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방탄소년단이 보여준 한류 가능성, 다시 중국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8-06-18 21:56|

본문


동남아시아와 중국에서 일기 시작한 K-POP, E-Sports, Drama 등 한류 열풍은 ‘한국사랑’으로 이어져 아시아권을 넘어 중남미와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부응하여 한국의 문화 콘텐츠, 미용,패션, 푸드, 의료 기술 등은 전 세계로 퍼져나갈 만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른바 한류의 나비효과가 상당한 위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방탄소년단(BTS)이 다시 한번 한류 열풍에 불을 지펴 주었다. 문화 콘텐츠 최대 강국 미국에서 ‘가장 많은 앨범이 팔리고 뮤직비디오가 많이 재생된’ 세계에서 가장 ‘hot’한 가수로 등극하였다. 
 
빌보드 메인 차트인 ‘빌보드 200’과 ‘핫 100’에 3집 앨범 ‘러브 유어셀프 전 티어(LOVE YOURSELF 轉 Tear)’와 타이틀 곡 ‘페이크 러브(Fake Love)’를 각각 1위와 10위에 올려놓으며 데뷔 이래 최고의 기록을 세우고 있다.


 


 
무수한 아이돌그룹이 있음에도 이들이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분명 방탄소년단은 아이돌과는 달랐다. 대형 기획사 출신 아이돌들은 촘촘한 설정과 캐릭터를 연기하는 느낌이 강했다면, 방탄소년단은 ‘자기 것’을 한다. 서투른 영어 구사에도 경직되지 않은 태도와 개성 있는 외모 등이 “더 편하고, 진입장벽이 낮은” 케이팝 그룹이 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방탄소년단의 성공비결은 BTS DNA라는 다음의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탈 경계를 지향하는 콘텐츠의 힘이다. 멤버 전원이 작사·작곡에 참여하며, 남의 것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독특하게 담아낸다는 것이다.  여기에 EDM·라틴팝 등 다양한 장르와 접목하며 음악의 범주를 넓히고, 음악을 중심으로 영상·캐릭터·캠페인·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든다.
 
방탄소년단은 팬들과 직접 소통한다. 팔로어 1000만 명을 돌파한 트위터 계정(@BTS_twt)은 현재 1497만 명이 구독 중이다. 멤버들이 각자 계정을 운영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에서 #RM #JIMIN 등 해시태그로 작성자를 표시하며 함께 소통(공유)하고 있다.
 
방탄소년단은 시작부터 성공이 목표가 아닌 과정과 활동의 의미에 목표를 뒀다. 규제 대신 자유를 줬고, 진정한 내면의 소리를 내기로 했다. ‘이익’ 대신 ‘진정성’을 내세우는 파격적 시도 였다. 이 점은 기존의 아이돌이 갖는 가식성과 상업성을 깨부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지금 BTS 멤버들은 모두 래퍼·보컬·작사·작곡자들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형식으로 담아내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자기 생각과 경험을 솔직하게 투영하는 가사를 쓴다. 부모 등골 빼는 자식을 향한 ‘등골브레이커’, 흙수저 이야기를 그린 '뱁새' 등은 해외 팬들도 ‘해석’해서 들을 만큼 깊은 잔향을 남긴다는 평이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은 주춤한 한류 열풍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이들의 성공신화 분석을 통해 중국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이후 사그러진 불씨를 다시금 지필 수 있을 것이다. 
 
 
과거 한국 드라마와 예능이 아이치이, 텐센트TV 등 중국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점령할 때가 있었다. 
  

당시 한국은 한류에 힘입어 2014년 이후 문화 여가 서비스 부문 흑자로 전환했다. 2016년에는 중국 등을 중심으로 드라마 '태양의 후예' 등이 크게 인기를 끌면서 한 달에 5천만달러 이상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7월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데 중국이 반발, 한국 연예인의 활동을 제한한 이른바 '한한령'(限韓令)을 내리면서 한류가 거의 얼어붙었다. 중국에서 한류 문화행사는 무더기로 취소됐고 중국 드라마에 출연하던 한국 배우가 중도에 하차했다. 지난해 개인, 문화, 여가서비스 흑자구조는 한층 급격한 내리막길을 타고 급기야 적자를 기록했다. 
 
 
그런데 한국의 자리를 대신 꿰어찬 것은 일본 콘텐츠다. 
 
한한령 이후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는 줄어들고 일본 드라마를 리메이크하거나 일본 콘텐츠를 드라마화하는 사례가 늘었다. '심야식당' '꽃보다 남자' '101번째 프러포즈' 등이 제작돼 방영됐거나 방영 예정이다. 만화가 원작인 일본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가 중국에서 리메이크되며, 역시 일본의 인기 만화인 '고스트 바둑왕'이 세계 최초로 중국에서 실사화된다. 
 
중국의 경제 및 군사 분야의 굴기에 이어 출판, 게임, 음악, 만화,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분야에서의 ‘문화 굴기’ 역시 최근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다. 
 
2011년 1037억 달러 규모였던 중국의 콘텐츠 시장은 2019년엔 2475억 달러로 두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중국이 더 이상 문화 콘텐츠 분야에서도 ‘짝퉁’을 만드는 시대에서 벗어나 자국 자체적으로 국제 수준에 도달한 문화콘텐츠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거대한 자국시장의 역량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그 영향력은 세계문화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이다. 문화콘텐츠 업체와 종사자로 보면 이미 2016년부터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미국 영화 시장까지 좌지우지하는 중국이다. 자체 콘텐츠도 상향 평준화되고 있다. 
 
자본을 앞세운 중국에게 있어 한국 드라마나 예능을 대체할 것은 무궁무진하다. 중국에서 한국이 한때 방송가를 휩쓴 유행이었다면, 이제부터는 우수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탄탄한 고정 소비층을 가진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을 준비를 해야 한다. 
 
최근 중국 제조업이 외부로부터의 부품이나 기술 도입이 필요 없는 자기완결형 시스템으로 변하고 있는 것처럼, 문화 콘텐츠 산업도 유사한 경로를 따라갈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중 관계 개선의 훈풍이 불어 오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의 재 상륙을 위하여 치밀하고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가 유념해야 할 점은, 현존하는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천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는 중국은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실을 ‘중국몽(中國夢)’으로 포장하여 문화 확장성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거센 역류를 뚫고 중국에서 한류 열풍 재 점화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지지(호응)와 함께 중국 인민들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제고 시켜야 한다. 
  

‘호감경제학(라이코노믹스 Likeonomics)’이라는 용어가 있다. ‘like‘(호감)와 ‘economics‘(경제학)의 합성 조어로 특히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어떤 마케팅(홍보)전략보다 사용자 호감도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국에게 ‘친근하면서도 정겨운 이웃’이라는 인식을 주는 노력을 민관 모두가 합심하여 사드 문제로 다소 냉랭했던 분위기를 조기에 일소 시키는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간은 마냥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중국 만리장성을 넘어 펼쳐질 거대한 문화콘텐츠 시장을 장악하지 못한다면 세계시장 석권도 반쪽짜리일 뿐이다. 
  

‘TEDS’로 다시 무장 해야 한다. 
  

융복합 ICT 기술 (Technology)의 문화사업 적용 , 한류 열풍을 불러 일으켰던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적극 활용, 정교하고도 아름다운 디자인(Design)능력, 친근하게 다가 오도록 공감을 주는 스토리텔링(Story) 등으로 차별화된 종합 콘텐츠 강국의 면모로 중국시장을 다시 공략해야 한다. 


이상기 / 한중지역경제협회 회장
0

中韓동향 목록

中韓동향 목록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중국 전기차 기업 잇단 방문 인기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중국 전기차 기업 잇단 방문[2025-03-25, 14:45:36] [사진=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左)과 샤오미 레이쥔(雷军) 회장(右) (출처: 지무신문(极目新闻)]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연달아 중국 전기차 대표 기업을 방문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24일 재련사(财联社)에 따르면, 이 …(2025-03-29 16:29:02)
춘절을 앞두고 中 구이저우, 호박 재배 수익 짭짤...한국 … 인기글 中 구이저우, 호박 재배 수익 짭짤...한국 소비자 덕분?2025-01-25 13:48:37호박설기, 호박죽 등 한국에서 호박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채소다. 그런데 한국에서 소비되는 호박의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된다."저희 회사에서 생산한 말린 호박이나 고추 등 채소의 경우 한국, 동남아 등지에서 안정적인 공급 시장이 형…(2025-01-24 16:32:59)
中 매체 "트럼프 시대 한중일 경제무역 협력 강화 필요" 인기글 ​조태열(왼쪽) 외교부 장관이 지난 9월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79차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미국 뉴욕에서 만나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 앞서 악수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다음 달로 다가온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가 트럼프 2기 정부를 맞아 한중일 3국의 경제 협력이 더…(2024-12-27 11:09:12)
KIC 중국, 상하이에서 중한과기혁신기업가 포럼' 개최 인기글 한국 과기정통부 산하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가 중국국가기술이전 동부센터, 상하이국제기술거래시장, 이노마텍(INNOMATCH)과기와 공동으로 '2024푸장(浦江)혁신포럼'의 한 세션인 '제4회 한중과기혁신기업가포럼'을 상하이에서 9일 개최했다. 행사는 주중국대한민국대사관, 한국연구재단이 후원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중 양…(2024-09-10 20:50:16)
中 한국 조경태 의원 대만 총통 취임식 참석에 ‘반대·규탄·… 인기글 20일 열린 라이칭더 타이완 총통 취임식에 한-타이완 의원친선협회장인 한국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참석한 데 대해 중국 정부가 강력한 반대, 규탄, 항의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21일 주한 중국대사관 대변인은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한국 조태경 등 국회의원의 중국 타이완 지역 방문에 대해 결사적 반대 입장을 밝히며 이를 …(2024-05-23 16:21:40)
“음식 속에 담긴 사계절”, 한-중 무형문화유산 교류전 개최 인기글 “음식 속에 담긴 사계절”, 한-중 무형문화유산 교류전 개최[2024-05-16, 18:34:08] 상하이저널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로 지정된 음식 전시 및 시식회, 강연회 등 실시 상하이한국문화원(원장 강용민, 이하 문화원)은 난징 친화이(秦淮)무형문화전시관과 공동으로 오는 16일부터 ‘음식 속에 담긴 사계절’ …(2024-05-23 16:14:08)
'제4차 中∙日∙韓 수자원 장관회의' 발리서 열려...수자원… 인기글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시에 위치한 남수북조(南水北調) 동선(東線) 수원 장두(江都) 수리 허브를 지난 3월 19일 드론으로 담았다. 남수북조 동중선(東中線) 1단계 프로젝트의 물 공급량은 누적 700억㎥으로 1억7천6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혜택을 받았다. (사진/신화통신)[신화망 발리 5월22일] '제4차 중∙일…(2024-05-23 15:37:03)
韓 현대자동차, 中과 손잡고 '수소차' 발전 광폭 행보 인기글 현대차는 중국에서 20년 넘게 발전을 도모하며 신사업을 계속 확장해 오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광둥성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현대차는 2020년 수소(Hydrogen)와 인류(Humanity)로 대표되는 2개의 H를 담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전문 브랜드 HTWO를 발표했다. 이어 2021년 초에는 현대…(2024-02-07 14:09:27)
'제1차 중한 경제협력 교류회' 열려..."양국 간 공동이익… 인기글 2023년 11월 14일 '제1차 중한 경제협력 교류회' 현장.​ "중·한 양국이 더 건강하고 더 탄력 있는 공급사슬을 구축하고 공동 이익의 '케이크'를 함께 키워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유복근 주중 한국대사관 경제공사는 '제1차 한중 경제협력 교류회'에서 자신 있게 주문했다.'제1차 중한 경제협력 교류회'가 14일 지…(2023-11-16 15:55:03)
주한중국대사관, 대한적십자사에 호우피해 복구 성금 기부 인기글 최근 한국 여러 지역에 연일 쏟아진 폭우로 제방 붕괴, 산사태 등 2차 재해가 발생하면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싱하이밍(邢海明) 대사는 24일 주한중국대사관을 대표해 대한적십자사에 호우피해 복구 성금 2만 달러를 기부했다. 신희영 대한적십자사 회장이 대한적십자사를 대표해 성금을 전달받았다. 싱 대사는 …(2023-08-05 14:36:36)
윤 대통령, 중국대사관 찾아 장쩌민 (江澤民) 전 주석 분향… 인기글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2일) 오후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에 마련된 고 장쩌민 (江澤民) 전 중국 국가주석의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습니다. 중국 측의 방침에 따라 조문단을 보내지 않는 대신에 직접 분향소를 찾아 애도의 뜻을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은 별도의 조전도 보낼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22-12-02 20:15:17)
시진핑 주석,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 회담 인기글 시진핑 주석,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 회담​​ 09:52, November 16, 2022[사진 출처: 신화사][인민망 한국어판 11월 16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15일 오후(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윤석열 한국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시진핑 주석은 “중국과 한국은 이사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2022-11-24 17:01:48)
中, 韓 영화 중국 인터넷 방송 “교류와 협력에 개방적” 인기글 한국 영화의 중국 인터넷 플랫폼 방송과 관련해, 자오리젠(趙立堅)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한국과의 인문 교류와 협력 면에서 개방적 태도를 취하며, 한국이 중국과 함께 지속적으로 양국 인문 교류 활성화와 상호 이해 및 우호 증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정례브리핑에서 한 기자는 “보도에 따르면, 중국 감독관리 기관이 6년 만에 한국 영화의 중국 인터넷 플랫폼 방송을 허용했다. 이것이 G20 정상회의 기간 중한 정상회담의 결과인지? 그리고 향후 더 많은 한…(2022-11-24 16:59:37)
韓 기업인이 말하는 '중국 기회' 인기글 올해는 중·한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다. 재중 한국인의 주요 거주지 중 하나인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시의 많은 한국 기업인과 기관 책임자들은 30년 동안 중국이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을 계속 확대해 중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에 중요한 기회를 가져다주었다고 입을 모았다.설규종 칭다오루이전(瑞珍)액세서리디자인연구개발…(2022-11-01 12:55:59)
中 1~8월 외국인 투자액 중 한국 58.9% 증가로 1위 인기글 지난 1~8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FDI) 유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한 8927억 4000만 위안(약 177조 928억 3380만 원)으로 집계됐다고 중국 상무부가 19일 발표했다. ​달러로 환산하면 1384억 10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2% 늘었다.업계별로는 서비스업의 FDI 유치액이 전…(2022-09-20 21:35:14)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5년 새해 건강복 많이 받으세요 !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