들의 집거지로서 최초 농촌의 집거형식으로 돼 있다가 점차 도시에로 이동되었는데 "坊"이라고도 부른다. 도시중 최초의 "里"는 모 거주구역의 평면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되었으며 주위에는 성벽이 싸여있고 큰 성문이 있는데 성내에는 주민주택이 줄지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같은 "리방제(里坊制)" 도시는 춘추, 전국시기에 시작되었으며 서한, 당조때에 성행했다. 서한시기 장안성내에는 160개 "里"가 있었는데 성북 및 장낙궁, 미앙궁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다. 수당시기에 이르러 성내의 "里"를 "坊"으로 고쳤는데 장안성내에는 110개 "坊"이 있었다. 북송이후로는 육속 성벽을 허물게 되었으며 봉쇄식 "리방제"는 이로서 끝나게 되었다. 금조로부터 청조초기에 이르기까지 "里"는 지역관리형식으로 베이징 주변지역에서 출현한적이 있었는데 청조말기에 이르러 취소되었다. "里"가 지명중의 통용명으로 되어 베이징 지역 주변에서 출현하게 된 것은 민국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벽이나 성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역의 이름으로만 존재했다. 특히 최근 50~60년래, 베이징에서 "里"자가 들어간 지명이 300~400개로 발전되었다.
베이징에서 "里"자가 들어간 지명을 관찰해보면 아래 몇가지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1. 대부분 베이징성의 주변 즉 2환과 5환로 사이에 집중되어 있으며 2환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20세기 50년대 이후에 형성한 주민구역으로 되어 있다.
2. 같은 구역내에 자리잡고 있지만 방향과 위치가 다름에 따라 이름도 약간의 구분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육혜리, 육혜동리, 육혜남리, 육혜서리, 육혜북리 등이다.
3. 부근의 마을, 거리, 풍경구 등에 근거해 이름을 지었다. 예를 들면 취미리(翠微里)는 취미로와 가까이 하고 있기때문에 이름을 취미리라고 지었다.
"里"는 중국 고대 도시 주민들의 집거지로서 최초 농촌의 집거형식으로 돼 있다가 점차 도시에로 이동되었는데 "坊"이라고도 부른다. 도시중 최초의 "里"는 모 거주구역의 평면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되었으며 주위에는 성벽이 싸여있고 큰 성문이 있는데 성내에는 주민주택이 줄지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같은 "리방제(里坊制)" 도시는 춘추, 전국시기에 시작되었으며 서한, 당조때에 성행했다. 서한시기 장안성내에는 160개 "里"가 있었는데 성북 및 장낙궁, 미앙궁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다. 수당시기에 이르러 성내의 "里"를 "坊"으로 고쳤는데 장안성내에는 110개 "坊"이 있었다. 북송이후로는 육속 성벽을 허물게 되었으며 봉쇄식 "리방제"는 이로서 끝나게 되었다. 금조로부터 청조초기에 이르기까지 "里"는 지역관리형식으로 베이징 주변지역에서 출현한적이 있었는데 청조말기에 이르러 취소되었다. "里"가 지명중의 통용명으로 되어 베이징 지역 주변에서 출현하게 된 것은 민국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벽이나 성문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역의 이름으로만 존재했다. 특히 최근 50~60년래, 베이징에서 "里"자가 들어간 지명이 300~400개로 발전되었다.
베이징에서 "里"자가 들어간 지명을 관찰해보면 아래 몇가지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1. 대부분 베이징성의 주변 즉 2환과 5환로 사이에 집중되어 있으며 2환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20세기 50년대 이후에 형성한 주민구역으로 되어 있다.
2. 같은 구역내에 자리잡고 있지만 방향과 위치가 다름에 따라 이름도 약간의 구분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육혜리, 육혜동리, 육혜남리, 육혜서리, 육혜북리 등이다.
3. 부근의 마을, 거리, 풍경구 등에 근거해 이름을 지었다. 예를 들면 취미리(翠微里)는 취미로와 가까이 하고 있기때문에 이름을 취미리라고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