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경제 '위성'으로 읽는다…위성 이미지가 지표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6-03-14 16:41|본문
中경제 '위성'으로 읽는다…위성 이미지가 지표로
상업위성 이미지로 만든 中 경제지표에 헤지·사모펀드 주목
상업위성 이미지로 만든 中 경제지표에 헤지·사모펀드 주목
김신회 기자 |입력 : 2016.03.14 10:31
글로벌 헤지펀드들이 중국의 경기를 가늠하는 새로운 지표로 인공위성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14일 보도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인 스페이스나우는 최근 중국 위성제조업지수(SMI·Satellite Manufacturing Index)라는 걸 선보였다. 상업위성이 보내온 이미지를 분석해 중국의 제조업 경기를 알려주는 지표다. 중국 전역 6000여곳의 산업현장을 내려다본 위성의 이미지로 재고 움직임이나 새 공장 건설 등 변화를 추적해 제조업 경기를 읽는다. 지수는 상업위성들이 50만㎢에 이르는 지역을 14년동안 관찰한 22억개의 이미지를 기초로 삼는다.
스페이스나우의 중국 SMI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내는 공식 제조업 PMI나 중국 경제 전문지 차이신과 영국 금융정보업체 마킷이 함께 발표하는 민간 제조업 PMI와 비슷한 추세를 나타낸다. 다만 2월 SMI는 48.2로 4년 만에 최저였던 전월에 비해 올랐지만 같은 달 공식 PMI와 민간 PMI는 각각 49, 48로 일제히 더 떨어졌다.
0에서 100까지 점수를 매기는 PMI는 50이 경기확장과 경기위축의 기준선이다. 어찌됐든 세 지표 모두 중국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스타트업(신생벤처기업)인 스페이스나우는 최근 중국 위성제조업지수(SMI·Satellite Manufacturing Index)라는 걸 선보였다. 상업위성이 보내온 이미지를 분석해 중국의 제조업 경기를 알려주는 지표다. 중국 전역 6000여곳의 산업현장을 내려다본 위성의 이미지로 재고 움직임이나 새 공장 건설 등 변화를 추적해 제조업 경기를 읽는다. 지수는 상업위성들이 50만㎢에 이르는 지역을 14년동안 관찰한 22억개의 이미지를 기초로 삼는다.
스페이스나우의 중국 SMI는 중국 국가통계국이 내는 공식 제조업 PMI나 중국 경제 전문지 차이신과 영국 금융정보업체 마킷이 함께 발표하는 민간 제조업 PMI와 비슷한 추세를 나타낸다. 다만 2월 SMI는 48.2로 4년 만에 최저였던 전월에 비해 올랐지만 같은 달 공식 PMI와 민간 PMI는 각각 49, 48로 일제히 더 떨어졌다.
0에서 100까지 점수를 매기는 PMI는 50이 경기확장과 경기위축의 기준선이다. 어찌됐든 세 지표 모두 중국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중국 위성제조업지수(SMI)·공식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민간 중국 제조업 PMI 추이(범례 위부터)/그래프=블룸버그
파벨 매칼렉 스페이스나우 CEO(최고경영자)는 "우리가 가진 건 중국 내 설비에 대한 독립된 제3의 시각"이라며 "우리는 전혀 다른 방법론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 지수는 수천 곳의 중국 산업현장에 대해 완전히 객관적"이라고 강조했다.
매칼렉은 중국 경제와 관련한 위성사진 분석 자료에 헤지펀드와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중국 내 특정 설비에 대해 보다 세밀한 자료로 자체 분석 모델을 만들고 싶어 한다는 설명이다. 중국 정부가 내는 공식 지표로는 충족할 수 없는 수요다. 안 그래도 글로벌 투자자들은 조작 논란이 큰 중국의 공식 경제지표보다 비공식적인 실물경제 지표에 더 주목한다.
스페이스나우는 SMI 산출 대상 국가를 인도 등 다른 나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중국과 인도에서 제조업 외에 기반시설과 도시 발전 추이를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도 개발하고 있다.
세계은행도 저개발국의 경제를 파악하는 데 위성 이미지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스리랑카를 시범지역으로 삼아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세계은행은 이를 위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인 오비털인사이트와 손을 잡았다.
오비털인사이트는 인공위성으로 빌딩이 만들어낸 그림자 이미지를 분석해 중국의 건설 경기를 추적한다. 또 미국의 50여개 소매업체 매장의 주차장을 살펴 얻은 정보를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자자들에게 판매한다. 주차장 분석으로는 고객들이 얼마나 드나드는지 알 수 있다. 이 회사는 최근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투자회사인 세콰이어캐피털에서 870만달러를 유치하는 등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는다.
인공위성 정보시장의 성장 배경엔 빅데이터 머신러닝(기계학습) 붐이 있다. 머신러닝은 말 그대로 기계가 학습을 미래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방대한 자료(빅데이터)가 머신러닝의 학습 도구가 되는데 인공위성 이미지도 그 중 하나다.
매칼렉은 중국 경제와 관련한 위성사진 분석 자료에 헤지펀드와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중국 내 특정 설비에 대해 보다 세밀한 자료로 자체 분석 모델을 만들고 싶어 한다는 설명이다. 중국 정부가 내는 공식 지표로는 충족할 수 없는 수요다. 안 그래도 글로벌 투자자들은 조작 논란이 큰 중국의 공식 경제지표보다 비공식적인 실물경제 지표에 더 주목한다.
스페이스나우는 SMI 산출 대상 국가를 인도 등 다른 나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중국과 인도에서 제조업 외에 기반시설과 도시 발전 추이를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도 개발하고 있다.
세계은행도 저개발국의 경제를 파악하는 데 위성 이미지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스리랑카를 시범지역으로 삼아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세계은행은 이를 위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인 오비털인사이트와 손을 잡았다.
오비털인사이트는 인공위성으로 빌딩이 만들어낸 그림자 이미지를 분석해 중국의 건설 경기를 추적한다. 또 미국의 50여개 소매업체 매장의 주차장을 살펴 얻은 정보를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자자들에게 판매한다. 주차장 분석으로는 고객들이 얼마나 드나드는지 알 수 있다. 이 회사는 최근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투자회사인 세콰이어캐피털에서 870만달러를 유치하는 등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는다.
인공위성 정보시장의 성장 배경엔 빅데이터 머신러닝(기계학습) 붐이 있다. 머신러닝은 말 그대로 기계가 학습을 미래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방대한 자료(빅데이터)가 머신러닝의 학습 도구가 되는데 인공위성 이미지도 그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