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방탄소년단이 보여준 한류 가능성, 다시 중국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06-18 21:56|

본문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일기 시작한 K-POP, E-Sports, Drama 등 한류 열풍은 ‘한국사랑’으로 이어져 아시아권을 넘어 중남미와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여 한국의 문화 콘텐츠, 미용,패션, 푸드, 의료 기술 등은 전 세계로 퍼져나갈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른바 한류의 나비효과가 상당한 위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방탄소년단(BTS)이 다시 한번 한류 열풍에 불을 지펴 주었다. 문화 콘텐츠 최대 강국 미국에서 ‘가장 많은 앨범이 팔리고 뮤직비디오가 많이 재생된’ 세계에서 가장 ‘hot’한 가수로 등극하였다. 
 
빌보드 메인 차트인 ‘빌보드 200’과 ‘핫 100’에 3집 앨범 ‘러브 유어셀프 전 티어(LOVE YOURSELF 轉 Tear)’와 타이틀 곡 ‘페이크 러브(Fake Love)’를 각각 1위와 10위에 올려놓으며 데뷔 이래 최고의 기록을 세우고 있다.


 


 
무수한 아이돌그룹이 있음에도 이들이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분명 방탄소년단은 아이돌과는 달랐다. 대형 기획사 출신 아이돌들은 촘촘한 설정과 캐릭터를 연기하는 느낌이 강했다면, 방탄소년단은 ‘자기 것’을 한다. 서투른 영어 구사에도 경직되지 않은 태도와 개성 있는 외모 등이 “더 편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케이팝 그룹이 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방탄소년단의 성공비결은 BTS DNA라는 다음의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탈 경계를 지향하는 콘텐츠의 힘이다. 멤버 전원이 작사·작곡에 참여하며, 남의 것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독특하게 담아낸다는 것이다.  여기에 EDM·라틴팝 등 다양한 장르와 접목하며 음악의 범주를 넓히고, 음악을 중심으로 영상·캐릭터·캠페인·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든다.
 
방탄소년단은 팬들과 직접 소통한다. 팔로어 1000만 명을 돌파한 트위터 계정(@BTS_twt)은 현재 1497만 명이 구독 중이다. 멤버들이 각자 계정을 운영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에서 #RM #JIMIN 등 해시태그로 작성자를 표시하며 함께 소통(공유)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은 시작부터 성공이 목표가 아닌 과정과 활동의 의미에 목표를 뒀다. 규제 대신 자유를 줬고, 진정한 내면의 소리를 내기로 했다. ‘이익’ 대신 ‘진정성’을 내세우는 파격적 시도 였다. 이 점은 기존의 아이돌이 갖는 가식성과 상업성을 깨부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지금 BTS 멤버들은 모두 래퍼·보컬·작사·작곡자들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형식으로 담아내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자기 생각과 경험을 솔직하게 투영하는 가사를 쓴다. 부모 등골 빼는 자식을 향한 ‘등골브레이커’, 흙수저 이야기를 그린 '뱁새' 등은 해외 팬들도 ‘해석’해서 들을 만큼 깊은 잔향을 남긴다는 평이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은 주춤한 한류 열풍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이들의 성공신화 분석을 통해 중국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이후 사그러진 불씨를 다시금 지필 수 있을 것이다. 
 
 
과거 한국 드라마와 예능이 아이치이, 텐센트TV 등 중국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점령할 때가 있었다. 
  

당시 한국은 한류에 힘입어 2014년 이후 문화 여가 서비스 부문 흑자로 전환했다. 2016년에는 중국 등을 중심으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 등이 크게 인기를 끌면서 한 달에 5천만달러 이상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7월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데 중국이 반발, 한국 연예인의 활동을 제한한 이른바 '한한령'(限韓令)을 내리면서 한류가 거의 얼어붙었다. 중국에서 한류 문화행사는 무더기로 취소됐고 중국 드라마에 출연하던 한국 배우가 중도에 하차했다. 지난해 개인, 문화, 여가서비스 흑자구조는 한층 급격한 내리막길을 타고 급기야 적자를 기록했다. 
 
 
그런데 한국의 자리를 대신 꿰어찬 것은 일본 콘텐츠다. 
 
한한령 이후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는 줄어들고 일본 드라마를 리메이크하거나 일본 콘텐츠를 드라마화하는 사례가 늘었다. '심야식당' '꽃보다 남자' '101번째 프러포즈' 등이 제작돼 방영됐거나 방영 예정이다. 만화가 원작인 일본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가 중국에서 리메이크되며, 역시 일본의 인기 만화인 '고스트 바둑왕'이 세계 최초로 중국에서 실사화된다. 
 
중국의 경제 및 군사 분야의 굴기에 이어 출판, 게임, 음악, 만화,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분야에서의 ‘문화 굴기’ 역시 최근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다. 
 
2011년 1037억 달러 규모였던 중국의 콘텐츠 시장은 2019년엔 2475억 달러로 두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중국이 더 이상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도 ‘짝퉁’을 만드는 시대에서 벗어나 자국 자체적으로 국제 수준에 도달한 문화콘텐츠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거대한 자국시장의 역량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그 영향력은 세계문화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 업체와 종사자로 보면 이미 2016년부터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미국 영화 시장까지 좌지우지하는 중국이다. 자체 콘텐츠도 상향 평준화되고 있다. 
 
자본을 앞세운 중국에게 있어 한국 드라마나 예능을 대체할 것은 무궁무진하다. 중국에서 한국이 한때 방송가를 휩쓴 유행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우수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탄탄한 고정 소비층을 가진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을 준비를 해야 한다. 
 
최근 중국 제조업이 외부로부터의 부품이나 기술 도입이 필요 없는 자기완결형 시스템으로 변하고 있는 것처럼, 문화 콘텐츠 산업도 유사한 경로를 따라갈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중 관계 개선의 훈풍이 불어 오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의 재 상륙을 위하여 치밀하고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가 유념해야 할 점은, 현존하는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천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는 중국은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실을 ‘중국몽(中國夢)’으로 포장하여 문화 확장성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거센 역류를 뚫고 중국에서 한류 열풍 재 점화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지지(호응)와 함께 중국 인민들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제고 시켜야 한다. 
  

‘호감경제학(라이코노믹스 Likeonomics)’이라는 용어가 있다. ‘like‘(호감)와 ‘economics‘(경제학)의 합성 조어로 특히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어떤 마케팅(홍보)전략보다 사용자 호감도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국에게 ‘친근하면서도 정겨운 이웃’이라는 인식을 주는 노력을 민관 모두가 합심하여 사드 문제로 다소 냉랭했던 분위기를 조기에 일소 시키는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간은 마냥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중국 만리장성을 넘어 펼쳐질 거대한 문화콘텐츠 시장을 장악하지 못한다면 세계시장 석권도 반쪽짜리일 뿐이다. 
  

‘TEDS’로 다시 무장 해야 한다. 
  

융복합 ICT 기술 (Technology)의 문화사업 적용 , 한류 열풍을 불러 일으켰던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적극 활용, 정교하고도 아름다운 디자인(Design)능력, 친근하게 다가 오도록 공감을 주는 스토리텔링(Story) 등으로 차별화된 종합 콘텐츠 강국의 면모로 중국시장을 다시 공략해야 한다. 


이상기 / 한중지역경제협회 회장
0

中韓동향 목록

中韓동향 목록
한국 뷰티, 패션, 관광 산업, 중국 ‘싱글족’을 겨냥해라 … 인기글 한국 뷰티, 패션, 관광 산업, 중국 ‘싱글족’을 겨냥해라 !중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결혼은 이제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싱글족’이 중국에서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등장한지 얼마 안 되었는데 이미 중국 경제사회의 주요 흐름으로 부상하였다. 싱글족은 대부분 가족을 떠나 대도시에서 혼자 생활하고 있는 1인 세…(2018-07-04 01:37:54)
[열람중]방탄소년단이 보여준 한류 가능성, 다시 중국으로!! 인기글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일기 시작한 K-POP, E-Sports, Drama 등 한류 열풍은 ‘한국사랑’으로 이어져 아시아권을 넘어 중남미와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여 한국의 문화 콘텐츠, 미용,패션, 푸드, 의료 기술 등은 전 세계로 퍼져나갈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른바 한류의 나비효과가 상당한 …(2018-06-18 21:56:36)
삼성전자 알리바바와 손잡고 중국 유통분야 협력 강화 인기글 삼성전자 알리바바와 손잡고 중국 유통분야 협력 강화2018.05.30 삼성전자와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가 신소매(新零售) 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유통 부문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신랑(新浪) 등 복수의 중국매체가 29일 보도했다.중국 매체에 따르면, 지난 29일 삼성전자와 알리바바는 항저우에서 브랜드 구축,유통채널 관리,제품 혁신 등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동시에 양사는 빅데이터,인공지능 등 블랙테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소매(新零…(2018-05-30 09:15:46)
한국 생명공학기업, 중국 BT육성정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인기글 한국 생명공학기업, 중국 BT육성정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18.05.23중국은 지난 2015년 첨단산업 육성 정책인 ‘중국제조2025’ 발표시 반도체 등 정보기술(IT)과 같이 바이오의료 기기 분야도 10대 핵심 사업에 포함하였다. 바이오의료 산업 규모를 오는 2020년까지 최대 10조위안(약 1,700조원)으로 성장시키고 합성 신약 20개, 바이오 신약 3개를 독자 개발한다는 게 중국 정부의 야심찬 목표로, 이른 바 중국 ‘바이오 굴기’를 선언했다. 이를 반영하듯 중국이 IT 에 이어 글로…(2018-05-23 13:49:51)
삼성 중국 배터리시장 공략 강화, 삼성 BYD 협력 확대 전… 인기글 삼성 중국 배터리시장 공략 강화, 삼성 BYD 협력 확대 전망 <中매체>이재용 부회장 BYD 접촉, 양사 협력 확대 논의현지 전문가, "삼성 BYD는 상호 필요한 파트너"2018.05.06 2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중국 선전으로 출국,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 BYD와 미팅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지 업계 전문가가 “삼성과 BYD는 상호간 필요한 파트너로, 협력을 본격화하면 중국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혀 주목된다.4일 중국 유력 매체 디이차이징(第壹材…(2018-05-06 13:57:38)
농심 백산수, 사드 해빙으로 중국 생수 시장 공략 시동 거나… 인기글 농심 백산수, 사드 해빙으로 중국 생수 시장 공략 시동 거나?2018.05.06중국의 생활 수준 제고로 건강과 직결되는 먹는 물(생수)에 대한 중국인의 기준도 점차 까다로워지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병 제품 기준 중국 생수시장 규모는 653억위안(약 10조9500억원)으로 2021년에는 14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대용량(말통) 생수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중국 전체 생수 시장은 2000억위안(약 34조원)으로 더 늘어난다. 중국 생수시장은 캉스푸(康师傅) , 눙푸…(2018-05-06 13:08:36)
중미간 무역전쟁, 한국 경제에 심대한 타격 예상 인기글 중미간 무역전쟁, 한국 경제에 심대한 타격 예상 2018.03.08 미국과 중국, EU 등 세계 3대 경제권 간에'트럼프 발 철강 관세 폭탄'으로 시작된 '무역전쟁'은 한국 경제에도 비상이 걸렸다. 주요 2개국(G2:미국,중국) 경제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재협상 압박과는 별도로 상당한 유탄이 예상된다. 지난해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64.5%로, 수출로 유발된 일자리는 447만개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3년 만에 3%대에 재진입한 주요 원인은 반도체 등의 수출…(2018-03-08 12:13:47)
삼성전자, ‘완다’와 손잡고 상하이에 ‘시네마 LED’ 중국… 인기글 삼성전자, ‘완다’와 손잡고 상하이에 ‘시네마 LED’ 중국 1호관 열어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극장 체인 완다와 손잡고 상하이에 시네마 LED 중국 1호관을 열었다. 삼성전자와 글로벌 최대 극장 체인인 완다(Wanda)그룹은 4일 중국 상하이시 양푸구 우자오창(Wujiaochang)에 위치한 완다시네마에서 ‘삼성 시네마 L…(2018-02-15 21:22:46)
한국 기업, 중국에서 오래 살아남기 인기글 한국 기업, 중국에서 오래 살아남기이한성 KHC 글로벌 물류유한공사 대표 중국에서 진출기업들이 왜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 중국에서 한국 기업들이 얼마나 버틸까? 중국에서 어떻게 하면 오래 버틸 수 있을까?이런 질문을 생각하면 누가 속 시원하게 답을 줄 수 있을까 생각을 해본다. 보는 사람마다 의견도 다르고 사고도 다르고 분야별 관점도다르다. 필자는 제조 부분에 진출한 기업에 대해 현실에 입각해 생각을 해본다. 1998년에 대기업 주재원으로 나와서 현재까지 중국 생활을 하면서 제일 가슴 아픈 일이 …(2018-02-11 23:45:39)
재중 한국 기업, 중국의 신소비에 ‘새로운 기회’ 인기글 재중 한국 기업, 중국의 신소비에 ‘새로운 기회’[2017-12-25] 한중간 사드 갈등이 차츰 누르러지면서 억눌렸던 중국 시장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국빈방문과 연계해 지난 14일 베이징에서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이 개최했으며, 이 자리에는 173개의 한국 기업과 500여 개…(2017-12-25 15:24:33)
'고급형 여행상품. 아웃도어, 산후조리원'', 사드이후 중국… 인기글 '고급형 여행상품. 아웃도어, 산후조리원'', 사드이후 중국시장 이렇게 공략 상품 고급화로 시장 활로 개척 나서야 [2017-12-21]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으로 한중 관계 회복의 전기가 마련된 가운데, 중국시장을 공략하는 ‘한류 상품’들도 고급화되면서 ‘新한류 열풍’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매체 베…(2017-12-21 14:32:06)
“한국기업, 中 수출품 정품인증 쉬어진다” 인기글 “한국기업, 中 수출품 정품인증 쉬어진다”[2017 12-12]“한국기업, 中 수출품 정품인증 쉬어진다”KTNET, 중국전자상회와 한국 수출품의 정품인증을 위한 협약 체결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이 중국으로 수출되는 한국기업 상품의 상표권 보호와 판로확대를 위한 정품인증서비스를 추진한다. KTNET은 지…(2017-12-12 14:17:34)
중국 "토양오염 해결 한국이 맡아달라"... 인기글 중국 "토양오염 해결 한국이 맡아달라"... [2017 12-08] 중국 "토양오염 해결 한국이 맡아달라"... 경제계 인사들 민간교류 증진 위해 한국 찾아사드 문제로 경색된 한국경제, '한중 민간 교류'로 해결방안 제시중국 삼농그룹과 한국 지오비앤씨가 '한중 토양 개선 프로젝…(2017-12-08 15:16:12)
中 서부시장, 한국 의료진 시장 개척 인기글 中 서부시장, 한국 의료진 시장 개척[2017 12-05]中 서부시장, 한국 의료진 시장 개척한국으로 의료 관광을 떠나는 중국인들이 눈에 띄게 줄고 있는 가운데 다수의 한국 의료기관이 중국 서부 지역의 보건 의료 시장을 향해 눈을 돌리고 있다.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은 28일 쓰촨 청두에서 열린 ‘2017한중보건의료합작교류회’에 200여 명의 양국 정부 관계자들 및 의료 기관 대표들이 참여해 한국 의료기관의 중국 서부 지역 진출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같…(2017-12-05 15:02:42)
무역기술장벽, 알면 뚫린다 인기글 무역기술장벽, 알면 뚫린다 [2017-12-04] 국표원, 무역기술장벽 대응 설명회 개최최근 한중 양국간 산업 경쟁이 심화되고 기술격차가 축소 되면서 무역기술장벽(TBT) 조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최대 수출시장이자 무역 파트너인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기술규제 대응 능력 제고를 위한 설명회가 상하이에서 개최됐다.지난 30일 상하이 홍차오 힐튼호텔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KCL)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의 공…(2017-12-04 14:51:33)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