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상처입은 사람들
중국에서 살고 있는 조선족이라면 대부분 조상들의 고향인 한국에 한번이라도 가보고싶어한다.
한국이 좋아서 한국 국적을 올리는 사람들도 있지만 적지 않게는 수입이 높은 한국으로 가서 몇년 부지런히 일해 돈을…(2009-03-25 14:27:50)
|
우리 민족 속담 1000가지
우리 민족 속담 1000가지
계집 바뀐 건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건 안다 고기는 씹어야 맛이요 말은 해야 맛이라 나룻이 석 자라도 먹어야 샌님 거미는 줄을 쳐야 벌레를 잡는다 거지도 손 볼 날이 있다 게으른 …(2009-03-25 14:26:54)
|
조선족 구역자치지역은 어떤 곳?
조선족 구역자치지역은 어떤 곳?
민족구역자치는 중국공산당이 맑스-레닌주의원리를 우리 나라의 민족실제에 결합하여 민족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기본정책으로서 우리 나라의 중요한 정치제도의 하나이다.
중국조…(2009-03-25 14:25:52)
|
한민족의 기층문화
한민족의 기층문화
한민족의 기층사상은 다음의 세 가지 즉 산신사상, 수목사상, 천상사상의 세 분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그전에 먼저 기층사상과 기층문화에 대한 이해를 좀 다져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2009-03-25 14:25:05)
|
지금도 흐르는 한(恨)의 가락 아…
아리랑은 지방에 따라 스물다섯 가지가 채집되고 있다. 하지만 어느 특정 지방에서만 특정 아리랑이 불려지는 것이 아니라 전국 어디에서나 불려지지 않는 곳이 없는 우리 한민족(韓民族)의 노래가 아리랑이다.그것은 한국…(2009-03-25 14:23:47)
|
우리 민족은 왜 흰옷을 입었을까-…
평양감사 환영도(부분도), 흰옷 일색의 평양 모습이다
우리…(2009-03-25 14:22:42)
|
중국조선어 한국어 문화어
중국조선어 한국어 문화어
전 병 선
중국조선어, 한국어, 문화어는 모두 한 민족의 한 종류의 언어이다. 이런 언어가 광복후 조선반도가 남과 북으로 갈라지고 부동한 사회제도를 실행하고 래왕이 단절…(2009-03-25 14:18:27)
|
우리말 번역에서 떠오른 단상
우리말 번역에서 떠오른 단상
주 봉
중국경제의 비약적인 발전과 그 호황,그리고 종합적 국력이 세계적인 우선 순위는 줄곧 많은 외국의 선진기술,기업과 자금이 진입한 것과 큰 관계를 갖는다.예서 언어란…(2009-03-25 14:17:15)
|
어설픈 조선족 경어에 대하여
어설픈 조선족 경어에 대하여
15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조선족은 독특한 언어문화를 형성해오면서 본래 조상들이 쓰던 경어를 많이 잃어버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한국 문이 열리면서 상호 내왕이 빈번해짐에 따라…(2009-03-25 14:15:46)
|
‘연변’과 ‘옌볜’
‘연변’과 ‘옌볜’
정인갑
‘연변’과 ‘옌볜’, 이 문제에 관하여 "'연변'을 '옌볜'이라 부르지 말아주세요"와 " '연변'이면 주체성, '옌볜'이면 친漢파?―발음법에 대한 논…(2009-03-25 14:11:53)
|
연변문화의 정립과 그 사명
연변문화의 정립과 그 사명
최 호
연변에서 자체의 문화정립은 지역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서 우리들이 시급히 풀어나가야 할 공동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연변문화를 론함에 있어서 우리가 똑바로 …(2009-03-25 14:04:12)
|
헐뜯지 말고 함께 놀아 뭉치는 민…
단결은 힘이다 kmg831127@hotmail.com 1983년11월27일 연변왕청출신 현재 일본에서 학사과정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총명하고 례의바르고 깨끗한 민족으로 널리 알려져왔다.그런데 이런 우리…(2009-03-25 14:01:43)
|
조선족인구 마이너스성장, 별거 아…
조선족인구 마이너스성장, 별거 아니다(2) 인구마이너스성장과 그 자연해법
정인갑
절대인구 마이너스 성장도 별거 아니며 너무 비관할 일이 아니다.
마이너스 성장의 주요 원인은
1,…(2009-03-25 14:01:16)
|
조선족인구 마이너스성장, 별거 아…
조선족인구 마이너스성장, 별거 아니다(1)인구마이너스성장 상대적으로 봐야
정인갑
‘지금 중국 조선족은 인구 마이너스성장이라는 엄중한 위기에 처해 있다’라는 말을 최근 몇 년간 우리는 자주 듣게 된다…(2009-03-25 14:00:00)
|
조선족문화는 있는가?
《연변일보》사에서 《조선족문화에 대한 북경사람들의 시각》이라는 주제의 칼럼을 부탁받고 의도적으로 북경사람들과 조선족문화에 대한 대화를 해보았다. 북경에서 20년이상 거주한 《북경사람》들가운데 60대에서 20대까지…(2009-03-25 13:39:28)
|