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5일은 '세계 한인의 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09-03-25 15:44|본문
재외동포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이들에게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킨다는 취지에서, '세계 한인의 날'이 대통령령을 통해서 10월 5일로 제정되었다.
우리 민족의 이주 역사는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이민의 그 첫 발은 세계 열강이 식민지 개척에 앞을 다투던 1860년대, 살길을 찾아 러시아, 중극, 일본, 하와이로 향했던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매년 수 만명의 한인이 보다 나은 삶을 찾아 미국, 캐나다, 유럽, 중남미 등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재외동포들은 현재 세계 180개국에 퍼져있으며, 약 700만명으로 추산된다.
한인 재외동포는 특히 미국 (209만명), 일본(90만명), 중국(244만명), 러시아 (독립국가연합 기준 53만명) 등 4개국에 80%로 집중되어 있다.
한국정부는 이러한 현황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해외 동포들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 수단을 충분히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1997년에 창설된 재외동포재단이 정부측의 재정적인 보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각 세계에 설립된 한인회 역할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이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외에도 해외 동포들의 더딘 참정권 회복문제와, 이중국적 불허용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한국정부의 태도에는 분명히 재외동포들에 대한 인식부족이 깔려있다. 그 전형적인 예로서 한국내에 퍼져있는 선입견 즉 이중국적 요구는 기회주의적 태도라고 생각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선입견은 지금까지 재외동포들이 행했던 모국에 대한 헌신을 묵과하는 셈이다.
세계 한인들은 모국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해 왔다. 일제 강점기 해외 동포 사회가 독립운동의 전진기지 역할을 했었다는 자명한 역사적 사실외에도, 재미동포들의 조국 민주화를 위한 노력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재일동포들의 경우, 1988년 올림픽 당시 약 540억원을 송금한 예나, 한국 외환위기 시 약 1조원을 모국에 송금한 사실들은 만약 그들이 기회주의자들이라면 결코 발생할 수 없는 일일 것이다.
재외동포는 양국의 이득을 취하고자 하는 기회주의자들이 아니다. 재외동포들이 지금까지 꾸준히 한국정부의 미미한 재외 동포대책을 지적하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투표권을 회복하고자 벌인 활동들은 우리가 이미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단순히 자신의 이익만을 요구한다면, 이번 제1회 세계 한인의 날에 참여한 한인교포들이 한 목소리로, "세계 한인의 날을 계기로 한국 정부도 체계적인 해외 동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한국이 모국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를 요구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또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국과 외교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강대국에 거주하는 해외 동포들이 자신들을 '적극적인 협조자'로 활용하라고 요구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세계 한인의 날'의 제정을 통해서 파악되는 한국정부의 재외동포에 대한 태도 변환은 바로 한국인으로서 그 뿌리를 인정받고자 한 재외동포의 한결같은 노력의 결실이며, 또한 한국정부가 재외동포들의 의지와 그들이 지닌 폭넓은 가능성에 설득되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세계화 추세와 더불어 국제화되고자 하는 한국정부의 노력에 재외교포사회가 중요한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측의 몰이해에서 비롯된 선입견을 타파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번 '세계 한인의 날'을 발판으로 재외동포와 모국 간의 거리감을 좁히고, 서로의 유대감을 증폭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산재한 세계 한인 사회의 결집력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 한인사회들 간의 정보교환 및 활동의 조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외에도 거주하는 나라에 따라 차별적인 대우를 하는 것도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