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조에 달한 중국의 ‘O2O 시장’ 들여다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6-03-01 17:15|본문
최고조에 달한 중국의 ‘O2O 시장’ 들여다보기
충칭특파원=강병구 기자

▲ 잘나가는 중국의 O2O시장.
시장 규모 84조…세계 최고, 최대의 O2O시장을 갖춘 중국
BAT의 막강한 O2O 시장 공략…불붙는 'O2O 대전'
심각한 출혈경쟁으로 점차 진행되는 레드오션화 부작용 속출
시장 규모 84조…세계 최고, 최대의 O2O시장을 갖춘 중국
BAT의 막강한 O2O 시장 공략…불붙는 'O2O 대전'
심각한 출혈경쟁으로 점차 진행되는 레드오션화 부작용 속출
온라인으로 결제하고 오프라인으로 직접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O2O(Online to offline)’ 열기가 전 세계적으로 뜨겁다.
'O2O(Online to Offline)’란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점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오프라인에서의 비즈니스 기회를 온라인과 결합시켜 유효한 구매 집단을 한데 모으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비용을 지급한 뒤 다양한 형태의 증거물을 가지고 현장으로 가서 실질적인 상품 혹은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특히 세계 최대의 O2O시장을 자랑하는 중국의 시장 규모는 지난 2011년 500억 위안에서 2015년 4600억 위안(약 84조 2500억 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O2O산업에서 중국은 이미 완벽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모바일을 통해 세뱃돈을 보내거나, 택시를 부르거나,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등 중국에선 이미 사람들의 생활에 깊숙이 침투해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다.
실제 중국 경제 매체 재경(財經)의 조사에서는 6억 유저를 자랑하는 텐센트의 국민 메신저인 위챗(wechat) 사용자의 100%가 O2O서비스를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 조사 결과만 봐도 중국 O2O서비스가 얼마나 성숙했는지 알 수 있다.
]
■ 6억명이 시켜먹은 ‘음식배달’ O2O 서비스
그렇다면 중국 사람들이 O2O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무엇일까? 텐센트가 매년 발표하는 ‘트렌드 보고서 2016’의 통계에 따르면 ‘음식배달’ 서비스가 56.6%로 부동의 1등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택시차량공유(33.7%), 여행숙박(31.7%)가 뒤를 이었다.
중국에선 배달음식을 흔히 ‘와이마이(外賣)’라고 하는데 메이퇀와이마이, 어러머(饿了么), 바이두와이마이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15년 O2O시장 음식배달 건수는 1/4분기 2억1150만 건, 2/4분기 3억5060만 건으로 45.3%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특히 2015년 O2O 외식업계 1위인 '메이퇀(美团)'은 일일 주문량 300만 건을 돌파했을 뿐만 아니라 2015년 거래총액 1800억 위안(약 33조9천억 원)으로 누적 가입자 6억 명을 돌파했다. 휴대폰을 쓰는 중국 인구가 6억2천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모바일 인구의 90%이상이 O2O를 통해 배달음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 O2O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하는 ‘BAT 대전’
지난해 10월 중국 O2O시장에서 하나의 빅뉴스가 흘러나왔다.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각각 대주주로 있는 O2O시장 점유율 1위, 2위인 중국 최대 소셜커머스 업체인 메이퇀과 식당리뷰 서비스 따종디엔핑이 ‘메이퇀디엔핑’이란 새로운 기업으로 합병을 했다는 소식이다.
업계 1,2위 업체 간 합병을 통해 바이두 산하의 소셜커머스 서비스인 누오미(糯米)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현재 바이두 누오미는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 13.6%로 3위로 올라선 상태다.
하지만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연합은 채 두 달도 되지 않아 결렬되었는데, 이유는 알리바바가 ‘메이퇀디엔핑’의 보유지분 7%를 매각했기 때문이다. 알리바바가 지분 매각을 결정한 이유는 자신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음식배달플랫폼 코우베이(口碑)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서 라고 알려졌다.
결국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결별로 중국 O2O시장은 또 다시 사실상 바이두(누오미), 알리바바(코우베이), 텐센트(메이퇀디엔핑)의 BAT 3강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BAT 3강은 O2O시장에 대한 투자 경쟁이 치열하다. 알리바바는 음식배달업계 2위인 ‘어러머’에 12억5천만 달러(1조5천억 원)를 투자해 최대주주로 올라섰고, 바이두는 지난해 여름 O2O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 3년간 모두 32억 달러(3조9천억 원)를 ‘누오미’에 쏟아 붓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에 반해 텐센트는 기존의 자사 SNS인 ‘위챗(wechat)’을 종합 O2O서비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노력중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국회의원 격인 인민대표자격을 갖춘 텐센트의 마화텅 회장은 공적영역에서 특화된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마화텅 회장은 "인터넷 스마트 시티"의 전략구도 하에서 교통, 교통관리, 호적 행정, 출입국, 세금납부, 공기금등 다양한 방면의 공적 서비스를 결합해 국민메신저인 위챗을 종합 O2O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 O2O의 레드오션화 조짐…출혈경쟁, 투자유치 감소 등 문제점 속출
O2O시장이 승승장구하는 동안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바로 업체간 출혈경쟁으로 인해 시장의 레드오션화 조짐이 보이고고 있기 때문이다.
O2O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신규 사업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액 보조금을 통해 신규 소비자를 유치하는 방식은 심각한 자본 잠식을 초래했다. O2O기업 대부분은 이윤 창출능력이 떨어져 경영을 지속하기 어려워졌다.
실제로 세차 O2O서비스인 ‘카8’은 보통 20~30위안인 세차비용을 10위안까지 낮춰 단기간에 고객을 끌여들였지만 문제는 그것이 원가 17위안에도 턱없이 못 미쳐 제살을 깎아먹었다는 점이다. 7위안의 손해를 감수한 사업확장은 유사 앱 출현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손실로 투자금을 모두 날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같은 출혈경쟁으로 O2O 업체들이 제대로 수익을 내지 못하자 이들 업체에 투자한 벤처캐피털 투자가들도 속속 손을 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규투자도 줄어들면서 돈줄이 막히게 되고, 돈줄이 막히니 사업 유지는 더욱 힘들어지는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텐센트가 내놓은 트렌드 보고서는 향후 자본력이 막강한 거대 IT기업들이 O2O시장의 재편을 주도하고, 신규 스타트업 업체들끼리 활발한 인수합병(M&A)을 벌일 것으로 전망했다.
'O2O(Online to Offline)’란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점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오프라인에서의 비즈니스 기회를 온라인과 결합시켜 유효한 구매 집단을 한데 모으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비용을 지급한 뒤 다양한 형태의 증거물을 가지고 현장으로 가서 실질적인 상품 혹은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특히 세계 최대의 O2O시장을 자랑하는 중국의 시장 규모는 지난 2011년 500억 위안에서 2015년 4600억 위안(약 84조 2500억 원)을 넘어섰다. 이처럼 O2O산업에서 중국은 이미 완벽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모바일을 통해 세뱃돈을 보내거나, 택시를 부르거나,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등 중국에선 이미 사람들의 생활에 깊숙이 침투해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다.
실제 중국 경제 매체 재경(財經)의 조사에서는 6억 유저를 자랑하는 텐센트의 국민 메신저인 위챗(wechat) 사용자의 100%가 O2O서비스를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 조사 결과만 봐도 중국 O2O서비스가 얼마나 성숙했는지 알 수 있다.
]
■ 6억명이 시켜먹은 ‘음식배달’ O2O 서비스
그렇다면 중국 사람들이 O2O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무엇일까? 텐센트가 매년 발표하는 ‘트렌드 보고서 2016’의 통계에 따르면 ‘음식배달’ 서비스가 56.6%로 부동의 1등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택시차량공유(33.7%), 여행숙박(31.7%)가 뒤를 이었다.
중국에선 배달음식을 흔히 ‘와이마이(外賣)’라고 하는데 메이퇀와이마이, 어러머(饿了么), 바이두와이마이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15년 O2O시장 음식배달 건수는 1/4분기 2억1150만 건, 2/4분기 3억5060만 건으로 45.3%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특히 2015년 O2O 외식업계 1위인 '메이퇀(美团)'은 일일 주문량 300만 건을 돌파했을 뿐만 아니라 2015년 거래총액 1800억 위안(약 33조9천억 원)으로 누적 가입자 6억 명을 돌파했다. 휴대폰을 쓰는 중국 인구가 6억2천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모바일 인구의 90%이상이 O2O를 통해 배달음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 O2O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하는 ‘BAT 대전’
지난해 10월 중국 O2O시장에서 하나의 빅뉴스가 흘러나왔다.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각각 대주주로 있는 O2O시장 점유율 1위, 2위인 중국 최대 소셜커머스 업체인 메이퇀과 식당리뷰 서비스 따종디엔핑이 ‘메이퇀디엔핑’이란 새로운 기업으로 합병을 했다는 소식이다.
업계 1,2위 업체 간 합병을 통해 바이두 산하의 소셜커머스 서비스인 누오미(糯米)의 성장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현재 바이두 누오미는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 13.6%로 3위로 올라선 상태다.
하지만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연합은 채 두 달도 되지 않아 결렬되었는데, 이유는 알리바바가 ‘메이퇀디엔핑’의 보유지분 7%를 매각했기 때문이다. 알리바바가 지분 매각을 결정한 이유는 자신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음식배달플랫폼 코우베이(口碑)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서 라고 알려졌다.
결국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결별로 중국 O2O시장은 또 다시 사실상 바이두(누오미), 알리바바(코우베이), 텐센트(메이퇀디엔핑)의 BAT 3강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BAT 3강은 O2O시장에 대한 투자 경쟁이 치열하다. 알리바바는 음식배달업계 2위인 ‘어러머’에 12억5천만 달러(1조5천억 원)를 투자해 최대주주로 올라섰고, 바이두는 지난해 여름 O2O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 3년간 모두 32억 달러(3조9천억 원)를 ‘누오미’에 쏟아 붓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에 반해 텐센트는 기존의 자사 SNS인 ‘위챗(wechat)’을 종합 O2O서비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노력중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국회의원 격인 인민대표자격을 갖춘 텐센트의 마화텅 회장은 공적영역에서 특화된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마화텅 회장은 "인터넷 스마트 시티"의 전략구도 하에서 교통, 교통관리, 호적 행정, 출입국, 세금납부, 공기금등 다양한 방면의 공적 서비스를 결합해 국민메신저인 위챗을 종합 O2O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 O2O의 레드오션화 조짐…출혈경쟁, 투자유치 감소 등 문제점 속출
O2O시장이 승승장구하는 동안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바로 업체간 출혈경쟁으로 인해 시장의 레드오션화 조짐이 보이고고 있기 때문이다.
O2O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신규 사업자들이 지속적으로 고액 보조금을 통해 신규 소비자를 유치하는 방식은 심각한 자본 잠식을 초래했다. O2O기업 대부분은 이윤 창출능력이 떨어져 경영을 지속하기 어려워졌다.
실제로 세차 O2O서비스인 ‘카8’은 보통 20~30위안인 세차비용을 10위안까지 낮춰 단기간에 고객을 끌여들였지만 문제는 그것이 원가 17위안에도 턱없이 못 미쳐 제살을 깎아먹었다는 점이다. 7위안의 손해를 감수한 사업확장은 유사 앱 출현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손실로 투자금을 모두 날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같은 출혈경쟁으로 O2O 업체들이 제대로 수익을 내지 못하자 이들 업체에 투자한 벤처캐피털 투자가들도 속속 손을 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규투자도 줄어들면서 돈줄이 막히게 되고, 돈줄이 막히니 사업 유지는 더욱 힘들어지는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텐센트가 내놓은 트렌드 보고서는 향후 자본력이 막강한 거대 IT기업들이 O2O시장의 재편을 주도하고, 신규 스타트업 업체들끼리 활발한 인수합병(M&A)을 벌일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