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3)고대 동북아 국제무역도시 차오양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작성일 :11-08-01 08:25|

본문

잊지 못할 강 ‘요하’를 건넌 불심·문명, 찬란한 고대의 빛
옅은 연무 속에 질펀한 갈대밭이 눈이 모자라게 펼쳐진다. 설레는 추억 속에 선양을 떠난 지 한 시간 남짓하면서부터다. 요하(遼河) 강가에 이르렀다. 요하는 우리 역사에 자주 등장하는 잊지 못할 강이다. 때로는 이 강이 우리 강토의 경계선이기도 했고, 때로는 이 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빼앗고 빼앗기는 전쟁도 하면서 그 너머의 땅까지 차지한 적도 있었다. 동북 남부평야를 가로지르는 장장 1400㎞에 달하는 이 강은 대흥안령에서 발원한 서요하와 장백산맥에 수원을 둔 동요하가 만나서 발해만에 흘러 들어간다. 수천년간 이곳 사람들은 정말로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안간힘을 다 써가며 강을 다스려 보려고 했지만, 자연의 위력 앞에서는 아직 무력한가 보다.
 
차오양의 북탑에서 탑돌이를 하고 있는 불자들. ‘동북 제1탑’으로 불리는 북탑은 높이 42.6m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이 진창물에 묻혀 있는 갈대밭이 바로 그 유명한 요택(遼澤), 즉 요하 강가의 소택지다. 내몽골 사막에서 흘러내리는 유사로 인해 이런 소택지가 형성된 것이다. <삼국사기>에 보면, 보장왕 4년(645) 당태종이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에 내침할 때 이 요택에 이르니 진흙이 200리나 되어 인마가 통행할 수 없어 되돌아갔다고 한다. 그만큼 짓궂은 땅이다. 오늘 변한 것이라곤 그 속을 헤집고 지나가는 길 몇 오리뿐이다. 키가 족히 2~3m나 되는 굵은 갈대만이 인간의 무능을 비웃 듯 가을바람에 설레설레 몸을 젓는다.
이역의 정취를 감상하느라 중간 중간 달리기를 멈추다보니, 선양에서 차오양까지의 260㎞ 거리를 5시간이 걸려서야 주파했다. 길가에 ‘개고기 갈비’란 간판을 내건 허름한 식당이라든가, 안내 표시로 긴 장대에 색 초롱을 매단 것은 무언가 우리의 것을 연상시킨다. 그 옛날 한 때 이곳은 고구려와 발해의 땅이었으니까. 어둠이 깔리기 시작한 차오양의 야경은 꽤나 화려하다. 중국의 여느 도시처럼 가로등이나 간판들이 세련미는 없어 보이지만 짙은 색조에 찬연하기는 하다. 시 중심인구는 35만명이지만, 2개의 직할시와 3개의 현, 2개의 구를 거느리고 있어 인구는 총 334만명이나 된다.
‘베이다창(北大倉)신농촌주점’이란 깔끔한 식당에서 40대 초반의 현지 여안내원과 인사를 나누고 나서 일정을 토론했다. 사실 이곳을 찾은 첫째 이유는 이곳에 우리의 고대사 전개와 관련된 몇 가지 유적·유물이 있어 그것을 현장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데 있다. 맨 처음으로 가고픈 곳은 시 동북방 근처에 있는 베이퍄오(北票)다. 1965년 그곳에 있는 북연의 한 권세가인 풍소불(馮素弗·383~415)의 묘에서 신라 고분에서 나온 유리그릇과 비슷한 유리제품 5점이 나왔다. 동북아에서는 유일한 유사품이다. 우리나라로 뻗은 ‘유리의 길’을 추적하는 데는 더 없이 귀중한 증거물이다. 그런데 안내원의 말로는 상부 지시로 한국과 일본 사람들은 그곳에 접근하는 것이 불허된다고 한다. 언저리라도 가보자고 달랬으나 막무가내다. 용렬한 ‘학문의 보호주의’ 장벽을 실감하는 순간이다. 첫 걸음부터 심상찮다는 예감을 애써 지워가면서 다음날(10월18일) 일정에 임했다.
이른 아침 북탑박물관을 찾았다. 입구엔 ‘동북제1단조와불’이라고 하는 길이 8.6m, 무게 1t짜리 와불이 현란한 조명 속에 위용을 드러낸다. 사실상 이 박물관은 중국 명탑 박물관이다. 전국 63기의 고탑 중 명탑 20기를 그림과 유물로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차오양에만도 명탑들인 북탑과 남탑을 비롯해 17기의 고탑이 있으니, 이 도시는 가위 ‘고탑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라진 ‘사연불도(思然佛圖)’란 사판모형이 눈길을 끈다. 여기서 ‘사연’은 ‘연나라를 사모’한다는, ‘불도’는 ‘불탑’이란 뜻이다. 이를 테면 연나라를 사모해 세운 불탑이란 말이다. 1600년 전 5호16국 시대에 전연과 후연, 북연의 연속 3연 수도였던 용성(龍城)의 황궁 자리에 이 탑을 세운 주인공은 북연 마지막 황제인 풍홍(馮弘)의 손녀이자 북위 효문제의 조모인 황후 풍씨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7층 방형탑으로 높이만도 80여m에 달하는 북위의 대표적 탑의 하나다. 이 탑이 바로 오늘 남아있는 북탑의 원조다. 거개가 불탑이니, 그만큼 불교와 인연이 깊은 고장이다.
북연의 마지막 황제 풍홍은 북위의 공격 앞에 100년간 3국의 수도로 영광을 누렸던 도시가 운명의 경각에 달리자 요동 지방의 고구려로 피신한다. 피신 직전, 불을 질러 이 고도를 초토화시켰다. 박물관에는 요대의 7보탑을 비롯해 각종 금은법륜과 금은경탑, 유리와 옥 제품, 특히 이곳밖에 없는 백색골(骨)사리와 홍갈색혈(血)사리 등 북탑의 지궁과 중궁, 천궁에서 발견된 귀중한 유물들이 일목요연하게 전시되어 있다. 필자는 유리장 속에 갇혀있는 한 점의 유물 앞에서 갑자기 발걸음을 멈췄다. 새 부리를 한 담록색의 유리병, 10~11세기 전반의 페르시아 병이라고 적혀 있다. 경주 황남동98호남분에서 나온 봉수형(鳳首形) 유리병과 기형이 신통하리만치 같다. 여기서도 이러한 유사품이 발견되다니. 사실 필자는 그간 중앙아시아나 이란, 터키 등 여러 곳에 점재(點在)한 이러한 유사품을 발견했다. 이제는 저 멀리 지중해 연안에서 한반도까지 이어진 ‘유리의 길’을 설정해 봄직한 자신감이 생겼다. 베이퍄오에 못 간 실망을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는 쾌거다. 고단함을 무릅쓰고 이역만리 미지의 세계를 기웃거리는 것은 이러한 행운을 잡기 위한 것이 아니겠는가.
이어 북탑 현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탑은 방형의 13층 밀첨식전탑(密式塼塔)으로서 현존 높이는 42.6m의 고탑이다. 흔히들 이 탑을 가르켜 3연과 북위, 수, 당, 요나라의 5대를 거쳤다고 해서 ‘오세동당(五世同堂)’의 탑, 또는 ‘동북 제1보탑’이라고 한다. 탑의 동·서·북면의 중앙에는 가문(假門)이 나있고, 남면 한가운데는 중궁으로 통하는 정식 문이 있다. 탑신 4면에는 4방불과 8협시보살, 24비천, 8영탑, 탑명(塔銘) 등 주로 밀교와 관련된 부조물들이 빼곡히 새겨져 있다. 아마 후대에 증수할 때 이러한 밀교적 요소들이 가미된 것 같다. 놀라운 것은 몇몇 젊은이들이 이 고탑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오체투지(五體投地)를 하고, 갈색 법복을 입은 20여명이 ‘아미타불’을 음송하면서 탑돌이를 하는 모습이다. 한편에서 이들을 지켜보는 관광객들은 아무렇지도 않다는 식으로 무덤덤하다. 몇 년 전 이곳과 맞먹는 시안 법문사에 들렸을 때는 몇몇 스님이 사찰을 지키고 있을 뿐, 이런 광경은 좀처럼 없었다. ‘종교 금지’와 ‘종교 자유’란 이율배반적 현실 앞에서 짐짓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당태종도 끝내 건너지 못했다는 질퍽한 200리 요탁
여기서 얼마 멀지 않은 곳에 북탑과 쌍벽을 이루는 남탑이 있다. 북탑보다는 후대인 요대에 지은 이 탑 역시 13층 밀첨식전탑으로서 높이는 약간 더 높은 45m이다. 구조나 벽면 조각상 등은 북탑과 대동소이하나, 소장 유물 대부분이 도굴당하고 관리도 허술해 먼발치에서나 바라보는 괴괴한 유물로만 남아 있다. 쌍벽이라서 그런지 두 탑 사이는 그렇게 화목하지 못한 성싶다. 현지 안내원은 남탑을 가리키면서 이런 전설을 전한다. 이 두 탑이 세워진 후 남탑에는 신성한 뱀이 살고, 북탑에는 괴이한 거미가 살고 있었다. 상서로운 동물로 전해 오는 뱀은 선해서 백성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나, 고약한 거미는 해만 주는 애물단지다. 그러던 어느 날 하늘이 대로해 한밤중에 청천벽력 같은 소나기를 내렸다. 이튿날 아침 청소부 할아버지는 거미 잔해를 한 바구니 가득 수습했다. 그 후부터 북탑은 죽은 탑으로서 더 이상 빛을 발하지 않고, 남탑만이 영탑으로 남아 있었다. 이런 전설을 뒷받침하듯, 그 후부터 제비는 남탑에만 날아들고 남탑 꼭대기에는 푸르고 싱싱한 포도나무 한 그루가 자라나 가을이 되면 풍성한 열매를 사람들에게 선사하곤 했다. 지금도 제비는 남탑에만 날아든다고 한다. 그래서 ‘보배로운 탑에 황금 제비(寶塔金燕)’란 말이 생겨났다. 인간더러 권선징악의 영험을 터득하라는 쯤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이다.

이 남탑 맞은편에는 우순사(佑順寺)라고 하는 라마사원이 자리하고 있다. 청나라 강희 37년(1698)에 황제의 하명에 따라 황궁이 직접 출자해 8년 만에 완공했다. 고색창연한 이 사원의 정문에는 강희가 하사한 ‘우순사’란 현판이 걸려있다. ‘하늘(황제)은 성실하게 백성을 보우(保佑)’하고, ‘큰 덕을 행해 천하를 순조(順調)롭게 하라’는 두 가지 뜻을 합쳐서 ‘우순사’란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백성을 잘 보살피며 큰 덕을 베풀어야 천하가 태평하다는 거야 동서고금 만고의 섭리가 아닌가.

차오양은 황허문명을 비롯한 세계 4대 문명보다 앞선 문명이라고 하는 훙산(紅山)문화구의 동편에 자리하고 있으며 적잖은 원시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이 고도를 가로지르는 다링(大凌)하 양안에서는 구석기 시대 인류의 거주지와 고생물화석 및 원시 종교유적이 발굴되어 세인을 깜작 놀라게 했다. 주변에는 동북의 불교 명산 봉황산(鳳凰山)과 ‘요서(遼西)의 푸른 섬’이라고 하는 대흑산(大黑山)을 비롯해 산명수려한 경관들이 즐비하다. 자고로 요서 지방의 동서남북을 이어주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했다.
 
 
북탑 천궁에서 발굴된 페르시아 유리봉수병. 신라의 유리봉수병과 비슷하게 생겼다.
 
이 유구한 고도는 우리 겨레의 고대사 전개에서 늘 완충지 역할을 해왔다. 고조선 시대부터 고구려를 거쳐 발해에 이르기까지 우리 강토의 가장 서변에 있는 중국과의 접경지이면서 격전장이기도 했다. 또한 문물이 오가는 통구이기도 했다. 북탑박물관에는 우리나라 여러 곳에서도 발견되는 연나라 화폐 명도전(明刀錢) 유물이 다수 전시되어 있다. 교역수단인 화폐의 공유는 두 나라 간에 통교가 있었음을 입증한다. 이 통구를 통해 불교도 오갔다. 일찍부터 차오양은 동북 불교의 요람으로서 불교의 한반도 동전에 가교역할을 했다. 370년에 전연을 멸한 전진(前秦)왕 부견은 2년 후인 소수림왕 2년(372)에 승려 순도를 고구려에 보내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불교가 비로소 고구려에 전해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중원에서 흥기한 전진이 전연을 멸하자마자 승려를 보냈다면, 십중팔구는 그 승려가 이미 고구려 조정과 모종의 관계를 유지해 온 이곳 출신의 승려였을 것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가 3연과 통하는 길은 남·북도 두 갈래였다. 북도는 수도 환도에서 출발해 심주(瀋州, 현 선양)를 거쳐 통정(通定)에서 요하를 건너 영주(營州, 현 차오양)에 이르는 길이고, 남도는 환도에서 출발해 요동(遼東, 현 랴오양)을 거쳐 양어무(梁魚務)에서 요하를 건넌 다음 영주에 다다르는 길이다. 이렇게 영주는 고구려의 최서단 변방이었다. 두 당서에 의하면, 6세기를 전후해 영주는 동북아 최대의 국제무역도시였는데, 고구려가 장악하고 있었다. 바로 이 때문에 저 멀리 페르시아(이란)에서 상인들이 이곳까지 와서 고구려인들과 교역도 하고 어울렸던 것이다. 고구려 무용총 고분벽화(4세기 말~5세기 초) 속의 손잡고 겨루는 수박도(手搏圖)나, 각저총 벽화 속의 씨름도(4세기 말)에서 보이는 심목고비(深目高鼻)한 상대방은 다름 아닌 영주 땅을 거쳐 고구려에 들어온 페르시아인이라고 추단해도 별 무리가 아닐 것이다. 그런가 하면 해동성국 발해 때의 5대 국제통로의 하나가 바로 상경에서 영주를 거쳐 중원까지 이어지는 ‘영주로’였다.
이렇게 보면 차오양은 결코 우리에게 낯선 고장이 아니다. 우리와의 역사적 인연은 끈끈하다. 그 어딘가에 선조들이 남긴 발자국과 뿌려놓은 겨레의 체취가 스며있으련만, 찾지 못하고 떠나는 발걸음이 자못 무겁다.
0

중국여행 목록

중국여행 목록
진황도의 전설과 유래 인기글 산해관 베이징에서 동쪽으로 280킬로미터, 발해만 벨트에 속해 있는 진황도는 천진 창주, 당산과 연계해 실로 급속한 경제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곳이다. 그동안 진황도는 천혜의 지리적 이점과 석탄 등 지하자원의 풍부함을 등에 업고 연간 약 2억톤의 석탄 수출을 비롯해 철광석 등의 수출로 활기를 띠고 있…(2011-08-01 08:30:33)
[열람중][초원 실크로드를 가다](3)고대 동북아 국제무역도시 차오양 인기글 잊지 못할 강 ‘요하’를 건넌 불심·문명, 찬란한 고대의 빛 옅은 연무 속에 질펀한 갈대밭이 눈이 모자라게 펼쳐진다. 설레는 추억 속에 선양을 떠난 지 한 시간 남짓하면서부터다. 요하(遼河) 강가에 이르렀다. 요하는 우리 역사에 자주 등장하는 잊지 못할 강이다. 때로는 이 강이 우리 강토의 경계선이기도 했고, 때로는 이 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빼앗고 빼앗기는 전쟁도 하면서 그 너머의 땅까지 차지한 적도 있었다. 동북 남부평야를 가로지르는 장장 1400㎞에 달하는 이 강은 대흥안령에서 발원한…(2011-08-01 08:25:49)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2)교통의 요로 선양 인기글 명분과 실리가 부딪친 땅 주몽을, 소현세자를 추억하다 우리의 초원로 답사는 지난 2007년 여름부터 올해 여름까지 2년간 모두 네 구간으로 나눠 진행된다. 그간 몽골 구간과 중·서시베리아 구간, 대흥안령 구간을 다녀왔고 나머지 동시베리아 구간은 올 여름에 밟을 계획이다. 걸린 시간은 43일간이다. 글 쓰는 순서는 답사 시일의 전후와는 관계없이 우리와의 원근에 따라 대흥안령 구간부터 시작해 몽골 구간에 이어 동시베리아 구간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서시베리아 구간으…(2011-08-01 08:20:45)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1)우리에게 실크로드는 무엇인가 인기글 한민족 뿌리 뻗은 그 길, 말발굽 소리를 따라 달리다 문명을 소통시키는 길, 실크로드에는 동서를 잇는 오아시스로와 초원로, 그리고 해로, 이렇게 세 갈래의 큰 길이 있다. 이태 전 &lt;실크로드 문명기행-오아시스로 편&gt;을 엮어내면서 독자들과 이어 초원로와 해로에 관한 기행문을 펴내기로 약속한 바 있다. 그후 언제쯤 펴내는가라는 재촉 어린 질문을 간간이 받곤 했다. 때늦은 감이 없지는 않지만, 오늘부터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로 독자들과 다시 만나 미루어오던 실크로드 …(2011-07-28 08:26:39)
베이징의 먹자거리들(1) 인기글 (사진설명: 전문거리의 북경오리구이집) 1. 전문(前門, Qianmen): 정통요리점의 집합지 교통: 20선, 203선, 59선, 66선, 5선, 120선 버스 베이징 중심지에 위치한 전문대가에는 베이징의 정통요리점들이 모여있다. 오랜 세월의 풍상고초를 겪어온 정양문(正陽門)처럼 이 거리의 요리점들…(2011-07-28 08:20:07)
베이징의 먹자거리들(2) 인기글 (사진설명: 광안문 마랄유록의 매운 새우요리) 2. 광안문(廣安門, Guang'anmen): 매운 맛 요리의 집합지 교통: 620선, 617선, 19선, 381선, 390선 버스 최근 남부도시 재개발과 함께 새로 부상하고 있는 먹자거리 광안문에는 매운 맛의 요리점들과 이슬람 음심점들이 모여있는 …(2011-07-28 08:19:02)
베이징의 먹자거리들(3) 인기글 (사진설명: 평안대가 음식점) 3. 평안대가(平安大街, Ping'andajie): 유구한 서민음식의 집합지 교통: 13선, 810선, 68선, 111선, 701선 버스 베이징의 유명한 바(Bar)거리와 가까이 있는 평안대가는 특히 저녁식사장소로 좋은 곳이다. 이 곳에서 베이징 정통의 서민음식으로…(2011-07-28 08:17:50)
베이징의 먹자거리들(4) 인기글 (사진설명: 방장의 밤참거리) 4. 방장(方庄, Fangzhuang): 밤참의 집합지 교통: 973선, 434선, 51선, 627선, 655선 버스 방장 먹자거리는 큰 규모의 주택단지에 힘입어 형성되었다. 이 곳에는 중국식과 양식을 비롯해 다양한 음식점들이 모여 있는데 고급스러운 환경에 고급스러운 식사의 밤참…(2011-07-28 08:16:34)
베이징의 먹자거리들(5) 인기글 (사진설명: 꾸이제의 야경)5. 꾸이제: 잠들지 않는 먹자거리 교통: 106선, 674선, 24선, 406선, 635선 버스 꾸이제는 베이징에서 최초로 시작된 먹자거리로 밤이 되면 잠들지 않는 거리로 유명하다. 이 곳에는 매운 맛의 음식들이 모여있어 잠들지 않는 밤을 즐기는 사람들이 이 곳을 찾는다.(2011-07-25 08:23:22)
베이징의 먹자거리들(6) 인기글 (사진설명: 소운로의 레스토랑 내부) 6. 소운로(宵云路, Xiaoyunlu): 출근족 레스토랑의 집합지 교통: 104선, 801선, 671선, 416선, 421선 버스 소운로 양켠에는 현대빌딩과 경신(京信)빌딩, 붕윤(鵬潤)빌딩, 대통(大通)빌딩과 같은 오피스텔이 집중되어 있다. 이처럼 비즈니스의…(2011-07-25 08:21:50)
상하이① 고층 빌딩 속 과거의 미소 인기글 국제 도시 상하이의 고층 빌딩 사이로 눈부신 과거가 미소 짓는다. 기나긴 세월을 버텨온, 신화와 같은 유적과 유물들은 진한 어둠 속의 한줄기 빛처럼 현대의 회색빛 속에서 더욱 찬란하고 오묘한 느낌을 전한다. 초현대의 상하이에서 불쑥불쑥고개를 내미는 옛 자취들에 눈길이 가는 까닭이다. 1842년 난징조약이 체결되면서 중국 동해안의 조그마한 어촌은 국제적인 거대항구도시로 탈바꿈했다. 중국인은 물론 포르투갈, 프랑스, 영국, 일본 등의 외국인들까지 모여들어 독특한 건물들이 들어섰고, …(2011-07-25 08:19:44)
상하이② 밤에 피어나는 장미 인기글 상하이는 낮보다 밤이 더 아름답다. 뿌연 매연이 감싸던 상하이의 하늘은 까맣게 덧칠되고, 회색빛 도심은 장미처럼 붉고 화사하게 물든다. 관광객들은 낮 동안의바쁜 걸음과 북적거림에서 벗어나 한결 여유로운 분위기를 만끽하며 밤을 보낸다. 도심의 밤거리와 황푸(黃浦) 강변의 야경은 '백만 불짜리 홍콩 야경'만큼 화려하고낭만적이다. '중국에서 가장 현대적인 도시', '중국 최대의 상업 도시'라는 수식어처럼 상하이의 이미지…(2011-07-25 08:18:21)
상하이③ 구석구석 도시탐방 '볼것도 많네' 인기글 의거 현장이었던 현재의 루쉰(魯迅) 공원 중앙에 자리한 2층 건물로 1층에는 출생에서부터 농민부흥운동, 훙커우 공원 의거 등 윤 의사의 일대기를 볼 수 있는 유품과 사진이 전시되어 있고, 2층에는 윤 의사의 흉상을 비롯해 의거 이후의 사적,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에 관한 자료가 있다. 윤 의사가 사용했던 붓과 벼루, 거사 직전의 심정을 기록한 시, 의거 때 사용했던 폭탄과 같은 모양의 도시락 폭탄, 어머니에게 보낸 자필 편지, 김구 선생과의 만남이 기록된 '백범일지&#…(2011-07-25 08:16:31)
베이징의 먹자거리들(7) 인기글 (사진설명: 아시아 선수촌의 레스토랑 환경) 7. 아시아 선수촌(亞運村, Yayuncum): 요식업 거두의 집합지 교통: 417선, 858선, 358선, 387선, 464선, 702선 버스 아시아 선수촌의 먹자거리는 베이징 북쪽에서 가장 유명한 먹자거리이다. 이 곳에는 제비 둥지 요리나 상어 지느러…(2011-07-21 09:07:05)
베이징의 먹자거리들(8) 인기글 (사진설명: 칠채북로의 요리) 8. 칠채북로(七彩北路, Qicaibeilu): 새로이 일떠서는 먹자거리 교통: 1선, 4선, 958선, 620선, 851선 버스 베이징의 세번째 대사관구역이고 시장과 오피스텔이 주변에 위치해 있는 이 곳은 교통이 편리한, 새롭게 일떠서는 먹자거리이다. 고급요리와 서민…(2011-07-21 09:05:28)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2024년 龍의 힘찬 기운을 받아 건강부자가 되세요
延边聖山本草商贸有限公司(연변성산본초상무유한공사)微信 138-4339-0837 카톡전화번호 010-4816-0837
Copyright © 2006 吉ICP备2020005010号 住所 :延吉市北大新城 2号楼3010
企业法人注册号(법인사업자 등록번호):2224000000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