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만 해외동포 한글교육 지원 김영근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11-16 15:57|본문
700만 해외동포 한글교육 지원 김영근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
사진·박해윤 기자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의 김영근(59) 사업이사는 재미동포 출신이다. 1980년 성균관대 졸업 후 대기업에 잠시 근무하다 미국으로 이민 갔다. 수도 워싱턴에서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면서 미주한인회 사무총장, 세계한인네트워크 상임대표를 지냈다. 언론사 워싱턴 특파원들은 그가 살 집도 구해주고 자녀학군도 알아봐주며 도움을 줬다고 기억한다.
그는 2013년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다시 한국 국민이 됐으며, 지난해 9월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로 임명됐다. 30년 동안 해외동포로 살았기에 교민들의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알 법한 그에게 교민지원 업무를 맡긴 것이다. 그는 특히 700만 해외동포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일을 열성적으로 지원했다.
“롯데사태 때 재일교포 2세인 신동주 전 회장은 인터뷰에서 우리말을 전혀 못했어요. 많은 국민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현실이 이래요. 미국, 일본, 중국에 사는 교민 2~4세의 상당수가 우리말을 못합니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교민들은 더하고요. 언어를 잊으면 민족정체성이 약해지고 모국과의 연결도 희미해져요. 그래서 교민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교육을 대대적으로 펴고 있습니다.”
그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 1년간 세계 각국에서 1875개의 한글학교가 10만 명의 교민에게 우리말을 가르치는 사업을 지원해왔다. 주로 토요일에 8시간 정도 집중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한다. 이 밖에 649개 한인회를 지원하는 사업도 벌인다.
“과거에 미국 교민 가정에선 자녀에게 우리말을 못 쓰게 했어요. 영어를 빨리 배워 미국 사회에 빨리 동화하라는 취지였죠. 지금은 우리말 교육에 적극적입니다. 우리말과 영어를 다 잘하면 취업에 훨씬 유리하거든요.
미국 이외 지역 교민들도 사정이 비슷해요. 우리나라의 교역 규모가 커지고 한류(韓流)가 확산되면서 한국어의 쓰임새가 높다는 점을 잘 알거든요. 한민족이 자기 언어를 배운다는 당위성도 있고요. 우리말 보급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많은 교민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요. 박근혜 대통령도 해외동포 대상 한글교육의 확충을 강조했습니다.”
김 이사는 재중동포를 돕는 일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중국 조선족자치주 내 재중동포 거주자가 줄어들면서 이 지역 내 조선족학교들은 한족(漢族)을 학생으로 받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과거엔 필수로 가르치던 우리말을 이젠 원하는 학생들에게만 가르친다고 한다. 한국어를 모르는 재중동포 3, 4세도 점차 늘고 있는 이유다.
올해엔 재중동포 고교생 150명을 서울로 초청해 다양한 견학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TV 프로그램 ‘도전 골든벨’에도 출연하게 했다. 반응이 뜨거웠다고 한다. 재단 측은 ‘연변일보’ 등 중국 동북 3성의 한국어 신문사에 일하는 동포 기자들도 한 달 동안 서울로 초빙해 ‘동아일보’ 등 국내 신문사에서 연수를 받게 했다. 김 이사는 “언론인과 같은 여론 주도층이 우리말을 바르게 쓰고 우리말 지키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 재중동포 사회가 우리말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앞으로도 계속 돕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간 65세 이상 동포의 복수국적 인정, 대선과 총선 참정권 보장, 한인의 날 제정 등 해외동포 및 재외국민 대상 지원책을 펴왔다. 김 이사는 “박 대통령은 해외순방 때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동포들을 따뜻하게 위로하는 자리를 꼭 갖는다. 재단은 700만 해외동포가 고국과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면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박해윤 기자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의 김영근(59) 사업이사는 재미동포 출신이다. 1980년 성균관대 졸업 후 대기업에 잠시 근무하다 미국으로 이민 갔다. 수도 워싱턴에서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면서 미주한인회 사무총장, 세계한인네트워크 상임대표를 지냈다. 언론사 워싱턴 특파원들은 그가 살 집도 구해주고 자녀학군도 알아봐주며 도움을 줬다고 기억한다.
그는 2013년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다시 한국 국민이 됐으며, 지난해 9월 재외동포재단 사업이사로 임명됐다. 30년 동안 해외동포로 살았기에 교민들의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알 법한 그에게 교민지원 업무를 맡긴 것이다. 그는 특히 700만 해외동포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일을 열성적으로 지원했다.
“롯데사태 때 재일교포 2세인 신동주 전 회장은 인터뷰에서 우리말을 전혀 못했어요. 많은 국민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현실이 이래요. 미국, 일본, 중국에 사는 교민 2~4세의 상당수가 우리말을 못합니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교민들은 더하고요. 언어를 잊으면 민족정체성이 약해지고 모국과의 연결도 희미해져요. 그래서 교민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교육을 대대적으로 펴고 있습니다.”
그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 1년간 세계 각국에서 1875개의 한글학교가 10만 명의 교민에게 우리말을 가르치는 사업을 지원해왔다. 주로 토요일에 8시간 정도 집중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한다. 이 밖에 649개 한인회를 지원하는 사업도 벌인다.
“과거에 미국 교민 가정에선 자녀에게 우리말을 못 쓰게 했어요. 영어를 빨리 배워 미국 사회에 빨리 동화하라는 취지였죠. 지금은 우리말 교육에 적극적입니다. 우리말과 영어를 다 잘하면 취업에 훨씬 유리하거든요.
미국 이외 지역 교민들도 사정이 비슷해요. 우리나라의 교역 규모가 커지고 한류(韓流)가 확산되면서 한국어의 쓰임새가 높다는 점을 잘 알거든요. 한민족이 자기 언어를 배운다는 당위성도 있고요. 우리말 보급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많은 교민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요. 박근혜 대통령도 해외동포 대상 한글교육의 확충을 강조했습니다.”
김 이사는 재중동포를 돕는 일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중국 조선족자치주 내 재중동포 거주자가 줄어들면서 이 지역 내 조선족학교들은 한족(漢族)을 학생으로 받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과거엔 필수로 가르치던 우리말을 이젠 원하는 학생들에게만 가르친다고 한다. 한국어를 모르는 재중동포 3, 4세도 점차 늘고 있는 이유다.
올해엔 재중동포 고교생 150명을 서울로 초청해 다양한 견학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TV 프로그램 ‘도전 골든벨’에도 출연하게 했다. 반응이 뜨거웠다고 한다. 재단 측은 ‘연변일보’ 등 중국 동북 3성의 한국어 신문사에 일하는 동포 기자들도 한 달 동안 서울로 초빙해 ‘동아일보’ 등 국내 신문사에서 연수를 받게 했다. 김 이사는 “언론인과 같은 여론 주도층이 우리말을 바르게 쓰고 우리말 지키기의 중요성을 인식하면 재중동포 사회가 우리말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앞으로도 계속 돕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간 65세 이상 동포의 복수국적 인정, 대선과 총선 참정권 보장, 한인의 날 제정 등 해외동포 및 재외국민 대상 지원책을 펴왔다. 김 이사는 “박 대통령은 해외순방 때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동포들을 따뜻하게 위로하는 자리를 꼭 갖는다. 재단은 700만 해외동포가 고국과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면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