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숙박업 시장 키워드: 합리화, 스마트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7-05-26 16:00|본문
中 숙박업 시장 키워드: 합리화, 스마트화
[2017-05-26]
- 숙박업계, 전통적인 호텔에서 비표준 숙박업*으로 시장 확대 -
- 스마트화, 공유경제가 차세대 호텔 키워드 -
□ 중국 숙박업 시장 동향
ㅇ 여행업계와 함께 성장하는 숙박업계
- 거시경제 성장 둔화에도 지난 2011~2015년 사이 여행업계는 꾸준히 10%의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숙박업계 규모도 꾸준히 확대됨.
ㅇ 숙박업체 수 증가했으나, 전통적인 호텔들은 수익성 및 업체 수 감소함.
- 2011년 1만1676개였던 성급(星级) 호텔은 5년 사이 약 10% 감소해 2015년 1만550개에 이르렀음.
- 2015년 기준, 비교적 저렴한 1·2성급 호텔은 전년대비 영업수입
- 숙박업계, 전통적인 호텔에서 비표준 숙박업*으로 시장 확대 -
- 스마트화, 공유경제가 차세대 호텔 키워드 -
□ 중국 숙박업 시장 동향
ㅇ 여행업계와 함께 성장하는 숙박업계
- 거시경제 성장 둔화에도 지난 2011~2015년 사이 여행업계는 꾸준히 10%의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숙박업계 규모도 꾸준히 확대됨.
ㅇ 숙박업체 수 증가했으나, 전통적인 호텔들은 수익성 및 업체 수 감소함.
- 2011년 1만1676개였던 성급(星级) 호텔은 5년 사이 약 10% 감소해 2015년 1만550개에 이르렀음.
- 2015년 기준, 비교적 저렴한 1·2성급 호텔은 전년대비 영업수입
이 증가했지만 3·4·5성급 호텔은 저조한 성과를 보였음.
2015년 성급 호텔 영업 현황

자료원: 국가여유국(国家旅游局)
□ 중국 숙박업의 트렌드 변화: '전통적인 호텔에서 비표준 숙박업(非标准住宿房屋)으로'
ㅇ 비표준 숙박업의 성장, 두드러짐
- 아이루이 컨설팅의 '2016년 숙박업계 녹색발전 추세 분석'에 따르면, 숙박업체 이용객 중 23.5%는 전통적인 성급 호텔이 아닌 비표준 숙박업체를 이용한다고 함.
- 국내 여행에서 비표준 숙박업체를 이용하는 이유(중복응답 가능)를 조사해 본 결과, 응답자의 66.3%가 '가격 대비 효용이 뛰어나다'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자료원: 국가여유국(国家旅游局)
□ 중국 숙박업의 트렌드 변화: '전통적인 호텔에서 비표준 숙박업(非标准住宿房屋)으로'
ㅇ 비표준 숙박업의 성장, 두드러짐
- 아이루이 컨설팅의 '2016년 숙박업계 녹색발전 추세 분석'에 따르면, 숙박업체 이용객 중 23.5%는 전통적인 성급 호텔이 아닌 비표준 숙박업체를 이용한다고 함.
- 국내 여행에서 비표준 숙박업체를 이용하는 이유(중복응답 가능)를 조사해 본 결과, 응답자의 66.3%가 '가격 대비 효용이 뛰어나다'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이외에 '주변 환경이 좋다(58.3%)', '가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48.0%)', '호텔에 비해 특색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45.2%)', '선택지가 다양하다(36.1%)'가 그 뒤를 이었음.
- 특히 주거 공유 서비스 시장의 경우 2014년과 2015년 사이 80.6% 성장하는 급속 성장을 이뤘음.
- 특히 주거 공유 서비스 시장의 경우 2014년과 2015년 사이 80.6% 성장하는 급속 성장을 이뤘음.
* 비표준 숙박업은 전통적인 성급 호텔을 제외한 형태의 숙박형태로 무인숙박시설, 레지던스, 월불 아파트, 주거 공유 등이 포함
- '2016년 중국 온라인 여행 공유경제 - 숙박업'에 따르면 중국의 주거 공유시장은 CR4*가 70.5%에 이르는 독점성이 강한 시장이며, 그 중 1위 기업인 투지아(途家)는 상위 4개 기업이 총 거래규모의 47.6%를 차지한다고 함.
투지아를 경유한 거래 총액이 2016년 주거 공유시장 총거래액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측정되며, 서비스를 이용한 개인 고객 수가 백만 명 수준에 이른 것으로 확인됨.
- 투지아는 '투지아 선정(途家优选) 제도'를 통해 양질의 공유 주거지를 확보해 나가고 있으며, 공유 주거지 배상보험 등 연관 서비스와 협력, 시장의 외연을 넓히고 있음.
- 투지아는 '투지아 선정(途家优选) 제도'를 통해 양질의 공유 주거지를 확보해 나가고 있으며, 공유 주거지 배상보험 등 연관 서비스와 협력, 시장의 외연을 넓히고 있음.
또한 업계 거래액 규모 2위인 공유 숙박 전문업체 마이돤쭈(蚂蚁短租)의 경우 장기 미분양 주택을 주거 공유에 활용하는 등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ㅇ 온라인 여행사 채널을 통한 숙박업계 매출 성장도 주목할 만함.
- 중국 사회과학원 인터넷연구소(社科院互联网研究中心)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6월 기준, 온라인 여행사 고객의 수가 2억6000만 명에 이르렀으며 온라인 여행사를 통한 호텔 예약 수입은 2015년 901억8000만 위안에서 2016년 1085억8000만 위안으로 20.4% 증가했음.
- 2016년 10월 기준 국내 숙박상품 이용자의 85.4%는 온라인으로 숙박업체를 예약했으며, 이 중 81.3%의 고객은 씨트립(携程), 투지아(途家)와 같은 온라인 여행사 플랫폼을 통한 것으로 알려짐.
ㅇ 중국 숙박업 키워드, '스마트화'
- IT기술의 발달,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 경향 확대로 숙박업계 내 스마트화 추세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아이루이 컨설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객실 예약, 실내 온도 조절, 점등, 체크인, 체크아웃, 식당 예약이 가능한 형태의 스마트 호텔'이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라 진단함.
- 중국 정부의 '녹색 호텔* 확대' 추진 전략도 숙박업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임. 지난 2015년 국무원이 발표한 '생활성 서비스업 촉진 및 소비구조 개선에 관한 지도의견(关于加快发展生活性服务业促进消费结构升级的指导意见)'에는 호텔 산업의 녹색 발전을 위한 업무 전자화 및 온·오프라인 연동을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됨.
* 녹색 호텔: 중국 정부에서 추진하는 숙박업 발전 방향으로 안전, 건강, 에너지 절감의 3개 축을 중심으로 함.
ㅇ 전통적인 호텔, 지속적인 혁신으로 생존 꾀함.
- 세력을 잃어가는 전통적 호텔의 경우 비표준 숙박업에 대한 투자 확대, 온·오프라인 연동 등의 혁신으로 생존을 꾀하고 있음.
중국 양대 호텔 그룹의 혁신 조치

주*: 보타오 그룹은 중국 유명 호텔 체인 '7일 호텔(7天酒店)'의 모회사
자료원: 중국여유보(中国旅游报)
- 전통적인 호텔 운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경우 서구식 호텔 체인 서비스의 모방, 호텔 간의 자원공유 등을 통해 기존 호텔의 가치를 높이고 동시에 비표준 숙박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해 숙박업계 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음.
□ 시사점
ㅇ 경험 중심의 합리적인 숙박상품 소비 트렌드 형성됨.
- 숙박업계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나 전통적인 호텔의 경우 수익성, 규모 두 방면 모두 성장세가 주춤한 것으로 보이며 저가형 호텔 및 비표준 숙박업 위주의 업계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
ㅇ 온라인 여행사 채널을 통한 숙박업계 매출 성장도 주목할 만함.
- 중국 사회과학원 인터넷연구소(社科院互联网研究中心)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6월 기준, 온라인 여행사 고객의 수가 2억6000만 명에 이르렀으며 온라인 여행사를 통한 호텔 예약 수입은 2015년 901억8000만 위안에서 2016년 1085억8000만 위안으로 20.4% 증가했음.
- 2016년 10월 기준 국내 숙박상품 이용자의 85.4%는 온라인으로 숙박업체를 예약했으며, 이 중 81.3%의 고객은 씨트립(携程), 투지아(途家)와 같은 온라인 여행사 플랫폼을 통한 것으로 알려짐.
ㅇ 중국 숙박업 키워드, '스마트화'
- IT기술의 발달,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 경향 확대로 숙박업계 내 스마트화 추세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아이루이 컨설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객실 예약, 실내 온도 조절, 점등, 체크인, 체크아웃, 식당 예약이 가능한 형태의 스마트 호텔'이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라 진단함.
- 중국 정부의 '녹색 호텔* 확대' 추진 전략도 숙박업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임. 지난 2015년 국무원이 발표한 '생활성 서비스업 촉진 및 소비구조 개선에 관한 지도의견(关于加快发展生活性服务业促进消费结构升级的指导意见)'에는 호텔 산업의 녹색 발전을 위한 업무 전자화 및 온·오프라인 연동을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됨.
* 녹색 호텔: 중국 정부에서 추진하는 숙박업 발전 방향으로 안전, 건강, 에너지 절감의 3개 축을 중심으로 함.
ㅇ 전통적인 호텔, 지속적인 혁신으로 생존 꾀함.
- 세력을 잃어가는 전통적 호텔의 경우 비표준 숙박업에 대한 투자 확대, 온·오프라인 연동 등의 혁신으로 생존을 꾀하고 있음.
중국 양대 호텔 그룹의 혁신 조치

주*: 보타오 그룹은 중국 유명 호텔 체인 '7일 호텔(7天酒店)'의 모회사
자료원: 중국여유보(中国旅游报)
- 전통적인 호텔 운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경우 서구식 호텔 체인 서비스의 모방, 호텔 간의 자원공유 등을 통해 기존 호텔의 가치를 높이고 동시에 비표준 숙박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해 숙박업계 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음.
□ 시사점
ㅇ 경험 중심의 합리적인 숙박상품 소비 트렌드 형성됨.
- 숙박업계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나 전통적인 호텔의 경우 수익성, 규모 두 방면 모두 성장세가 주춤한 것으로 보이며 저가형 호텔 및 비표준 숙박업 위주의 업계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
특히 주거 공유 서비스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험 중심의 합리적인 숙박'을 선호하는 경향이 중국 관광 소비자들 사이에서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ㅇ 중국 소비자, 스마트폰 체계에 점점 더 익숙해짐.
- 중국 국내 여행객은 한국을 방문하는 싼커(散客)*와 유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광 전 과정을 진행하는 경향을 보임.
ㅇ 중국 소비자, 스마트폰 체계에 점점 더 익숙해짐.
- 중국 국내 여행객은 한국을 방문하는 싼커(散客)*와 유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광 전 과정을 진행하는 경향을 보임.
한국 관광업계는 스마트폰 체계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중국 관광객의 소비 트렌드에 부응하는 스마트 여행상품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개인 여행을 즐기는 중국 관광객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단체여행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한류 문화 체험, 쇼핑을 즐김.
ㅇ 숙박업계의 스마트화 압력이 나날이 강해지고 있음. 특히 전통적인 호텔의 경우 서비스 표준화, 고급화와 함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음. 숙박업체 IT 인프라 구축 경험이 있는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임.
* 개인 여행을 즐기는 중국 관광객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단체여행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한류 문화 체험, 쇼핑을 즐김.
ㅇ 숙박업계의 스마트화 압력이 나날이 강해지고 있음. 특히 전통적인 호텔의 경우 서비스 표준화, 고급화와 함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음. 숙박업체 IT 인프라 구축 경험이 있는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