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랜드, 중국서 한국 웹툰 널리 알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5-05-23 20:30|본문
최근 웹툰에 대한 인기와 열기가 뜨겁다. 웹툰이 영화로 제작되는가 하면 드라마로도 만들어지면서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는 상황이다.
이처럼 열기가 뜨거운 한국 웹툰이 중국시장으로까지 진출했다. 특히 지난 2011년 설립된 마일랜드(대표 김남진)가 그 중심에서 한국 웹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마일랜드는 텐센트 외에도 △유요치 △왕이 △시나웨이 등 중국의 대표적인 온라인만화채널사에 서비스를 하고 있다. ⓒ 뉴스1
마일랜드는 설립 이후 줄곧 중국 웹툰시장이라는 한우물만 고집한 콘텐츠서비스 전문회사로, 지난 2010년 말 중국 텐센트와 독점계약을 체결하고 텐센트동만사이트에 한국 작품들을 5년째 유료 서비스하는 회사다.
이런 마일랜드가 중국에 서비스한 작품은 누적 500편이 넘고 현재도 약 150개의 작품을 제공, 한국보다는 중국 웹툰계에서 더 유명하다.
김남진 대표는 "2011년 당시 중국 웹툰은 콘텐츠 질과 양적 측면 모두 열악했다"며 "일본 만화들 불법서비스 등으로 웹툰이 사업적 영역으로 자리 잡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중국에서 문화 콘텐츠사업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 웹툰시장에 한국 기업이 직접 진출하는 것은 중국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중국에서는 문화 콘텐츠 및 출판사업에 대해 외국자본을 단 1%도 허용하지 않으며, 외국기업에게는 디지털서비스 사업을 하기 위한 인터넷사업허가증(ICP) 발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중국시장에 진출하려면 ICP 자격증이 있는 중국회사를 통해서만 웹툰을 서비스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품관리와 정산 등을 대행할 수 있다.
즉, 중국 웹툰시장은 외국기업의 진입장벽이 매우 까다롭고 외국인자본규제로 직접 만화플랫폼을 만들어서 서비스하기도 불가능한 형편인 것이다.
더불어 무료 작품을 볼 경우와 유료로 돈을 내고 보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어, 2011년 당시 텐센트와 합작해 서비스 진행 중이던 유료동만사이트는 지난해까지 의미 있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해 텐센트와 마일랜드에 매우 큰 좌절감을 안기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텐센트의 공격적인 마케팅 덕에 텐센트의 소설사이트의 정액제 회원수가 200만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큐큐메신져와 위챗으로 대표되는 텐센트의 마케팅 파워를 고려하면 웹툰 유료화도 시간 문제다.
또 문제가 되는 ICP 역시 2011년에 계약통제방식(VIE, ariable Interest Equity)으로 중국에 외자기업과 내자기업을 동시에 설립해 ICP 사업증 등 관련 사업허가증을 모두 취득했다.
이를 위시해 중국 웹툰시장에서 합법적 서비스가 가능한 유일한 한국계 회사로 자리 잡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차이나모바일 동만기지와 열독기지 CP 자격증을 동시에 갖고 있다.
김 대표는 "중국에서 최근 뜨는 한국 웹툰작품의 애니메이션화는 물론 게임화도 중국회사들과 계속 협의하고 있다"며 "만화 인지도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과 게임화는 중국 만화업계에서는 매우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일랜드는 텐센트 외에 유요치와 차이나모바일 등으로 서비스 채널을 확대하고, 그 유료수익을 기반으로 점차 중국 내에서의 △영화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2차 판권시장에서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
이처럼 열기가 뜨거운 한국 웹툰이 중국시장으로까지 진출했다. 특히 지난 2011년 설립된 마일랜드(대표 김남진)가 그 중심에서 한국 웹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마일랜드는 텐센트 외에도 △유요치 △왕이 △시나웨이 등 중국의 대표적인 온라인만화채널사에 서비스를 하고 있다. ⓒ 뉴스1
마일랜드는 설립 이후 줄곧 중국 웹툰시장이라는 한우물만 고집한 콘텐츠서비스 전문회사로, 지난 2010년 말 중국 텐센트와 독점계약을 체결하고 텐센트동만사이트에 한국 작품들을 5년째 유료 서비스하는 회사다.
이런 마일랜드가 중국에 서비스한 작품은 누적 500편이 넘고 현재도 약 150개의 작품을 제공, 한국보다는 중국 웹툰계에서 더 유명하다.
김남진 대표는 "2011년 당시 중국 웹툰은 콘텐츠 질과 양적 측면 모두 열악했다"며 "일본 만화들 불법서비스 등으로 웹툰이 사업적 영역으로 자리 잡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중국에서 문화 콘텐츠사업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 웹툰시장에 한국 기업이 직접 진출하는 것은 중국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중국에서는 문화 콘텐츠 및 출판사업에 대해 외국자본을 단 1%도 허용하지 않으며, 외국기업에게는 디지털서비스 사업을 하기 위한 인터넷사업허가증(ICP) 발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중국시장에 진출하려면 ICP 자격증이 있는 중국회사를 통해서만 웹툰을 서비스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품관리와 정산 등을 대행할 수 있다.
즉, 중국 웹툰시장은 외국기업의 진입장벽이 매우 까다롭고 외국인자본규제로 직접 만화플랫폼을 만들어서 서비스하기도 불가능한 형편인 것이다.
더불어 무료 작품을 볼 경우와 유료로 돈을 내고 보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어, 2011년 당시 텐센트와 합작해 서비스 진행 중이던 유료동만사이트는 지난해까지 의미 있는 수익을 창출하지 못해 텐센트와 마일랜드에 매우 큰 좌절감을 안기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텐센트의 공격적인 마케팅 덕에 텐센트의 소설사이트의 정액제 회원수가 200만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큐큐메신져와 위챗으로 대표되는 텐센트의 마케팅 파워를 고려하면 웹툰 유료화도 시간 문제다.
또 문제가 되는 ICP 역시 2011년에 계약통제방식(VIE, ariable Interest Equity)으로 중국에 외자기업과 내자기업을 동시에 설립해 ICP 사업증 등 관련 사업허가증을 모두 취득했다.
이를 위시해 중국 웹툰시장에서 합법적 서비스가 가능한 유일한 한국계 회사로 자리 잡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차이나모바일 동만기지와 열독기지 CP 자격증을 동시에 갖고 있다.
김 대표는 "중국에서 최근 뜨는 한국 웹툰작품의 애니메이션화는 물론 게임화도 중국회사들과 계속 협의하고 있다"며 "만화 인지도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과 게임화는 중국 만화업계에서는 매우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일랜드는 텐센트 외에 유요치와 차이나모바일 등으로 서비스 채널을 확대하고, 그 유료수익을 기반으로 점차 중국 내에서의 △영화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2차 판권시장에서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